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건강과생활

약 포장의 작은 글자, 놓쳐선 안 되는 이유| Daum라이프

약 포장의 작은 글자, 놓쳐선 안 되는 이유

헬스조선 | 정재훈 약사 | 입력 2017.06.29 13:59 | 수정 2017.06.29 14:16

 

 

약 포장 뒷면에 적힌 문구 한 줄, 얼마나 중요할까? 읽다보면 무시하고 싶은 생각이 들 때가 있다. 그러나 약 포장에 적힌 작은 글자는 무척 중요하다. 진해거담제와 안약, 비강스프레이를 예로 들어 알아보자.

 

[health chosun][health chosun]

 

진해거담제, 복용 시간이 부작용 좌우가래 제거에 도움이 된다는 아세틸시스테인 성분의 한 진해거담제 뒷면을 보자. ‘식전에 소량의 물과 함께 복용 한다’는 말이 적혀 있지만, 명령문은 아니다. 왠지 무시하고 식후에 먹어도 괜찮을 거 같다. 식후에 먹을 약을 식전에 먹으면 문제가 생기겠지만, 식전약을 식후에 복용하는 일이야 뭐 괜찮지 않을까? 그렇지 않다. 약의 사용에 있어서는 종종 작은 차이가 큰 차이를 만들어낸다. 짧은 문구 한 줄 이라도 잘 살펴보고 그대로 따라야 효과를 최대로, 부작용은 최소로 할 수 있다.

 

진해거담제를 식전 소량의 물과 함께 복용하라는 데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 진해거담제는 호흡기의 끈끈한 점액을 묽게 만들어서 가래를 쉽게 배출하게 한다. 그런데 문제는 우리의 위 속에도 점액이 있다는 것이다. 위 안에서 점액의 역할은 위산에 의해 위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해주는 것인데, 이 약은 위 속 점액과 기관지의 점액을 구별할 수 없다. 진해거담제가 위에 오래 머물면 위점막을 감싸고 있는 점액을 분해하여, 위산의 공격에 취약해지고 속쓰림을 느끼게 된다. 식전에 소량의 물과 함께 복용하면 약이 위에 오래 머물지 않고 금방장으로 내려가서 흡수되므로 이런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 보통 위장에 부담을 주는 약은 식후에 복용하면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데 반해, 아세틸시스테인과 같은 일부 진해거담제는 도리어 식전에 복용해야 위에 부담이 덜한 이유다.

 

‘디테일’ 놓치면 안 되는 안약안약 사용 시에도 디테일이 중요하다. 사용기한이나 사용법이 안약에 잘 적혀 있지만, 읽지 않고 넘어가는 사람이 많다. 우선 안약의 사용기한 문제부터 살펴보자. 얼마 전 출연한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안약을 개봉하고 나면 1개월만 사용하고 버려야 한다는 설명을 하니 바로 청취자 질문이 들어왔다. 정말 딱 한 달만 쓰고 버려야 하는지 궁금하다는 것이다. 답은 ‘그렇다’이다. 안약에 적혀있는 사용기한은 개봉 전까지만 유효하다. 개봉 뒤에는 세균 오염과 변질 위험이 생겨, 한 달까지만 쓰고 버려야 한다. 무보존제 일회용 안약은 한 번 쓰고 버려야한다. 이렇게 엄격한 것은 소중한 우리 눈에 사용하는 약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안약은 제조 시에도 다른 제형 약에 비해 더 엄격한 기준에 따라 멸균정제수만을 사용하여 만든다. 안약은 사용할 때도 주의가 필요하다. 보통 눈에 안약을 넣으면 ‘깜박깜박’하는 동작을 취한다. 그런데 이는 잘못된 사용법이다. 안약 대부분이 눈 밖으로 새어나가기 때문이다.

 

눈을 감고 있을 때 안구가 수용할 수 있는 액체의 부피는 30마이크로리터(1mcL = 0.001mL) 정도다. 안약 한 방울의 부피는 50마이크로리터이다. 한 방울만 넣어도 넘치는 용량이다. 눈을 깜박거리면 안구 주변의 액체 수용 공간이 줄어들면서 기껏 넣은 안약의 대부분이 새어 나간다. 두 가지 이상의 다른 안약을 사용할 때는 최소 5분 이상의 간격을 두라는 것도 마찬가지 이유로, 낭비를 막기 위함이다. 어떻게 하면 안약을 제대로 사용할 수 있을까? 작은 디테일 몇 가지만 기억하면 된다. 첫째, 안약을 넣을 때 아래 눈꺼풀을 잡아당겨 작은 주머니 같은 공간을 만들고 거기에 안약을 떨어뜨린다. 이렇게 하면 놀라서 안약 용기 끝이 눈에 닿아서 안구가 다치거나 손상될 위험도 줄어들고, 안약 내용물이 오염되는 것도 막아준다. 동시에, 반사적으로 눈을 깜박거릴 가능성도 줄여줄 수 있다. 둘째, 안약을 넣고 나면 눈을 지그시 감은 다음 1~2분간 계속 감고 있어야 한다. 1~2분간 눈과 코 사이 눈물길을 양손 집게손가락으로 가볍게 눌러 안약이 코로 새어 나가는 것을 막아준다. 녹내장 환자의 안압을 떨어뜨리는 안약 성분이 코로 흘러들어가 인체 내로 흡수되면 혈압이 떨어질 수도 있어, 이러한 사용상의 주의사항을 숙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녹내장 치료를 위한 안약의 사용설명서에는 ‘질환이 있는 눈에 1회 1방울 1일 1회 점안한다’고 되어 있지만, 눈이 건조할 때 사용하는 인공 눈물 안약에는 ‘1회 1~3방울 점안’이라고 되어 있다. 두세 방울을 넣어봤자 다 새나간다면서, 왜 이렇게 설명되어 있을까? 바로 각각의 약 성분이 내는 효과가 다르기 때문이다. 녹내장 치료를 위한 안약의 경우 효과가 비교적 강력하므로, 사용량에 특별히 주의가 필요하다. 반면 인공눈물 안약에 들어있는 성분은 필요량보다 더 써도 별다른 부작용이 없을뿐더러, 약값도 저렴한 편이어서 넉넉하게 사용할 것을 권하는 것이다. 분무제, 필요할 때 짧게 써야 코에 분무제(비강스프레이)를 사용할 때도 디테일은 중요하다. 코의 가운데 부분은 연골로 되어 있어서 손상되기 쉽다. 코 안에 스프레이를 뿌릴 때는 약이 가운데(비중격)가 아니라 바깥쪽을 향하도록 뿌려주어야 하고, 콧속 깊은 곳에 약을 뿌렸다가는 약이 목구멍으로 넘어갈 수 있으니 콧구멍 아래쪽의 더 넒은 공간에 고르게 분무될 수 있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약을 뿌리자마자 코를 풀면 약 성분이 콧물과 함께 흘러나오므로 바로 코를 풀거나 재채기를 하지 않는 게 좋다.

 

특히 처음 약을 사용할 때나, 1~2주 이상 약을 사용하지 않다가 쓰면 제대로 분무되지 않을 때가 있다. 이때는 사람 얼굴에 닿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허공에 대고 두세번 시험 분무를 해주는 준비 동작이 필요하다. 또한 코막힘에 사용하는 비충혈 제거 스프레이는 너무 오랫동안 계속 사용하면 약으로 인해 증상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필요할 때만 짧게 쓰는 게 좋다. 독일의 저명한 건축가 미스 반 데어 로에의 “신은 디테일 안에 있다”는 말은 약 사용에도 통한다. 기억하자. 약 사용에서 신의 한 수는 디테일이다.

 

[health chosun]

 

[health chosun]

 

정재훈 약사과학·역사·문화를 아우르는 다양한 관점에서 약과 음식의 이면에 숨겨진 사실을 탐구하는 데 관심이 많은 약사다. 현재 대한약사회 홍보 위원으로 활동 중이며, 방송과 글을 통해 약과 음식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를 대중에게 전하고 있다. 저서로는 《정재훈의 생각하는 식탁》이 있다.

 

-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조회 수 :
201
등록일 :
2017.07.03
10:27:45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www.hfire.or.kr/17128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sort
831 '이 운동' 조기 사망 위험 20% 낮춘다 불씨 110 2022-03-16
'이 운동' 조기 사망 위험 20% 낮춘다 김서희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2. 03. 15. 22:00     일주일에 30~60분의 근력 운동만으로도 조기 사망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일주일에 30~60분의 근력 운동만으로도 조기 사망 위험을 낮출 수 있다...  
830 건강하게 숨 쉬는 법 5 불씨 145 2022-03-17
건강하게 숨 쉬는 법 5 이용재 입력 2022. 03. 16. 16:01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숨을 내쉬고 들이쉬는 건 대개 무의식적으로 벌어지는 일. 그러나 호흡은 생각보다 중요하다. 균형 잡힌 호흡은 혈중 산소와 이산화탄소 수치를 바람직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829 3년 뒤 '암 진단'을 예고하는 4가지 증상 불씨 112 2022-03-18
3년 뒤 '암 진단'을 예고하는 4가지 증상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2. 03. 16. 11:21     객혈을 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3년 뒤 식도암 진단을 받을 위험이 더 크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암은 대체로 이렇다 할 조기 증상이 없어 손쓸 수 없이 ...  
828 '노화' 늦추는 일상 속 생활습관 7가지 불씨 184 2022-03-19
'노화' 늦추는 일상 속 생활습관 7가지 김용 입력 2021. 11. 07. 11:47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노화를 막을 순 없어도 늦출 수는 있다'는 말이 있다. 나이 들어 늙는 것은 인간의 숙명이지만, 노화의 속도가 유난히 빠른 사람이 있다. 장기간 잘못된 생활...  
827 상처 함부로 긁었다간.. '이 병'에 괴사까지? 불씨 218 2022-03-20
상처 함부로 긁었다간.. '이 병'에 괴사까지? 김윤섭 기자 입력 2022. 03. 13. 06:45     모기에 물린 상처를 지속적으로 긁게 되면 세균감염질환인 봉와직염에 걸릴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사진=이미지투데이 흔히 모기에 물리면 물린 부위의 간...  
826 잠 깨자마자 '이것' 5초, 건강 효과 누려 불씨 121 2022-03-21
잠 깨자마자 '이것' 5초, 건강 효과 누려 이슬비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2. 03. 16. 08:30     기지개는 효과적으로 잠에서 깨도록 돕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매일 아침 눈꺼풀이 이 세상에서 가장 무거운 것 같다면, 잠에서 깨자마자 기지개로 몸을 쭉 펴...  
825 우리는 아직도 숨 쉬는 방법을 잘 모른다 불씨 199 2022-03-22
우리는 아직도 숨 쉬는 방법을 잘 모른다[경희의료원 명의토크] 강석봉 기자 입력 2022. 03. 16. 10:17 수정 2022. 03. 16. 16:59     [스포츠경향] 호흡이란 단어는 ‘내쉴 호(呼)’와 ‘들이마실 흡(吸)’으로 이뤄진다. ‘들이마신다(흡)’는 말보다 ‘내쉰다(호)’...  
824 '암 예방의 날'..암을 막는 10가지 방법 불씨 145 2022-03-23
'암 예방의 날'..암을 막는 10가지 방법 유지후 입력 2022. 03. 21. 15:36     매년 3월 21일은 암 예방의 날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암 발생의 3분의 1은 예방 활동 실천으로 예방할 수 있고, 3분의 1은 조기 진단 및 조기 치료로 완치할 수 있으며, 나머...  
823 박은정 교수 "손소독제가 바이러스만 죽이는 게 아니다" 불씨 121 2022-03-24
박은정 교수 "손소독제가 바이러스만 죽이는 게 아니다" 김서영 기자 입력 2022. 03. 20. 09:01     [경향신문] <햇빛도 때로는 독이다> 출간 박은정 경희대 의대 교수가 3월 14일 경향신문과 인터뷰하고 있다. / 김영민 기자 3년 연속 세계 피인용 상위 1% 연...  
822 아침 식사 어떻게? 공복에 나쁜 음식 vs 좋은 음식 불씨 192 2022-03-25
아침 식사 어떻게? 공복에 나쁜 음식 vs 좋은 음식 김용 입력 2022. 03. 23. 08:22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아침 식사는 장시간의 공복 상태에서 먹는 첫 음식이다. 야식을 먹지 않았다면 12시간 이상 빈속을 유지한 경우도 있을 것이다. 위장이 거의 비어 ...  
821 건강하게 오래 사는 사람들의 생활 습관 9 불씨 289 2022-03-26
건강하게 오래 사는 사람들의 생활 습관 9 이보현 입력 2022. 03. 25. 18:01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지구촌에서 가장 오래, 가장 건강하게 사는 사람들이 거주하는 지역을 흔히 '블루존'(blue zone)이라고 한다. 이는 내셔널 지오그래픽의 지원을 받아 세...  
820 축 처지기 쉬운 시기..기운 북돋우는 방법과 식품 불씨 120 2022-03-27
축 처지기 쉬운 시기..기운 북돋우는 방법과 식품 권순일 입력 2022. 03. 25. 08:39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나른하고, 왠지 힘이 떨어지는 시기다. 여기에 3년 가까이 지속되고 있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혼란한 시국으로 인해 기분마...  
819 면역력 증강이 필수인 시기..강화법 및 식품 불씨 110 2022-03-28
면역력 증강이 필수인 시기..강화법 및 식품 권순일 입력 2022. 03. 26. 13:06     [사진=클립아트코리아] 면역력을 증강시키는 일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기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정점을 향해 치닫고 있기 때문이다. 신진대사가 활...  
818 군살 빼고 근육 키우려면 '초간단 1·3·5 건강법' 강추 불씨 141 2022-03-29
군살 빼고 근육 키우려면 '초간단 1·3·5 건강법' 강추 이승구 입력 2022. 03. 28. 11:17     코로나 속 비만율 '급증'..가벼운 운동계획으로 '작심삼일' 극복 '한 정거장 일찍 내려 1km 걷기' 통해 유산소 운동·군살 제거 '플랭크 3분 버티기'..간단한 동작으...  
817 연애 실패 시, 우리 심장엔 어떤 일이? 불씨 130 2022-03-30
연애 실패 시, 우리 심장엔 어떤 일이? 문세영 입력 2022. 02. 28. 16:38     [사진=eternalcreative/게티이미지뱅크] 원치 않는 이별은 심적 고통을 일으킨다. 정신 건강만 영향을 받는 게 아니다. 신체 건강도 해로운 영향을 받는다. 이별의 고통은 주의력, ...  
816 고령화 사회 건강한 노화를 위한 영양 팁은? 불씨 113 2022-03-31
고령화 사회 건강한 노화를 위한 영양 팁은? 이승구 입력 2022. 03. 25. 09:38     규칙적 근력운동, 근육성장 돕고 노화과정에 긍정적 충분한 단백질 섭취, 노년층의 근육 합성 등 촉진시켜 오메가-3 보충, 뇌·심장건강 지키고 신진대사 활발케 녹황색채소 섭...  
815 집에서 가능.. 초간단 전신 근육 단련법 불씨 186 2022-04-01
집에서 가능.. 초간단 전신 근육 단련법 이슬비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2. 03. 09. 01:00     집에서 맨몸으로 전신 근육 단련하는 법 운동하려고 마음을 먹어도 막상 집 밖으로 나가기는 쉽지 않다. 그렇다면 집에서 15분만 투자해 전신 근력을 단련해 보자. ...  
814 환절기 면역력 '이렇게' 지키세요 불씨 109 2022-04-02
환절기 면역력 '이렇게' 지키세요 전종보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2. 04. 01. 07:30     환절기 면역력 관리를 위해서는 충분한 숙면과 스트레스 관리 등 평소 생활습관 개선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환절기에는 면역력이 쉽게 저하될 수...  
813 세균 바글한 설거지 싫다면.. 수세미 관리 '이렇게' 불씨 128 2022-04-03
세균 바글한 설거지 싫다면.. 수세미 관리 '이렇게' 이슬비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2. 04. 02. 08:00     수세미를 주기적으로 소독해야 더 오래 사용할 수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그릇에 묻은 음식물 찌꺼기를 닦아내는 수세미는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면 ...  
812 일교차 큰 환절기..심혈관질환 피하려면? 불씨 119 2022-04-04
일교차 큰 환절기..심혈관질환 피하려면? 이지원 입력 2022. 04. 03. 02:33     [날씨와 건강] 환절기 심혈관질환 예방하는 생활 습관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전국이 대체로 맑겠으나 내륙을 중심으로 낮과 밤의 기온차가 15~20도로 크겠다. 아침 최저기온은...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