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장학회소식

오늘이 개천절입니다.
지금부터 4347년 전 단군께서 조선이라는 나라를 세우신 날입니다.
그러나 반만년 역사의 우리 조국은 세월호 사건이후 아직도 달라진 것이 하나도 없습니다.
 
요즈음 세계각처에서는 전쟁과 분규가 잠시 쉴 날이 없습니다.
특히 중동 지역에는 각 나라마다 이런 저런 이유로 수많은 사람들이 희생당하고 
난민들이 안전한 곳을 찾아 정든 보금자리를 떠나는 모습이 과거 우리가 겪었던 
한국 전쟁을 연상시킵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동북아시아에 전쟁은 아니지만 전에 없는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잠에서 깨어난 중국이 무섭게 기지개를 켜고, 한동안 미국의 그늘에서 평화를 누리던 
일본도 군사대국으로 발 돋음 하려는 야심을 드러내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세계의 변화를 연구하고 장래를 내다보는 견해를 내놓은 사람이 있으니 
그는 60년간 국제 외교정책의 중심에 있었던 헨리 키신저 전 미 국무장관입니다. 
최근 자기의 저서 “세계질서”에서 그 원인을 분석하고 미래를 예측하고 있는데 
우리와 관계있는 부분을 요약해 봤습니다.

그는 현재의 세계질서가 변화되고 있는 것은 1648년 유럽 국가들이 맺은 
베스트팔렌 조약에 구현된 체제가 흔들리는데 있다고 지적합니다. 
유럽이 종교전쟁과 정치적 혼란으로 터진 30년 전쟁을 마감한 이 조약은 
각 국가의 주권 인정과 내정 불간섭, 다른 종교용인 등 다양성과 절제를 바탕으로 
성립되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이 조약의 원칙이 도전 받고 있으니 그 예로 유럽은 
국가 간 통합의 길로 가고 있고, 중동은 극단 주의세력의 기승으로 국가의 존재가 
위협받고 있으며, 아시아에서는 국가 간 세력경쟁이 벌어지고 있다고 말합니다.

그는 특히 우리가 살고 있는 아시아에 관련해서 미-중 간의 세력 균형 정책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고 주장합니다. 역사상 기존 강대국과 신흥 강대국이 대면했던 
15번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전쟁으로 연결된 것이 10차례나 된다면서, 
전쟁의 재앙을 피하려면 두 나라의 동반자적 관계가 절대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장래의 세계질서 건설은 냉전이후 미국이 혼자서 전 세계 리더십을 잡은 것 같은 형국은 
허락되지 않을 것이고 동북아의 안정을 위해 군사적 접근에만 의존함은 대단히 
위험하다고 말합니다. 이 가운데 북핵 문제는 미-중간의 신 대국관계를 진전시키는데  
중요한 이슈로 봤습니다. 
북한과 혈맹으로 이어진 중국의 입장은 핵 포기를 요구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지지하는 정도라면서, 미-중이 모든 당사자국들을 더 안전하게 만드는 비핵화 된 
통일 한국을 위한 전략에 성공한다면 신대국관계의 큰 진전이 될 수 있다고 예언합니다. 
또한 중국의 부상이라는 새로운 안보환경에서 일본의 선택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즉 미국과의 동맹 강조, 중국의 부상에 순응, 민족적 외교정책 강화 등에서 일본의 판단과
결정은 또 하나의 국제적 변수가 된다는 것입니다.
 
이렇듯 지금 세계는 새로운 지형으로 변화를 거듭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세계의 열강 사이에서 과거 구한말처럼 약소국가로 유린당해선 안 됩니다. 
이제 우리는 지금까지 이룩한 국가경쟁력 위에 각계각층의 활발한 의사소통과 지혜를 
결집하여 우리의 운명을 스스로 개척하는 동북아의 현명한 주인공이 되어야합니다 .


                                   2014년 10월 3일
                                                                             
            


                                                              횃불 장학회   임  동  신 드림
 

 
 
 
 
 
 
 
 

- 감사합니다. ( 9/1 ~ 9/30 접수분, 존칭은 생략합니다.) * 연 회 비 정강무, 이정순, ㈜상우악기, 김귀화, 세무법인 탑, * 월 회 비 이선철(2월), 최갑순, 오나영, 김진홍, 임동기, 김민재, 김신일, 여희숙, 김이숙, 정춘희, 김한신, 송하규, 심영보, 박성은, 이규희, 임금순, 최화숙, 장인송, 이호성, 김종원, 이향옥, 표성애, 천경기, 이용호, 김동분, 방근영, 방민석, 이지선, 정파진, 김현경, 김현숙, 최종철, 김영균, 이순자, 선왕주, 이경희, 김예림, 박시원, 심재안, 최규열, 김수연, 임민영, 김성철, 김성수, 서안나, 윤영숙, 한윤경, 김기정가족, 대한감정법인, 김민용, 박복님, 물망초모임, - 삼가조의를 표합니다. * 9월 14일 김 찬 기님 ( (주)해남농원 대표이사) 부 친 소천 - 축하합니다. * 9월 13일 이 계송님 (본회 미국 중부지역회장, 뷰티타임스 발행인) 따님 밍키 결혼 * 9월 17일 장 인 송님 (본회 자문위원, 전 도봉구 부구청장) “Our Daily Bread"를 번역한 제목 “오늘도 한 걸음씩” 묵상 기도문 발간 - 알려드립니다. * 10월 16일 이 계송님이 주관하시는 bakboko.com (밖에서 보는 코리아)가 오후 2시 프레스 센터에서 시사 세미나개최 (강사; 남 일리노이대 김 상기교수외) * 10월 31일 윤 기님 ( 본회 명예이사, 일본 마음의 가족 이사장) 이 주최하는 제 10회 한 일 심포지움이 오후 2시 프레지덴트 호텔에서 열림.

- 온라인구좌 국민은행 652301-90-200500 외환은행 093-13-02757-8 제일은행 276-10-035537 우리은행 118-05-030631 농 협 045-01-070775 신한은행 396-11-004773 하나은행 108-910017-45204

- 홈페이지 주소 http://www.hfire.or.kr

profile
조회 수 :
484
등록일 :
2014.10.13
11:40:13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www.hfire.or.kr/16854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29 횃불장학회 2015년 9월 소식지입니다 file 횃불 451 2015-09-06
 
128 횃불장학회 2015년 8월 소식지입니다 file 횃불 447 2015-08-09
 
127 횃불장학회 2015년 7월 소식지입니다 file 횃불 451 2015-07-06
 
126 횃불장학회 2015년 6월 소식지입니다 file 횃불 503 2015-06-27
 
125 횃불장학회 2015년 5월 소식입니다 횃불 534 2015-05-12
갑자기 여름이 되어버린 느낌입니다. 올해는 봄이 온데간데없고 갑자기 수은주가 섭씨 25도를 훌쩍 넘어버리니, 거리에는 겨울 패딩부터 반소매 티셔츠까지 옷차림이 다양하고, 진달래 개나리 목련 벚꽃 등 봄의 전령사들도 헷갈리고 있습니다. 청년 취업이 ...  
124 횃불장학회 2015년 4월 소식입니다. 횃불 523 2015-04-19
새봄이 남쪽의 꽃소식과 함께 왔습니다. 메말랐던 가지에 개나리가 함박웃음을, 양지바른 곳에 하얀 목련이, 여의도에는 봄의 여왕 벚꽃이 상륙할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세상은 아직 잿빛이지만 화사한 봄빛은 변함없이 우리 곁으로 찾아왔습니다. 광복 70주...  
123 횃불장학회 2015년 3월 소식입니다. 횃불 640 2015-03-24
입춘은 절기상 봄을 알려줍니다. 그러나 계절을 기준으로 하면 3월 1일부터 봄은 시작합니다. 그동안 겨울을 잘 이겨내고 봄을 맞으신 회원님의 가정과 직장에 문안 인사드립니다. 지난 2월12일 저희 모임의 창립 28주년 기념식과 장학금 전달식이 있었습니다...  
122 횃불장학회 2015년 1월 소식입니다. 횃불 521 2015-01-30
2015년 새해가 다시 밝았습니다. 해방이 오면 삼각산이 일어나 춤을 추고 한강물이 뒤집혀 용솟음치고, 목숨이 끊어지기 전이라면 밤하늘의 까마귀처럼 종로의 인경을 들이받아 두개골이 깨어져도 여한이 없겠다는 심 훈 시인의 그날이 일흔 번을 맞는 해입니...  
121 횃불장학회 2014년 12월 소식입니다. 횃불 540 2014-12-12
12월 첫날 눈이 제법 내렸습니다. 서해안 남쪽 지방은 설국이 되었습니다. 금년도 무척이나 다사다난 했습니다. 올해 일 년 동안 염려와 정성으로 돌보아주신 회원님 한분 한분께 감사드립니다. 새해가 왔다면 또 년 말이 오듯이 세상일에는 반드시 시작과 끝...  
120 횃불장학회 2014년 11월 소식입니다. 횃불 515 2014-11-14
계절을 품고 있는 푸른 하늘에 가을 기운이 가득합니다. 여름 내 녹음을 자랑했던 나무들도 무성했던 옷을 벗기 시작합니다. 보도 위에 노란 은행잎이 융단처럼 깔렸습니다. 지난 달 26일은 105년 전, 안중근 의사가 일본의 이또오 히로부미를 저격한 날입니...  
» 횃불장학회 2014년 10월 소식입니다. 횃불 484 2014-10-13
오늘이 개천절입니다. 지금부터 4347년 전 단군께서 조선이라는 나라를 세우신 날입니다. 그러나 반만년 역사의 우리 조국은 세월호 사건이후 아직도 달라진 것이 하나도 없습니다. 요즈음 세계각처에서는 전쟁과 분규가 잠시 쉴 날이 없습니다. 특히 중동 지...  
118 횃불장학회 2014년 9월 소식입니다. 횃불 486 2014-09-19
금년 추석은 예년보다 빨리 찾아왔습니다. 주말과 대체 휴일을 포함하니 비교적 여유 있는 시간을 가질 수가 있습니다. 여러 가지로 어려웠던 상반기였지만 가족끼리 오붓하게 만나는 행복을 누리시길 바랍니다. 지난 8월은 1989년 요한 바오로 2세에 이어 25...  
117 횃불장학회 2014년 8월 소식입니다. 횃불 489 2014-08-29
여름이 한복판을 지나고 있습니다. 7일이 말복이자 입추, 그리고 23일이면 여름을 갈무리하는 처서가 됩니다. 회원님의 직장과 가정에 문안 인사드립니다. 7월 30일 그동안 치렀던 규모 중 가장 컸다는 재보선도 끝이 났습니다. 선거 전에 있었던 사건 사고와...  
116 횃불장학회 2014년 7월 소식입니다. [2] 횃불 511 2014-08-29
금년도 상반기가 지나갔습니다. 그동안 회원님의 직장과 가정은 평안하셨는지요? 지난 6개월은 리조트 체육관 지붕 붕괴, 아파트 단지 주차장 지반 무너짐, 세월호 침몰, 고양시 버스 터미널 화재, 장성 요양원 화재, 그리고 22사단 총기 사고 등 크고 작은 ...  
115 횃불장학회 2014년 6월 소식입니다. 횃불 512 2014-06-17
지방 선거가 끝났습니다. 여야 정치권 어느 한 곳에 몰표를 주지 않고 준엄한 주문을 한 국민의 선택은 절묘합니다. 개혁을 외친 정부에게는 시간을 주고, 새로운 대안 정당으로 더욱 매진하도록 야당에게는 기회를 준 선택은 민심은 천심이라는 하늘의 소리...  
114 횃불장학회 2014년 5월 소식입니다. 횃불 497 2014-05-21
온 나라가 슬픔으로 가득합니다. 세월호 참사의 희생자와 유가족들에게 향한 국민들의 애끓는 슬픔은 시간이 흘러갈수록 더 해만 갑니다. 경이로운 경제성장과 혁신기술을 자랑하는 사회에 쓰나미가 덮쳤습니다. 빠른 속도로 변하는 겉모양에 취해버린 한국 ...  
113 횃불장학회 2014년 4월 소식입니다. 횃불 499 2014-05-21
봄꽃들이 서로 다투어 새봄을 노래합니다. 샛노란 개나리, 연분홍 진달래, 화사한 벚꽃, 순결한 목련.. 예전 같으면 차례로 지면서 피던 꽃들이, 금년은 한꺼번에 꽃 잔치를 시작했습니다. 그동안 가정과 하시는 일터에 문안 인사드립니다. 돌아오는 4월 20일...  
112 횃불장학회 2014년 3월 소식입니다. 횃불 862 2014-03-06
계절이 다니는 하늘에는 봄기운이 가득합니다. 그동안 회원님의 가정과 직장에 문안 인사드립니다. 지난 2월13일 저희 모임의 창립 27돐 기념식과 장학금 전달식이 있었습니다. 준비한 좌석이 넘치도록 성황을 이루어주신 회원님과 내빈님과 지방에서 전화로 ...  
111 횃불장학회 2014년 2월 소식입니다. 횃불 484 2014-02-05
모시는 글 갑오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입춘과 더불어 새봄을 준비하는 우리 모임의 스물일곱 돌잔치에 귀하를 모시고져 합니다. 우리가 키우는 꿈나무들도 함께 자리합니다. 오셔서 격려해 주시고 자리를 빛내 주시면 더 없이 감사하겠습니다. (주차장과 저녁...  
110 횃불장학회 2014년 1월 소식입니다. 횃불 572 2014-01-14
새해 새아침 인사드립니다. 지난해에 보살펴 주신 사랑에 감사드리며 새해에도 가정과 하시는 일에 주님이 함께 하시길 기원합니다. 길이 끝나는 곳에서 길은 다시 시작되고 이렇게 아무런 꿈도 없이 살아갈 수는 없지 가문 가슴에, 어둡고 막막한 가슴에 푸...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