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장학회소식

36일간 우리가 살고 있는 한반도에 1년 동안 내릴 비가 거의 내렸습니다.
특히 지난달 27일 중부 지방에 내린 비는 가히 '물 폭탄'수준이었습니다. 
뜻 밖에 엄청난 재난을 당하고 유명을 달리하신 분들께 무슨 말로 위로를 
드려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용기 잃지 마시고 꼭 이겨내 주시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근래 지구촌이 대규모 자연 재해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미국엔 상반기에만 600여회의 토네이도가 발생했는가 했더니 
95년만의 대가뭄이 닥쳤고, 브라질과 중국에는 대규모 홍수와 가뭄이 
번갈아 일어났습니다. 일본에도 도후꾸 지방에 대지진과 쓰나미가 몰려와 
세계를 놀라게 했고 그 여파로 기능을 상실한 원자력 발전소가 아직도 
복구의 가닥을 잡지 못한 채 우리를 불안하게 하고 있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큰 재보험사인 독일의 뮌헨리는 "올 상반기 자연 재해로 
인한 세계의 경제적 손실은 2650억달러(280조원)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발표했고 이는 지난 10년간 상반기 평균 손실액의 5배를 
초과했으며, 과거 가장 컸던 2005년의 2200억 달러를 웃돈다고 합니다. 
특히 심각한 것은 옥수수, 밀 등과 같은 곡물 가격이 올라 식량이 부족한 
국가의 국민들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으며, 우리 식탁에까지 영향을 주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그러면 과거에 비교해서 자연 재해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원인은 무엇일까요?
많은 학자들은 기후 변화를 그 첫째 원인으로 지목합니다. 땅에서는 산업화, 
공업화 등으로 인한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증가, 산림 파괴 등으로 지구가 
온실처럼 따뜻해지면서 기온과 수온의 상승으로 대기 중에 유입되는 수증기 
양이 증가하여 이를 소모하기위해 폭우와 태풍이 자주 발생합니다. 또한 
더워진 대기와 해양의 흐름이 남미 해안에서 중태평양에 이르는 열대 태평양 
지역의 해수면 온도를 높여 엘리뇨 현상을 만듭니다. 또 다른 알 수 없는 
원인들이 있겠지만 '지구 온난화'와 '엘리뇨 현상'은 기후 변화의 가장 큰
이유로 봅니다.
 
야생환경보호학자 존 뮤어의 "어떤 것이든 그것 하나만 꺼내려 해도 
우주의 다른 모든 것이 함께 당겨져 온다."라는 말이 생각납니다.
경제 발전과 환경은 서로 다른 개념이 아니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시스템입니다. 간단한 사례로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종이 1톤을 만들기 위해 
각종 다른 자원이 98톤 필요하다고 합니다. 벌목을 위해 전기톱과 벌목기계를 
만들 금속재료, 목재를 가공 공장에 보낼 트럭과 기차와 선박, 기계와 공장을 
돌리기 위한 석유, 종이 펄프를 만드는 많은 양의 물, 종이의 색깔을 밝게
만드는 표백제나 과산화수소등의 화학물질이 필요합니다. 거기다 종이 1톤을 
만들려면 나무 2~3톤이 베어져야 한다니 그만큼 산림은 없어지고 있는 것입니다.
지금 지구촌에서 사라지고 있는 삼림은 하루에 2만 헥타르로 매일 프랑스 
파리 면적의 2배, 1분에 축구장 33개만한 면적이라고 합니다.
 
생활하면서 사용하는 물건과 문명의 이기들은 많은 다른 자원들로 만듭니다.
대량생산은 지구의 파괴를 재촉합니다. 그러나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는
우주에서 하나밖에 없습니다. 우리는 지구를 보존해야할 의무가 있습니다. 
그것은 우리 모두를 위한 일입니다. 지금부터라도 우리가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답은 간단합니다. 대량소비와 폐기물을 줄이고, 물건을 완전히 
재활용하는 것입니다. 그런 작은 행동이 기후 변화로 인한 재해를 줄이고 
우리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첫걸음이 됩니다.

긴 장마와 더위 속에서 강건하시길 바랍니다.

 
 
 
                              2011년  8월  10일    횃 불 장 학 회
                                                   임 동 신 드림



 

- 감사합니다. (7/1 ~ 7/31 접수 순, 존칭은 생략합니다.) *연 회 비 : 강대현, 김종인, 김귀화, 하영길, 세무법인탑, 장경무, 상우악기 *월 회 비 :홍충남, 민 걸, 김진홍, 윤미자, 박기창, 오나영, 김민재 김 영, 이병철, 이인아, 임금순, 최화숙, 이호성, 주 문 장인송, 방기태, 김종원, 이승호, 김동분, 이태현, 이지선 한형석, 정파진, 윤은경, 김영균, 조선순, 김현경, 이순자 채광식, 서수근, 선왕주, 이경희, 김예림, 서안나, 서정원 심재안, 박시원, 최규열, 김수연, 임민영, 김성철, 박종옥 윤영숙, 이 정, 박성진, 김성은, 오선희, 여희숙, 정춘희 이규희, 송선경, 김이숙, 이용호, 송하규, 천경기, 손창학 김준경, 이수연, 전미정, 한윤경, 박성은, 지영숙, 정광진 임동기(2월), 임유성(2월), 김기정가족(2월), 물망초모임 한마음모임, 김흥용산부인과, 심영보(3월), 대한감정평가법인 *특별회비 : 대한감정평가법인(500,000), 박진호(300,000), 상우악기(540,000) - 축하합니다. * 8월 15일 정숙현 님 장남 김웅 군 결혼(서울대학교 엔지니어링센터) - 알려드립니다. 서정 대학 피부 미용과 교수로 계시는 회원님들께서 여름 여성분들의 미용을 위한 특별 강좌를 합니다. 시간이 허락하신 회원님들의 참여 부탁드립니다. (장소: 강남구 일원동 소재 일원 독서실) * 8월 8일 미용 전반 (이인희 교수님) * 8월 9일 피부 미용_여름철 미백관리 (현경화 교수님) * 8월 10일 여름철 건강관리와 위생일반 (조아랑 교수님) * 8월 11일 트렌드 메이크업 (천지연 교수님) * 8월 12일 휴가철 헤어연출 (김동분 교수님)

- 온라인구좌 국민은행 652301-90-200500 외환은행 093-13-02757-8 제일은행 276-10-035537 우리은행 118-05-030631 농 협 045-01-070775 신한은행 396-11-004773

- 홈페이지 주소 http://www.hfire.or.kr

profile
조회 수 :
473
등록일 :
2011.11.14
20:14:03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www.hfire.or.kr/16848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sort 날짜
178 횃불장학회 3월 소식입니다.. 임동신 456 2007-03-22
바람이 불지만 그렇게 매섭지 않습니다. 봄은 벌써 가까이 온 느낌입니다. 지난달 11일은 총회가 있었던 날입니다. 며칠 추웠던 바람도 잠시 멎고 대낮은 영상의 기온으로 포근했습니다. 바쁘신 중에 짬을 내어 참석해주신 회원님께 감사드립니다. 여러 가지 ...  
177 횃불장학회 2013년 5월 소식입니다. 횃불 457 2013-05-08
지난 4월은 유난히 변덕스러웠습니다. 이틀에 한번 꼴로 비가 내리는가 하면 일부 지방에서는 겨울이 다시 찾아와 눈을 뿌리기도 하였습니다. 이것은 우리나라 동북쪽 캄차카반도 상공에 생성된 고기압이 하늘의 벽을 만들어 시베리아의 차디 찬 제트 기류의 ...  
176 횃불장학회 2010년 12월 소식입니다. 횃불 458 2010-12-16
청지기의 사명 시베리아의 차가운 고기압이 한반도를 덮기 시작했습니다. 낙엽송이 여름내 푸르렀던 나뭇잎을 떨어뜨리고 겨울 지낼 차비를 끝낸 산과들은 적막합니다. 소망이 가득했던 새해가 어느 덧 저물어 매월 넘기는 달력도 한 장 남았습니다. 금년도 ...  
175 횃불장학회 2014년 2월 소식입니다. 횃불 458 2014-02-05
모시는 글 갑오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입춘과 더불어 새봄을 준비하는 우리 모임의 스물일곱 돌잔치에 귀하를 모시고져 합니다. 우리가 키우는 꿈나무들도 함께 자리합니다. 오셔서 격려해 주시고 자리를 빛내 주시면 더 없이 감사하겠습니다. (주차장과 저녁...  
174 횃불장학회 2014년 9월 소식입니다. 횃불 458 2014-09-19
금년 추석은 예년보다 빨리 찾아왔습니다. 주말과 대체 휴일을 포함하니 비교적 여유 있는 시간을 가질 수가 있습니다. 여러 가지로 어려웠던 상반기였지만 가족끼리 오붓하게 만나는 행복을 누리시길 바랍니다. 지난 8월은 1989년 요한 바오로 2세에 이어 25...  
173 횃불장학회 2014년 10월 소식입니다. 횃불 459 2014-10-13
오늘이 개천절입니다. 지금부터 4347년 전 단군께서 조선이라는 나라를 세우신 날입니다. 그러나 반만년 역사의 우리 조국은 세월호 사건이후 아직도 달라진 것이 하나도 없습니다. 요즈음 세계각처에서는 전쟁과 분규가 잠시 쉴 날이 없습니다. 특히 중동 지...  
172 횃불장학회 2011년 4월 소식입니다. 횃불 462 2011-04-08
지난 3월은 잔인한 달이었습니다. 지금까지 미처 경험하지 못했던 인류의 큰 불행을 그저 지켜볼 수밖에 없었던 달입니다. 그리고 그 불행의 끝이 어디까지 인지 아직도 아무도 모릅니다. 국내 많은 언론이나 문자매체들이 이 문제를 다룬 글 중에서 가장 공...  
171 횃불장학회 2014년 8월 소식입니다. 횃불 464 2014-08-29
여름이 한복판을 지나고 있습니다. 7일이 말복이자 입추, 그리고 23일이면 여름을 갈무리하는 처서가 됩니다. 회원님의 직장과 가정에 문안 인사드립니다. 7월 30일 그동안 치렀던 규모 중 가장 컸다는 재보선도 끝이 났습니다. 선거 전에 있었던 사건 사고와...  
170 횃불장학회 2013년 7월 소식입니다. 횃불 466 2013-07-09
해표지증이란 장애를 아십니까? 요즈음은 과거에 들어보지도 못한 병명이나 희귀한 증상을 가진 질병들이 나타나곤 합니다. 해표지증은 팔 다리 뼈가 없거나 극단적으로 짧아 손발이 몸에 붙은 선천적 기형 장애를 말한답니다. 그 원인은 환경의 변화나 약물...  
169 횃불장학회 2013년 8월 소식입니다. 횃불 466 2013-08-19
역사상 가장 지혜롭게 나라를 잘 다스린 왕은 이스라엘의 솔로몬 왕이라고 합니다. 지금도 지혜를 말할 때에는 한 아이를 서로 자기 아이라고 주장했던 두 엄마에 대한 그의 현명한 재판은 너무나 잘 알려져 있습니다. 다윗에 이어 이스라엘의 왕위에 오른 솔...  
168 횃불장학회 2012년 9월 소식입니다. 횃불 468 2012-09-08
지난달은 근래에 드문 폭염과 심한 비바람의 연속이었습니다. 특히 마지막 주에 한반도를 할퀴고 지나간 태풍 두개는 힘든 농어민들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습니다. 재해를 당하신 분들이 용기를 잃지 말고 그분들께 빠른 회복이 이루어지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167 횃불장학회 2014년 5월 소식입니다. 횃불 468 2014-05-21
온 나라가 슬픔으로 가득합니다. 세월호 참사의 희생자와 유가족들에게 향한 국민들의 애끓는 슬픔은 시간이 흘러갈수록 더 해만 갑니다. 경이로운 경제성장과 혁신기술을 자랑하는 사회에 쓰나미가 덮쳤습니다. 빠른 속도로 변하는 겉모양에 취해버린 한국 ...  
166 횃불장학회 2012년 11월 소식입니다. 횃불 469 2012-11-16
한국과 일본을 가르는 현해탄에 파도가 높습니다. 일본 극우파의 독도 문제와 역사 교과서 인식 문제가 그동안 쌓아 올렸던 한일 양국 간의 친선 관계에 찬물을 끼얹은 것이지요. 양국 정부는 당분간 긴장 상태를 유지하리라고 봅니다. 단풍이 아름다웠던 지...  
165 횃불장학회 2012년 4월 소식입니다. 횃불 470 2012-04-21
횃불장학회 2012년 4월 소식입니다. 성층권 얼음 기류가 심술을 부리지만 오는 봄은 막을 수가 없습니다. 남녘 꽃 소식이 한 주일 이상이나 지각해도 진해 군항제는 막을 올리고, 기세를 올린 벚꽃은 멀지 않아 서울에 입성할 것입니다. 2007년 미국 코네티컷...  
164 횃불장학회 2015년 12월 소식지입니다 file 횃불 470 2015-12-12
 
163 횃불장학회 2015년 6월 소식지입니다 file 횃불 471 2015-06-27
 
162 횃불장학회 2011년 11월소식입니다. 횃불 472 2011-12-13
예전엔 일삼아 찾아 나섰는데, 금년에는 단풍이 제가 사는 곳까지 곱게 찾아 왔습니다. 날씨도 춥지 않아 가을 나들이하기는 제격입니다. 늦더위 이상기후도 더러는 괜찮더군요. 그동안 회원님의 일터와 가정이 편안하셨기를 기원합니다. 지난 3일 새벽 중국...  
161 횃불장학회 2014년 4월 소식입니다. 횃불 472 2014-05-21
봄꽃들이 서로 다투어 새봄을 노래합니다. 샛노란 개나리, 연분홍 진달래, 화사한 벚꽃, 순결한 목련.. 예전 같으면 차례로 지면서 피던 꽃들이, 금년은 한꺼번에 꽃 잔치를 시작했습니다. 그동안 가정과 하시는 일터에 문안 인사드립니다. 돌아오는 4월 20일...  
» 횃불장학회 2011년 8월소식입니다. 횃불 473 2011-11-14
36일간 우리가 살고 있는 한반도에 1년 동안 내릴 비가 거의 내렸습니다. 특히 지난달 27일 중부 지방에 내린 비는 가히 '물 폭탄'수준이었습니다. 뜻 밖에 엄청난 재난을 당하고 유명을 달리하신 분들께 무슨 말로 위로를 드려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159 횃불장학회 2016년 1월 소식지입니다 file 횃불 473 2016-01-14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