메뉴 건너뛰기

건강과생활

얼굴에 손 안대기.. '최고 백신' 생활화 하는 비법

이슬비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1. 04. 27. 15:00 수정 2021. 04. 27. 17:04

 

 

의대생도 한 시간에 23번 얼굴 만져..

 

무의식적으로 얼굴을 손으로 만지는 행위가 각종 병원균 감염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손으로 얼굴을 만지면 안 된다는 것은 당연한 생활 지침으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아는 것과 행동하는 것은 다르다. 손으로 얼굴을 만지는 건 무의식적인 행동이기 때문. 이 기사를 보는 중에도 나도 모르게 손으로 얼굴을 만지고 있는 사람이 있을 것이다. 실제로 손으로 얼굴을 만지면 안 된다는 걸 잘 알고 있는 의대생을 대상조차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학 연구에 따르면 한 시간에 평균 23번 정도 얼굴을 만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왜 인간은 무의식적으로 얼굴을 만지는 걸까? 어떻게 하면 덜 만질 수 있을까?

◇정서적 안정감과 냄새 맡기 위해 얼굴 만져

왜 인간은 얼굴을 무의식적으로 많이 만질까? 지금까지 나온 주장으로는 크게 정서적 안정감을 찾기 위해서와 자신의 냄새를 맡기 위해서라는 두 가지 입장이 있다.

독일 라이프니츠대 뇌과학과 마르틴 그룬발트 교수 연구팀은 무의식적으로 얼굴을 만지는 것이 뇌인지 과부하와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데 도움을 준다고 밝혔다. 무의식적으로 얼굴을 만진 실험 참가자의 뇌 전기적 활성화 상태를 분석한 결과, 손으로 얼굴을 만지는 행위가 작동 기억과 감정 상태의 정보를 저장하는 것과 관련이 있는 뇌의 전위를 바꾸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스라엘 바이츠만 과학 연구소 신경생물학자 오퍼 펄 교수팀은 사람이 무의식적으로 얼굴을 만지는 이유를 냄새를 맡기 위한 것이라 주장한다. 오랑우탄, 원숭이 등 다른 영장류가 손으로 얼굴을 만지는 것과 같은 이유다. 연구팀은 실험 참가자가 손으로 얼굴을 만질 때 공기흡입량이 변하는지 확인했다. 그 결과, 코 주변 얼굴을 만질 때 공기흡입량은 평소보다 2배 이상 많았다. 연구팀은 자신의 채취를 맞는 이유에 대해 스트레스를 낮추고 자아를 회복하려는 행동으로 해석했다. 실험 참가자는 악수 후에도 코 주변 얼굴을 만지는 횟수가 늘어났다. 연구팀은 ”악수를 할 때 손으로 미량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함께 전달된다“며 ”사람의 체취를 통해 자신에게 맞는 사람인지 고르는 행위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말 냄새를 맡기 위해 얼굴을 만지는 거라면 바이러스 등 각종 손에 있는 미생물이 코로 들어갈 확률이 높기에 더 위험하다.

◇최고의 백신은 손을 얼굴에서 멀리하는 것

얼굴을 만질 때 2번 중 1번은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 경로인 눈, 코, 입을 만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보건기구(WHO)를 포함한 다수의 보건 관계자는 실제로 얼굴을 만지는 행위 자체가 바이러스 전파에 큰 영향을 미친다며, 이런 인간의 습성이 위험하다고 경고한다. 오퍼 펄 교수는 “호흡기 질환의 약 25%가 얼굴을 만지는 행동에서 비롯한다”고 말했고, 미국 존스홉킨스의대 애런 밀스톤 교수는 “바이러스가 스스로 사람 입으로 들어가지는 않는다”며 “물체를 만지는 것을 조심하는 것보다 얼굴에 손을 갖다 대는 습관을 버려야 한다”고 말했다. 얼굴을 만지는 습관을 자제하면 다양한 병원균 감염에 대한 위험을 낮출 수 있다. 가천대 길병원 시혜진 교수는 “코로나19 바이러스뿐 아니라, 인플루엔자, 노로바이러스, A형 바이러스 등 접촉전파로 퍼질 수 있는 모든 균에 취약해질 수 있다”며 “대변을 닦고 손에 남은 미생물이 얼굴을 통해 들어갈 수도 있어 손 위생을 지키는 것만큼 얼굴을 만지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인간 몸 밖에서 최대 9일까지 살아남는 것으로 알려졌다. 침방울, 콧물 등 점액이 튄 물건을 만진 손으로 얼굴을 만지는 것으로도 감염이 될 수 있는 만큼 무심코 얼굴을 만지는 횟수 자체를 줄이는 것이 좋다. 미국 샤론빌 가정의학과 윌리엄 소이어 전문의는 “손을 얼굴에서 멀리하는 것이 지금까지 나온 어떤 감염병 백신보다 좋은 예방법”이라고 말했다.

◇안경과 마스크로 얼굴과 손 접촉 막아야

얼굴을 만지는 건 무의식적인 행동인데, 어떻게 방지할 수 있을까? 무의식적인 습관을 아예 없애지는 못하지만, 반복적인 훈련으로 바꾸는 건 가능하다. 얼굴이 가려울 때 손가락이나 바닥이 아닌 손등으로 긁으면 감염 위험이 줄어든다. 손에 호두나 지압공 등을 쥐고 있는 것도 한 방법이다. 아예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방법도 있다. 눈을 자주 만지는 사람이라면 선글라스나 안경을 쓰면 된다. 실제로 마스크를 써 얼굴을 만지는 행위가 줄어든 것도 전문가들은 생활 방역에서 큰 역할을 했다고 본다. 영국 리즈대 스티븐 그리핀 교수는 “마스크는 바이러스 차단역할도 하지만, 감염의 주원인인 얼굴 만지는 행위를 줄였다는 점에서도 좋은 생활 방역 수단이다”고 말했다. 마스크를 고를 땐 너무 크거나 작으면 오히려 손이 더 자주 갈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의 얼굴에 맞게 선택하는 게 좋다. 생활 반경 안에 휴지와 걸레 등을 잘 구비해 둬 오염물질을 손으로 만지지 않도록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손으로 얼굴을 만지는 건 무의식적인 인간의 습성인 만큼 100% 차단할 수는 없다. 전문가들은 손 씻기와 소독이 당연히 동반돼야 한다고 본다. 시혜진 교수는 “평소 손을 깨끗이 자주 씻고, 손 세정제를 자주 사용하는 건 기본”이라며 “손은 한번 씻을 때 비누를 이용해 40~60초 정도 씻도록 하고, 손 세정제는 증발하면서 소독 효과가 나타나기에 20~40초 문질러줘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출처:   https://news.v.daum.net/v/20210427150033633

조회 수 :
176
등록일 :
2021.04.28
07:14:03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www.hfire.or.kr/119167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sort
1090 [김광일 교수의 늙어도 늙지 않는 법] 늘 움직이고, 잘 먹고, 병원과 친해지세요 불씨 462 2018-10-03
[김광일 교수의 늙어도 늙지 않는 법]  늘 움직이고, 잘 먹고, 병원과 친해지세요   김광일 분당서울대병원 노인의료센터장 입력 : 2018.10.02 09:23   모든 노인이 노쇠를 겪는 게 아니다. 아무리 나이가 많아도 노쇠하지 않을 수 있고, 누구든 노년의 삶을 ...  
1089 단백질, 나는 적절히 먹고 있을까? 답은 혈액검사지에 있다 불씨 464 2018-10-02
단백질, 나는 적절히 먹고 있을까? 답은 혈액검사지에 있다 김진구 헬스조선 입력 : 2018.07.20 05:47   간단한 혈액 검사로 측정 가능, 알부민 수치 정상 범위 '3.5~5.2' 4.2 이상으로 넉넉히 먹어야 건강… 간·신장질환자는 측정 불확실   서울 송파구에 사는...  
1088 건강 수명 늘리는 5가지 식습관 불씨 254 2018-10-01
건강 수명 늘리는 5가지 식습관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7.09.01 07:00 | 수정 : 2017.09.05 16:54                     콩을 많이 먹고 음식을 꼭꼭 씹는 식습관이 수명을 늘린다/사진=​헬스조선 DB   건강수명을 늘리려면 평소 식습관을 관리하...  
1087 항상 아픈사람이 버리지 못하는 생활습관 5 불씨 197 2018-09-30
항상 아픈사람이 버리지 못하는 생활습관 5   권순일기자  수정 2018년 9월 29일     육체뿐만 아니라 정신 건강을 위해서는 식습관을 개선하는 한편 나쁜 습관을 끊어야 한다. 좋지 않은 습관은 정크 푸드나 단 음식을 많이 먹는 것만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  
1086 남들은 모르는 장수하는 사람의 특징 7 불씨 169 2018-09-29
남들은 모르는 장수하는 사람의 특징 7   입력 F 2018.09.24 09:03 수정 2018.09.24 09:04                                     장수의 비결은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유전자에 있는 것이 아니라 평소 생활 방식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보스턴 대학교 의...  
1085 누구나 불안할 수 있지만, 누구든 극복할 수 있습니다 불씨 259 2018-09-28
"누구나 불안할 수 있지만, 누구든 극복할 수 있습니다"   취재 한희준 헬스조선 기자 사진 강남차병원 제공     “ 불안하다”고 호소하는 사람이 많다.  단순히 불안한 기분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을 하기 힘든 ‘불안장애’. 불안장애 명의 강남차병...  
1084 60대 이상이 공공도서관에서 가장 많이 대출한 도서는 무엇? 불씨 245 2018-09-27
60대 이상이 공공도서관에서 가장 많이 대출한 도서는 무엇?   파이낸셜뉴스 입력 : 2018.09.18 11:33 수정 : 2018.09.18 11:33 백년을 살아보니   60대 이상 이용자 대상 인기 대출도서 상위 10권 (2015.1~2018.8)   실버세대, ‘삶과 인생’ 주제의 교양인문학...  
1083 폐렴, 호흡 곤란...위산 역류가 유발하는 뜻밖의 증상 6 불씨 856 2018-09-26
폐렴, 호흡 곤란...위산 역류가 유발하는 뜻밖의 증상 6   기사입력 2018-09-20 15:23 위산 역류는 두통이나 복통처럼 누구나 한 번쯤 경험하는 흔한 현상이다. 위산이 목구멍을 타고 올라오면서 가슴이 답답하고 쓰라린 증상이 나타난다. 과식이나 과음 후 나...  
1082 면역 일깨우고 호르몬 균형 잡는 식단 규칙 10가지 불씨 545 2018-09-25
면역 일깨우고 호르몬 균형 잡는 식단 규칙 10가지 기사입력 2018-09-24 07:01 채식위주의 식단. 식단의 채식 비중을 50~60%로 하고 해초류를 많이 먹어야 한다. 김성룡 기자     [더,오래] 박용환의 동의보감 건강스쿨(32)   혀와 뇌에서 느끼는 맛과 행복이 ...  
1081 건강한 노후 좌우하는 ‘노쇠’…천연 치료제는 ‘비타민D’ 불씨 207 2018-09-24
건강한 노후 좌우하는 ‘노쇠’…천연 치료제는 ‘비타민D’ 김진구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09.18 09:56 비타민D가 노쇠를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사진=헬스조선DB   노쇠는 건강한 노후를 결정하는 데 어지간한 질병보다 큰 영향을 ...  
1080 연휴 시작! 탈 없는 5일 보내기 위해 기억해야 할 3가지 불씨 143 2018-09-23
연휴 시작! 탈 없는 5일 보내기 위해 기억해야 할 3가지 한희준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8.09.22. 08:01   조선일보 DB     민족의 최대 명절 추석이다. 즐거운 추석을 보내기 위해서는 자칫 소홀할 수 있는 건강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장시간 운전, ...  
1079 가을의 시작 추분, 호흡기 건강 지키는 방법은? 불씨 163 2018-09-22
가을의 시작 추분, 호흡기 건강 지키는 방법은?   윤정원 기자  광교 함소아한의원 박혜미 대표원장. ⓒ함소아한의원   본격적인 가을의 시작을 알리는 추분이다. 추분을 기점으로 밤의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여름이 가고 가을의 시작을 알려준다. 하지만 아...  
1078 미처 몰랐던 근육의 뜻밖의 진실 9 불씨 182 2018-09-21
미처 몰랐던 근육의 뜻밖의 진실 9   코메디닷컴 입력 2018년 9월 5일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근육은 생뚱맞지만 ‘작은 쥐‘와 연관이 있습니다. 근육을 칭하는 영어 단어 ‘머슬(muscle)’이 작은 쥐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라틴어 ‘머스큘러스(musculus)’에...  
1077 건강에 빨간불! 나만 아는 은밀한 신호 6가지 불씨 164 2018-09-20
건강에 빨간불! 나만 아는 은밀한 신호 6가지 권순일 입력 2018.09.16. 08:40'   건강하지 못하다'는 것은 애매모호한 말로서 많은 것과 관련이 있다. 이와 관련해 '치트시트닷컴'이 소개한 당신의 건강이 좋지 못하다는 신호 6가지를 알아본다. 일정하게 배변...  
1076 가을은 독감 예방접종이 필요한 시기 불씨 193 2018-09-19
[쿡기자의 건강톡톡] 가을은 독감 예방접종이 필요한 시기 송병기 입력 2018.09.18. 00:05 수정 2018.09.19. 08:35   국민일보DB   감기와 독감은 다르다..독감의 원인은?   일교차가 커지는 환절기 가장 먼저 떠오르는 질환이 독감이다. 전문가들은 이맘때쯤 ...  
1075 금세 행복해질 수 있는 뜻밖의 방법 5 불씨 156 2018-09-18
금세 행복해질 수 있는 뜻밖의 방법 5   입력 F 2018.08.18 09:33 수정 2018.08.18 09:33                          새벽에는 선선한 기운이 계절의 변화를 느끼게 한다. 이번 여름 무더위로 인해 심신이 지치고 활기가 떨어졌다고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  
1074 "이러면 죽는다!" 수명 단축하는 나쁜 습관 4 불씨 356 2018-09-17
"이러면 죽는다!" 수명 단축하는 나쁜 습관 4 권순일 입력 2018.09.15. 09:10     [사진=vmaslova/shutterstock]   당신의 생활방식 가운데 서서히 당신을 죽게 만드는 것이 있다. '치트시트닷컴'이 수명을 짧게 하는 나쁜 생활습관 4가지를 소개했다. 네덜란...  
1073 젊은 피 수혈로 노인병 막는다..현대의학 유망사업 떠올라 불씨 202 2018-09-16
젊은 피 수혈로 노인병 막는다..현대의학 유망사업 떠올라 입력 2018.09.10. 15:31   [서울신문 나우뉴스]   암과 치매, 그리고 심장질환 같은 노인병을 치료하기 위해 전 세계 수십 개의 신생기업이 연구용으로 젊은 성인들에게서 피를 얻기 위해 애를 쓰고 ...  
1072 '노화의 척도' 혈관·관절·눈 건강에 좋은 기능성 원료는? 불씨 190 2018-09-15
'노화의 척도' 혈관·관절·눈 건강에 좋은 기능성 원료는? 김진구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8.09.10. 09:45     감마리놀렌산, 콜레스테롤 개선 N-아세틸글루코사민, 관절 도움 루테인, 황반변성 예방 기능 인정   신체 노화는 혈관·관절·눈에 가장 빨리 찾아온다...  
1071 건강수명 늘리는 식사 방법 5 불씨 147 2018-09-14
건강수명 늘리는 식사 방법 5 정선유 헬스조선 인턴기자     우리나라 2014년 100세 이상 인구는 1만4672명으로, 2010년 3523명에 비해 약 460% 급증했다. 그런데, 아무리 100년을 살아도 병원에서 20년을 보내면 건강하게 80년을 산 것보다 나을 게 없다. '기...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