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건강과생활

2017년 하반기 주의해야 할 10대 감염병| Daum라이프

2017년 하반기 주의해야 할 10대 감염병

Medical 감염병 관리헬스조선 | 이현정 헬스조선 기자 | 입력 2017.08.28 08:00

 

 

질병관리본부는 2017년 하반기 주의해야 할 10대 감염병과 예방수칙을 발표했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기본적인 예방수칙을 준수하는 것만으로도 감염병은 크게 감소할 수 있으므로, 하반기에 주의해야 할 감염병을 미리 알고 제대로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20170828080018934mlwi.jpg

 

국내 유행 감염병 5

20170828080022740chne.jpg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정의

작은소참진드기에 물려 발생하며, 감염자의 혈액이나 체액을 통해서도 감염될 수 있다.

 

현황

야외활동이 늘어나는 9~10월에 환자가 급증한다. 매년 국내에서 15명 이상이 사망하며, 2013년 36명이었던 환자가 지난해 165명으로 약 4.5배로 늘었다.

 

증상

발열, 소화기 증상(구토, 오심, 설사 등)

 

치료제

없음

 

예방법

야외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작업할 경우 팔다리를 가릴 수 있는 긴 옷을 입고, 돗자리 등을 사용해 진드기 노출을 최소화해야 한다.

 

20170828080023678brjz.jpg

쯔쯔가무시증

 

정의

쯔쯔가무시균에 감염된 털진드기 유충에 물려서 발생한다.

 

현황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4년간 69명이 쯔쯔가무시증으로 사망했다. 올해는 19명이 쯔쯔가무시증으로 사망했다.

 

증상

발열, 발질, 전신증상 등 치료제 항생제 치료 시 48시간 후부터 열이 떨어지고 3일 이내 증상이 대부분 호전된다.

 

예방법

숲이나 밭에 갈 때 진드기 기피제를 사용하고, 풀밭 위에 옷을 벗어두거나 눕지 않는다. 야외활동 후 샤워를 하고, 입었던 옷은 야외에서 털어낸 후 보관한다.

 

20170828080024033kfgs.jpg

레지오넬라

 

정의

고인 물에서 증식한 레지오넬라균이 호흡기를 통해 체내로 들어오면서 발생한다.

 

현황

계절과 관계 없이 발생하지만, 물 사용이 증가하는 하반기에 환자가 증가한다. 환

자수는 2013년 21건에서 2014년 30건, 2015년 45건, 2016년 128건으로 꾸준히 늘었다.

 

증상

레지오넬라균에 의해 폐렴이 발생한 경우 발열, 기침, 호흡곤란, 전신피로감이 생긴다.

 

치료제

퀴놀론이나 마크로라이드 등의 항생제로 치료한다.

 

예방법

냉각수나 냉·온수 급수시설을 정기적으로 청소·소독해야 한다. 환기를 자주시키고 주거공간에는 물이 고여 있지 않도록 한다.

 

20170828080024241emjp.jpg

인플루엔자

 

정의

흔히 ‘독감’이라고 부르는 질환으로 인플루엔자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호

흡기질환이다.

 

현황

지난해는 49주차(12월 9~11일)에 환자가 급증했다. 특히 지난 3월 개학을 맞은 학생들 사이에서 인플루엔자 환자가 급증한 가운데, 9월 개학을 기점으로 환자가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증상

발열·기침·피로감 등 증상이 생기는데, 대부분 경증으로 자연 치유되지만 노인이나 영유아 등 고위험군은 폐렴 등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

 

치료제

인플루엔자 항바이러스제로 치료.

 

예방법

개인 위생관리를 철저히 하고 예방접종을 받는다.

 

20170828080024428phip.jpg

노로바이러스

 

정의

노로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위장관염으로 오염된 물이나 음식을 섭취한 경우

발생한다.

 

현황

연중 발생하나 11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환자가 많은 편이다. 해마다 학교 등에서 집단 발생하는 비율이 높다.

 

증상

설사, 구토, 복통 등 위장관염 증상이 생긴다.

 

치료제

치료 백신은 없으며, 수분을 보충해 주면 탈수 증상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

 

예방법

개인 위생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신종·재출현 감염병 5

 

20170828080024603sawy.jpg

조류인플루엔자인체감염증(AI)

 

정의

AI에 감염된 닭·오리·철새 등 조류를 통해 전파된다. 국내 인체 감염 사례는 없지만, 중국 등 인접국가 발생이 증가하는 상황이다.

 

현황

H7N9형 인체감염증 발생과, 발생 지역이 꾸준히 늘고 있다. 지난 7월 홍콩보건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총 758명이 AI에 감염 됐으며, 281명이 사망했다.

 

증상

발열, 기침, 피로감 등 증상이 생긴다.

 

치료 및 예방

인체 감염 시 항바이러스제로 치료한다. AI 발생 농가 종사자 등 고위험군에게는 예방을 목적으로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하기도 한다. 예방을 위해서는 생가금류 접촉을 피하고, 축산 농가나 철새 도래지 방문을 자제한다.

 

20170828080024792jwhy.jpg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정의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호흡기 감염병으로, 낙타와 접촉하거나 낙타 우유를 섭취하는 등 낙타를 통해 인체에 감염된다는 주장이 일반적이다.

 

현황

국내에는 자연발생 사례가 없지만, 중동지역 아라비아 반도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유행하고 있다. 올해 사우디아라비아에서만 157명의 환자가 발생했으며 47명이 사망했다.

 

증상

발열, 기침, 호흡곤란 등 증상이 생기며 치명률이 20~46%로 높다.

 

치료 및 예방

특별한 치료제가 없으며, 증상완화와 회복을 위해 전문기관에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중동 여행 시 낙타를 접촉하지 말고, 중동 방문 후 14일 이내 발열·호흡기 증상 발생 시 병원을 방문하지 말고 질병관리본부 콜센터(1339)로 신고한다.

 

20170828080025016sxuf.jpg

모기매개감염증 (뎅기열·지카바이러스감염증)

 

정의

바이러스에 감염된 모기의 흡혈을 통해 전파된다.

 

현황

국내 자연발생 사례는 없지만, 유행국가 감염자 사례가 지속적으로 보고된다. 뎅기열은 2012년 환자수가 149명에서 지난해 313명으로 늘었으며, 지카바이러스감염증 환자는 2016~2017년 21건이 보고됐다.

 

증상

발열 발진과 함께 뎅기열의 경우 드물게 중증으로 진행돼 쇼크나 신경질환을 유발하며, 지카바이러스감염증은 임신부 감염 시 신생아 소두증이 발생할 수 있다.

 

치료 및 예방

두 질환 모두 근본적인 치료법은 없고 환자의 증상과 통증 등을 완화하는 치료를 한다. 해당 국가 여행 시 모기 기피 용품을 사용하고 저녁 시간 외출 시 긴소매 옷을 입는 등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한다.

 

20170828080025192ldqo.jpg

바이러스성 출혈열 (에볼라바이러스병)

 

정의

에볼라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열성감염병으로 아프리카에 서식하는 과일박쥐를 통해 전염된다.

 

현황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에볼라바이러스에 의한 사망자가 2014년 서아프리카에서만 1만 명을 넘어섰다.

 

증상

초기에 발열·오한·식욕부진 등의 증상이 생기며 이후 발진·출혈·백혈구수 감소·혈액량 감소 등이 생김. 치사율이 25~90%로 주로 발병 10일 전후로 사망한다.

 

치료 및 예방

특이치료법이 없고, 쇼크나 혈량 저하를 막는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다. 유행 지역에서 박쥐나 영장류, 진드기 등의 접촉에 주의하고, 의심 환자와 접촉을 피한다.

 

20170828080025371xhbc.jpg

병원성 비브리오 감염증 (콜레라)

 

정의

균에 오염된 물 또는 음식을 섭취한경우 균에 감염돼 발생하는 급성위장관질환이다.

 

현황

외국에서 걸려서 온 뒤, 한국에서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지만 순수하게 국내에서도 생긴다. 2016년 국내에서 3명의 콜레라 환자가 발생했으며, 올해도 6월 30일을 기준으로 3명의 콜레라 환자가 발생했다.

 

증상

복통을 동반하지 않는 급성설사로 인한 중증 탈수가 동반되며, 이로 인해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치료 및 예방

탈수 방지를 위해 수액을 주입하는 것이 주된 치료방법이다. 항생제를 통해 증상의 진행 속도를 늦추기도 한다. 개인위생을 관리하고 청결한 물과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조회 수 :
74
등록일 :
2017.08.28
08:12:50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www.hfire.or.kr/17192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sort
2809 과학이 알아낸 건강하게 장수하는 비결 6 불씨 116 2023-06-30
과학이 알아낸 건강하게 장수하는 비결 6 권순일입력 2023. 5. 22. 08:06         많이 움직이고, 식사는 적당히...   건강하게 장수하는 사람들은 활동적인 생활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건강하게 장수할 수 있는 비결은 무엇일까. 유...  
2808 나이 들어도 괜찮아....신체 곳곳 노화에 대처하는 법 불씨 121 2023-06-29
나이 들어도 괜찮아....신체 곳곳 노화에 대처하는 법 정희은입력 2023. 6. 26. 18:15       노화를 막을 수는 없지만, 스스로 그 과정을 늦추는 노력은 할 수 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의과학발전이 아무리 발전해도 누구도 피해갈 수 없는 것이 있다면 바...  
2807 조심조심하며 살았더니, 100세가 넘었다 불씨 113 2023-06-28
조심조심하며 살았더니, 100세가 넘었다. 김용입력 2023. 6. 27. 13:22       [김용의 헬스앤]   젊을 때부터 칼슘, 단백질 섭취에 신경 쓰는 등 음식 조절, 몸을 자주 움직여야 건강수명(건강하게 장수)을 누릴 수 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100세까지 사...  
2806 코털 뽑으면 시원하다? 절대 뽑으면 안되는 이유 불씨 197 2023-06-27
코털 뽑으면 시원하다? 절대 뽑으면 안되는 이유 전종보 기자입력 2023. 6. 25. 16:30       사진= 클립아트코리아 코털을 손으로 당겨서 뽑는 사람들이 있다. 이 같은 습관은 코 내부에 상처를 남길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상처에 세균이 감염돼 염증이 생기...  
2805 덥고, 피곤하고...여름 이겨내는 '잘 자고 잘 먹는 법' 불씨 149 2023-06-26
덥고, 피곤하고...여름 이겨내는 '잘 자고 잘 먹는 법' 김가영입력 2023. 6. 23. 18:01       열대야가 일찍 찾아왔다. 지난 주말 강원도 양양은 이틀 연속 밤 최저기온이 25도를 웃돌았다. 열대야에 '잠 못 드는 밤'이 반복되면 온몸이 뻐근해지면서 생활리듬...  
2804 '활성산소' 생성 촉진하는 생활습관 알아두세요 불씨 113 2023-06-25
'활성산소' 생성 촉진하는 생활습관 알아두세요 최지우 기자입력 2023. 6. 20. 00:01       양반다리를 자주하거나 양반다리 자세로 장시간 앉아있으면 활성산소가 늘어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체내에 활성산소가 과다하게 쌓이면 정상 세포가 망가져 노화...  
2803 하루 중 앉아 있는 시간이 많았다가 줄어든 사람은 앉아 있는 시간이 크게 늘어난 사람에 비해 심뇌혈관 질환 발생 위험이 3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불씨 121 2023-06-24
앉는 시간 줄이세요, 심·뇌혈관 질환 위험 최대 50% 줄어요 김철중 의학전문기자입력 2023. 6. 21. 20:52수정 2023. 6. 21. 21:59       하루 중 앉아 있는 시간이 많았다가 줄어든 사람은 앉아 있는 시간이 크게 늘어난 사람에 비해 심뇌혈관 질환 발생 위험...  
2802 다가오는 장마철…잊지말아야 할 건강 관리 원칙 3 불씨 112 2023-06-23
다가오는 장마철…잊지말아야 할 건강 관리 원칙 3 박선우 디지털팀 기자입력 2023. 6. 21. 12:08       적정 실내습도 유지 중요…장롱, 신발장 ‘집중관리’ 바닥에 고인물은 되도록 접촉 피해야 (시사저널=박선우 디지털팀 기자)     ⓒ픽사베이여름은 변화무쌍...  
2801 “임종 순간까지 아프지 않으려면, 노쇠 관리 시작해야…” [헬스조선 명의] 불씨 124 2023-06-22
“임종 순간까지 아프지 않으려면, 노쇠 관리 시작해야…” [헬스조선 명의] 오상훈 기자입력 2023. 6. 19. 07:00       '헬스조선 명의 톡톡' 명의 인터뷰 '노쇠 명의' 분당서울대병원 노인병내과 김광일 교수   우리나라 사람들은 유독 안락사를 원하는 비율이 ...  
2800 내 휴식기 심박수는? 건강한 심박수 유지법 불씨 894 2023-06-21
내 휴식기 심박수는? 건강한 심박수 유지법 이보현입력 2023. 6. 20. 19:00       정상적인 휴식기 심박수는 분당 60~100회 사이   정상적인 휴식기 심박수는 분당 60에서 100회 사이를 가리킨다. [사진= 게티이미지뱅크]요즘은 피트니스 추적장치가 다양하게 ...  
2799 ‘나도 젊을 땐’…예전같지 않은 체력, 빠르게 높이려면? 불씨 113 2023-06-20
‘나도 젊을 땐’…예전같지 않은 체력, 빠르게 높이려면? 박선우 디지털팀 기자입력 2023. 6. 12. 07:09         하체 근력 운동, 근육량 늘리기에 가장 효과적 심폐지구력 운동도 게을리 하지 말아야…조깅, 등산 등 (시사저널=박선우 디지털팀 기자)   ⓒ픽사베...  
2798 '60초' 만에 수명 연장하는 방법 불씨 118 2023-06-19
'60초' 만에 수명 연장하는 방법 이해나 기자입력 2022. 12. 27. 06:30     일상 활동의 강도를 높여 1분씩 하루 3~4회만 실천해도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60초의 '짧고 격렬한 신체활동'이 수명을 연장시킨다는 연...  
2797 더운 여름철...심장을 보호하는 법 5 불씨 115 2023-06-18
더운 여름철...심장을 보호하는 법 5 권순일입력 2023. 6. 17. 13:07       수분 보충, 더운 시간 활동 피하기 등   더운 여름철에는 수분 보충을 잘해야 심장 건강을 지킬 수 있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올여름 무더위 조짐이 심상치 않다. 6월 중순인데 벌...  
2796 내 나이가.. 노화 늦추고 병 예방에 좋은 식단은? 불씨 147 2023-06-17
내 나이가.. 노화 늦추고 병 예방에 좋은 식단은? 김용입력 2023. 6. 14. 13:40     식사 준비할 때... 채소, 고기, 생선, 콩, 달걀 떠올려야       특정 영양소가 부족해 영양의 균형이 깨지면 몸의 대사 기능이 떨어지고 면역 체계도 약해져 감염성, 만성 질...  
2795 나는 정서지능이 높은 사람일까? 특징 5가지 불씨 206 2023-06-16
나는 정서지능이 높은 사람일까? 특징 5가지 정희은입력 2023. 6. 15. 13:00       살면서 의미 있는 관계를 맺는 데 정서지능은 매우 중요하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주위를 둘러보면 다른 사람들의 감정을 잘 읽어내는 사람이 있다. 반면 스스로의 감정이나...  
2794 바이러스가 뇌까지…‘이 모기’를 조심하세요 불씨 119 2023-06-15
바이러스가 뇌까지…‘이 모기’를 조심하세요 이시내입력 2023. 6. 13. 16:53       울산서 일본뇌염 매개 모기 '작은빨간집모기' 올해 첫 발견 3월 제주·부산서 주의보 발령...영유아에 예방 접종 필요   작은빨간집모기여름철에 접어들면서 일본뇌염 매개 모기...  
2793 노인에게 가장 많이 발생하는 질병 10개 중 4개는 ‘근골격계 질환’…예방 운동법은? 불씨 188 2023-06-14
노인에게 가장 많이 발생하는 질병 10개 중 4개는 ‘근골격계 질환’…예방 운동법은? 조수완입력 2023. 6. 12. 18:01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에서 고령화 속도가 제일 빠른 나라 중 하나다. 노인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노인진료비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  
2792 수명 늘리고 싶다면 억지로라도… 15초 동안 '이것' 해보세요 불씨 128 2023-06-13
수명 늘리고 싶다면 억지로라도… 15초 동안 '이것' 해보세요 이채리 기자입력 2023. 6. 12. 15:48수정 2023. 6. 12. 15:51       억지로 웃는 웃음도 진짜로 웃는 것과 마찬가지로 건강에 도움이 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행복해서 웃는 게 아니라 웃어서 행...  
2791 “이 나이에 몸짱 돼서 뭐하겠어”...골병 막으려면 이 운동만큼은 불씨 168 2023-06-12
“이 나이에 몸짱 돼서 뭐하겠어”...골병 막으려면 이 운동만큼은 유주연 기자(avril419@mk.co.kr)입력 2023. 6. 11. 18:18수정 2023. 6. 11. 18:30       건강메신저 메디TALK-박경우 원장 “이 나이에 몸짱 돼서 뭐 하겠어?” 어르신들에게 근육운동의 중요성을...  
2790 올 여름 건강하게 잘 보내는 방법과 음식 불씨 306 2023-06-11
올 여름 건강하게 잘 보내는 방법과 음식 권순일입력 2023. 6. 9. 08:55       [권순일의 헬스리서치] 점점 더워져가는 여름철을 건강하게 잘 보내는데 도움이 되는 방법들이 있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여름의 시작이다. 지금부터 최소한 두 달간은 더위가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