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건강과생활

내년 2월 시행 '웰다잉법' 안착할까..일반인 84% 몰라 혼선우려| Daum라이프

내년 2월 시행 '웰다잉법' 안착할까..일반인 84% 몰라 혼선우려

환자·보호자·의료진도 모르는 비율 60% 넘어
의료계 일각 "시범사업 통해 문제점 보완" 주장연합뉴스 | 입력 2017.08.08 06:01 | 수정 2017.08.08 07:45

 

 

(서울=연합뉴스) 서한기 기자 = 임종을 앞두고 존엄하게 생을 마감할 수 있게 한 '웰다잉법'의 시행이 내년 2월로 코앞에 다가왔는데도 여태껏 직접 이해당사자인 환자·보호자·의료진조차 이를 제대로 알지 못해 시행과정에서 혼선이 우려된다.

 

시행착오와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법 시행에 앞서 시범사업을 먼저 실시해 문제점을 보완해야 한다는 제안도 의료계 일각에서 나온다.

 

8일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의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도 조사 및 홍보 전략 개발' 보고서(최영순 센터장, 태윤희 부연구위원)에 따르면 지난 3월 20일∼4월 4일 만 19세 이상 1천명(의료진 250명, 환자와 보호자 250명, 일반인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니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 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는지에 대해 조사 대상자 대부분이 모르고 있었다.

 

조사집단별로 살펴보면, 일반인 집단에서 84.4%가 모르고 있었고, '알고 있었다'는 답변은 15.6%에 불과했다.

심지어 의료진 집단에서조차 웰다잉법의 시행을 알고 있는 경우는 33.6%에 그쳤다. 몰랐다는 의료진이 66.4%에 달했다.

환자와 보호자 집단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연명의료 결정법이 시행되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는 환자와 보호자는 37.2%였고, 몰랐다는 답변이 62.8%에 이르렀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웰다잉법의 안착에 필수적인 서류라 할 수 있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와 '연명의료계획서'에 대해 많은 응답자가 들어본 적조차 없다고 할 정도로 매우 낮은 인지도를 보였다.

 

새 제도 정착에 상당한 진통이 뒤따를 것을 예고하는 대목이다.

 

설문조사결과, 사전연명의료의향서와 연명의료계획서를 알고 있는 비율은 의료진 38.8%, 환자와 보호자 33.2%, 일반인 20.4% 등에 머물렀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건강할 때 미리 작성해 정부가 지정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기관을 통해 등록해두면, 죽음이 임박한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라는 의학적 판단이 내려졌을 때 무의미한 연명의료를 거부할 수 있다.

 

연명의료는 인공호흡기·심폐소생술·혈액투석·항암제 투여 등 4가지 의료행위로, 의료계 일각에서는 회생 가능성이 없는 임종기 환자에게는 고통만 가중하는 의미 없는 행위가 된다고 지적해왔다.

 

만약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쓰지 못한 상태에서 중증 질환으로 병원에 입원한 경우에는 환자가 담당 의사에게 '연명의료계획서'를 작성해 달라고 요청할 수 있다. 이 서류는 의사가 환자에게 설명하고 환자의 확인을 받아 작성하며, 사전연명의료의향서와 같은 법적 효력을 가진다.

 

이처럼 연명의료 중단법에 대한 인식이 낮다 보니 실제 의료현장에서 적용할 때환자·보호자와 의료진 사이에 불필요한 오해와 마찰이 빚어지지 않겠느냐는 우려가 나온다.

 

이와 관련,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를 비롯해 13개 의학회는 현재의 연명의료 결정법 하위법령은 기준이 모호하고 오히려 불필요한 연명치료를 조장하는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도 있는 국내 의료계 실정을 전혀 반영하지 않았다며 시범사업을 통해 문제점을 보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shg@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조회 수 :
96
등록일 :
2017.08.08
09:42:58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www.hfire.or.kr/17156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sort 날짜
129 의사·약사가 챙겨 먹는 영양제 1위 '종합비타민' 불씨 546 2018-01-21
의사·약사가 챙겨 먹는 영양제 1위 '종합비타민'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의사·약사가 챙겨 먹는 영양제 1위 '종합비타민'   이금숙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7.12.21 09:04   건강 전문가 40명 대상으로 설문… 프로바이오틱스·미네랄제제 順   의사·약...  
128 봄이다, 드라이브하기 좋은 길은 여기 불씨 548 2017-04-30
봄이다, 드라이브하기 좋은 길은 여기| Daum라이프 봄이다, 드라이브하기 좋은 길은 여기   관광공사, 호반 풍경 즐기는 75번 국도 등 4곳 추천 '호반로''헌화로' 등 특히 유명중앙일보 | 양보라 | 입력 2017.04.24 16:26       드라이브 하기 좋은 계절, 봄이...  
127 하루에 소변을 몇 번을 봐야 정상일까? 불씨 550 2018-02-13
하루에 소변을 몇 번을 봐야 정상일까?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하루에 소변을 몇 번을 봐야 정상일까?   헬스조선 편집팀  입력 : 2018.02.12 08:00   소변은 하루에 몇 번을 봐야 정상일까? / 사진-헬스조선DB 소변은 몸의 대사 과정을 실시간으로 보...  
126 적정 체온 사수해야 건강.. '체온 올리는 법' 7가지 불씨 555 2019-12-31
적정 체온 사수해야 건강.. '체온 올리는 법' 7가지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9.11.11. 08:30     운동·명상 등 도움     추위속에서도 적정 체온을 유지해야 건강한 겨울을 날 수 있디./ 사진=클립아트코리아     동지가 지나면서 날씨가 부쩍 차가워졌...  
125 한국인 위암예방 건강수칙 7가지, 먹어야 할 것 vs. 먹지 말아야 할 것 불씨 560 2017-03-20
한국인 위암예방 건강수칙 7가지, 먹어야 할 것 vs. 먹지 말아야 할 것| Daum라이프 한국인 위암예방 건강수칙 7가지, 먹어야 할 것 vs. 먹지 말아야 할 것 하이닥 | 김선희 | 입력 2017.03.17 14:31 | 수정 2017.03.17 15:09         한국인 위암 예방 수칙 -...  
124 봄이 건강에 좋은 이유 5가지 불씨 564 2017-03-24
봄이 건강에 좋은 이유 5가지| Daum라이프 봄이 건강에 좋은 이유 5가지 코메디닷컴 | 권순일 | 입력 2017.03.24 11:06     본격적인 봄이다. 이제는 봄이 주는 각종 혜택을 받아들일 준비를 해야 한다. 미국 인터넷 매체 허핑턴포스트 자료를 토대로 봄이 우...  
123 방금 생긴 상처, 소독약 바를까 밴드 붙일까? 불씨 577 2018-09-11
방금 생긴 상처, 소독약 바를까 밴드 붙일까?   입력 : 2018.09.09 10:00   김수진 헬스조선 기자     상처에 따라 처치법은 조금씩 다르다/헬스조선DB   갑자기 상처가 생겼다면 곧바로 응급처치를 해야 한다. 피부 맨 바깥인 표피층만 손상된 정도라면 집에...  
122 목·어깨 통증..'파스' 몇 시간 만에 떼어내시나요? 불씨 581 2018-10-28
목·어깨 통증..'파스' 몇 시간 만에 떼어내시나요?   김진구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10.19 15:20  파스를 붙였다면 12시간 뒤에는 떼어내는 것이 좋다./사진=헬스조선DB   목이나 어깨가 뻐근할 때 흔히 파스를 붙인다. 파스는 근육통·타박상·신경통 등의 ...  
121 긁힌 피부에 샤워기 대지 마세요… 상처별 대처법 불씨 583 2023-02-21
긁힌 피부에 샤워기 대지 마세요… 상처별 대처법 이슬비 기자입력 2023. 2. 19. 12:00       상처 종류에 따라 처치 방법이 다르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우리는 살아가면서 다양한 상처를 입는다. 크든 작든 모든 상처는 예상치 못할 때 입게 되므로 평소 회...  
120 스마트폰 해킹은 어떻게 이뤄질까? 불씨 585 2020-01-27
스마트폰 해킹은 어떻게 이뤄질까? 기사입력 2020.01.22. 오후 6:47     최근 한 유명 연예인의 부적절한 사생활 대화 내용이 인터넷을 통해 퍼지며 논란이 일고 있다. 해당 연예인은 해킹을 통해 문자 메시지와 사진이 유출됐고, 해커가 이를 빌미로 금품을 ...  
119 추운 날 너무 오래 밖에 머물면 안되는 이유 불씨 587 2022-12-10
추운 날 너무 오래 밖에 머물면 안되는 이유 문세영입력 2022. 12. 8. 08:00수정 2022. 12. 8. 09:46       [오늘의 키워드] 저체온증     우리 몸은 정상 체온을 유지하려 하지만 추위에 지나치게 노출됐을 땐 항상성을 잃게 된다. [사진=Non-exclusive licen...  
118 잠 못드는 노인이 먹었던 수면제, 치매 유발 신호탄됐다 불씨 591 2017-11-24
잠 못드는 노인이 먹었던 수면제, 치매 유발 신호탄됐다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잠 못드는 노인이 먹었던 수면제, 치매 유발 신호탄됐다   김진구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7.11.23 10:10 | 수정 : 2017.11.23 17:56     수면유도제에 쓰이는 벤조다이...  
117 노년기 '골골' 막으려면, 40~50대에 근육량 늘려야 불씨 592 2017-12-03
노년기 '골골' 막으려면, 40~50대에 근육량 늘려야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노년기 '골골' 막으려면, 40~50대에 근육량 늘려야   황인태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7.11.28 09:08 40대부터 매년 근육량 1% 감소   몸 속 근육량은 40대부터 매년 1%씩 줄...  
116 뒤로 걷기의 놀라운 효능… 性 기능 강화까지? 불씨 594 2018-10-13
뒤로 걷기의 놀라운 효능… 性 기능 강화까지?   한희준 헬스조선 기자/ 정선유헬스조선 인턴기자 입력 : 2018.10.04 08:00  2018.10.04 08:00    뒤로 걷기는 남성 성 기능을 개선하고 퇴행성 관절염 환자의 통증을 완화한다./클립아트코리아    선선한 날씨에...  
115 잇몸질환 예방, 양치질 횟수보다 '치태 제거 여부' 중요 불씨 595 2017-03-06
잇몸질환 예방, 양치질 횟수보다 '치태 제거 여부' 중요| Daum라이프 잇몸질환 예방, 양치질 횟수보다 '치태 제거 여부' 중요 '회전법'으로 양치해야헬스조선 |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 입력 2017.03.06 07:08     정모(40)씨는 양치질을 할 때 잇몸에서 자주 ...  
114 가을 코앞.."너무 잦은 샤워도 좋지 않아" 적정 횟수는? 불씨 595 2022-08-24
가을 코앞.."너무 잦은 샤워도 좋지 않아" 적정 횟수는? 김영섭 입력 2022. 08. 22. 14:31 댓글 25개     주 2~3회 샤워, 샤워 3~5분 후 겨드랑이·사타구니 씻기가 기본   비누 칠을 하고 샤워하는 근육질의 남성. 너무 잦은 샤워는 썩 좋지 않다. [사진=게티...  
113 속 더부룩 땐 사이다가 최고?…위장 망가뜨리는 5가지 습관 불씨 597 2017-12-29
  속 더부룩 땐 사이다가 최고?…위장 망가뜨리는 5가지 습관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속 더부룩 땐 사이다가 최고?…위장 망가뜨리는 5가지 습관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7.12.27 13:56 밥에 물 말아먹기·술 깨기 위해 구토하기 등   속이 쓰릴...  
112 세균 종류 많은 곳은 팔뚝, 배꼽 순 불씨 599 2017-06-12
세균 종류 많은 곳은 팔뚝, 배꼽 순 | Daum 뉴스   세균 종류 많은 곳은 팔뚝, 배꼽 순 권순일 입력 2017.06.11. 10:38 댓글 57개자동요약   우리 피부에는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훨씬 많은 1000종 가량의 세균이 살고 있다.   세균 숫자가 가장 많은 곳은 배...  
111 [Health Journal] 부모님 임플란트 해드려야겠네..대학병원 2인실 입원도 맘 편히 불씨 600 2018-06-20
[Health Journal] 부모님 임플란트 해드려야겠네..대학병원 2인실 입원도 맘 편히 | Daum 뉴스 / 매일경제 & mk.co.kr, [Health Journal] 부모님 임플란트 해드려야겠네..대학병원 2인실 입원도 맘 편히   김혜순 입력 2018.06.20. 04:03   65세 이상 본인...  
110 의사들이 말하는 ‘잠 잘 자는 방법 10가지’ 불씨 610 2019-03-21
의사들이 말하는 '잠 잘 자는 방법 10가지' 노진섭 의학전문기자 승인 2019.03.20 07:55   사람은 인생의 3분의 1을 자는 데 사용한다. 그러나 우리는 잠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는 것 같다. 아침형 인간을 찬양하고 잠을 오래 자는 사람을 게으르다고 손가락질...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