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건강과생활

쑤시고 아픈 만성통증, 놔두면 신경계 망가져 고질병 된다| Daum라이프

쑤시고 아픈 만성통증, 놔두면 신경계 망가져 고질병 된다

MEDICAL 통증클리닉헬스조선 | 한희준 헬스조선 기자 | 입력 2017.09.14 09:41 | 수정 2017.09.14 09:45

 

 

나이가 들면 특별한 병이 없어도 여기저기 온몸이 아픈 것이 당연하다고 여긴다. 하지만 통증은 자연스런 노화 현상이 아닌 질병이다. 통증은 처음에는 몸의 이상을 나타내는 신호로 나타나지만, 3개월이 넘어가면 통증의 신호체계인 신경계가 고장나 그 자체로 만성질환이 된다. 또 다른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만성통증에 대해 알아봤다.

 

20170914094129830oogv.jpg

1. 10명 중 1명이 ‘만성통증’

대한통증학회는 우리나라 성인 10명 중 1명이 만성통증을 앓고 있다고 추산한다. 중장년층으로 넘어가면 더 많아진다. 40~50대는 만성통증으로 치료받는 비율이 20~30대보다 1.6배 정도 많다(통계청 자료). 나이와 상관없이 통증은 초기에 원인을 확실히 치료하면 거의 100% 완치된다. 하지만 통증의 신호전달 체계인 신경계가 망가지면 원인질환을 치료해도 통증 자체의 완치율은 50% 미만으로 떨어진다. 따라서 나이가 들면서 생기는 모든 통증은 심각한 원인 질환이 없다고 해도 반드시 초기에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한다.

 

2. 급성통증이 만성통증으로 변하는 과정

다른 원인에서 출발한 통증이 자체적인 질병이 되는 과정은 무엇일까? 우리 몸 전체에는 혈관과 나란히 통증, 온도 등을 느끼는 신경의 센서(감각수용체)가 뻗어 있다. 신체 내·외부에서 자극이 주어지면 이 센서가 자극을 전기신호로 바꾸고, 전기신호는 말초·척수·뇌신경을 거쳐 뇌에 통증 정보를 전달한다. 이렇게 생긴 급성통증은 인체가 자극에서 스스로를 방어하거나 자극을 일으키는 문제를 치료하게 해주는 정상적인 반응이다.

 

1 - 통증전달물질 증가

급성통증이 반복되면서 3~6개월을 넘어서면 통증 자체가 통증을 전달하는 체계를 망가뜨린다. 신경세포에 통증을 전달해주는 전기신호(통증전달물질)가 많아져서 통증이 심해지고 지속시간도 길어진다. 이는 전기 에너지가 많이 들어오면 전구 빛이 더 환해지거나 오랫동안 불이 켜지는 원리와 같다.

 

2 - 통증수용단백질 증가

통증이 계속되면 신경세포 내에서 통증 자극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칼슘이 통증을 받아들이는 단백질을 더 많이 만들어내게 된다. 그 결과, 통증에 더욱 예민해지거나 자극이 전혀 없는 데도 통증을 느끼게 된다.

 

3 - 마약수용기 감소

통증이 계속되면 신경세포의 마약수용기 수도 줄어든다. 마약수용기란 통증을 억제하는 물질과 결합하는 조직으로, 마약수용기가 줄면 체내의 엔도르핀 같은 통증억제물질도 제 역할을 못 할 뿐 아니라, 진통제를 써도 신경세포에 제대로 결합하지 못하므로 약효를 내기 힘들다.

 

4 - 신경전달물질 감소

통증이 계속되면 스트레스가 심해져 세로토닌·도파민 등 뇌의 신경전달물질이 줄어들어 약을 써도 통증 억제가 잘 되지 않는데, 이것도 만성통증으로 진행하는 이유다.

 

20170914094130201kffv.jpg

3. 만성통증이 유발하는 문제

 

성인병·치매 위험

만성통증은 그 자체가 스트레스 자극이기 때문에, 면역력을 떨어뜨린다. 몸을 흥분시키는 교감신경도 자극돼 혈압과 맥박 수치도 상승한다. 또 체내 스트레스호르몬 수치가 올라가 혈압과 혈당 등이 증가되므로 신체 전체적인 악영향이 쌓여 고혈압, 당뇨병, 치매 등의 위험이 커진다. 통증이 있는 부위는 잘 쓰지 않게 되고 아프지 않은 부위를 과도하게 써서 근골격계도 더 빠르게 약화된다. 심하면 뇌까지 쪼그라든다. 실제로. 통증이 조절되지 않은 사람은 제대로 조절되는 사람보다 고혈압 위험이 4배, 빈맥 위험이 2.3배, 스트레스호르몬 수치 상승 위험이 14배, 체내 염증수치(ESR) 증가 위험이 3.3배로 높다는 미국 연구가 있다. 만성통증 환자 그룹은 정상 그룹에 비해 뇌의 크기가 5~11% 작다는 연구도 있다.

 

정신 건강 악화

만성통증은 정신적 문제도 일으킨다. 대한통증학회가 통증클리닉 환자 1060명을 조사한 결과, 60%가 불면증 등 수면장애를 경험했다. 44%는 우울감, 40%는 집중력·기억력 감소, 37%는 불안감, 35%는 자살 충동을 호소했다. 만성통증을 겪으면 우울·분노·좌절·외로움·슬픔 등의 감정이 만성화돼 심하면 자살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설명한다.

 

4. 만성통증 대처법

‘온 몸이 아프다’는 말을 달고 살면서 종합병원에 가기 부담스럽다는 이유로,

혹은 어느 병원에 가야 할지 모른다는 이유로 통증을 방치하는 경우가 있다.

통증이 있을 때 증상별로 찾아야 하는 병원과 그곳에서 받을 수 있는 치료에

대해 알아두면 도움이 된다.

 

치료해도 만성통증 안 나으면?

의원급 마취통증의학과에서 석 달 이상 치료받아도 나아지지 않으면 종합병원 마취통증의학과에 가보는 게 좋다. 마취통증의학과 외래진료를 보지 않으면, 가정의학과를 거쳐 통증 부위에 따라 진료과를 결정하면 된다. CT나 MRI 촬영을 통해 통증을 유발한 다른 원인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필요한 경우 다른 진료과와 협진해 치료한다.

20170914094130397qcab.jpg

팔·다리… 충격받았다면 종합병원

팔·다리에 충격을 받았거나 손·발목을 삔 뒤 욱신거리고 붓는 증상이 지속되면 종합병원 마취통증의학과에 바로 가는 편이 낫다. 복합부위통증증후군(외상 후 특정 부위에 만성적으로 생기는 신경병성 통증)인 경우가 많다. 이는 진통제·항우울제·스테로이드제 등의 약물치료나 교감신경차단·관절강내주사요법·심리치료 등 복합적인 치료가 필요해, 동네의원급 마취통증의학과에서는 잘 다루지 않는다. 단, 종합병원 마취통증의학과는 수술환자 마취만 하고 외래 환자를 보지 않는 곳도 있으므로, 통증 진료가 가능한지 미리 알아봐야 한다. 외상이 없는데 생긴 통증이 한 달 이상 지속되면 동네에 있는 마취통증의학과에서 통증유발점 주사를 맞아볼 수 있다. 근육이 뭉친 부분(압통점)을 풀어주는 주사로, 거의 대부분 한 번 맞으면 통증이 없어진다.

20170914094130628hcfc.jpg

근육·뼈·관절… 가까운 마취통증의학과

원인 질병이나 부상 없이 생긴 근육통은 가까운 마취통증의학과, 재활의학과 등에 가보자. 대부분 피로가 누적돼 주변 신경을 압박하면서 생긴 통증이다. 찜질·저주파요법 등을 한 달쯤 받으면 증상이 70~80% 정도 개선된다. 척추나 어깨·무릎관절 등이 아파서 걷기 힘든 정도라면 정형외과나 신경외과에서 원인 질환부터 체크해봐야 한다.

20170914094130851gcwo.jpg

안면… 신경외과

얼굴에 칼로 찌르는 듯한 통증이 반복해서 생기면 3차신경통일 수 있다. 3차신경은 얼굴과 머리에 생기는 감각을 뇌에 전달하는 뇌신경으로, 뇌혈관 등이 3차신경을 압박하면 통증이 생긴다. 3차신경에 종양이 생겼거나 다른 뇌신경이 손상을 입는 경우도 있으므로, 일단 신경외과에 가보는 편이 좋다. 종양이 없을 때 기본적인 치료법은 항경련제를 처방받아 복용하는 것이지만, 마취통증의학과에서 신경을 아예 없애는 시술을 받기도 한다.

20170914094131094xjpm.jpg

수술 부위… 수술받은 병원

수술 부위가 아문 뒤 흉터에 통증이 생기기도 한다. 이때는 수술해준 주치의를 찾아야 한다. 병원이 멀어서 단순한 통증 때문에 찾아가기 부담되면 거주 지역의 종합병원 마취통증의학과에 가면 된다. 수술실에서 직접 통증을 조절한 경험이 많은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에게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국소마취약·마취진통제 등으로 통증을 없앤다.

20170914094131315gkmx.jpg

 

불면증 동반한 통증… 정신건강의학과

 

우울감이나 불면증이 동반되면 마취통증의학과 또는 정신건강의학과를 찾도록 하자. 통증과 우울감의 관계를 파악한 후 약물 치료 등을 진행한다. 이 정도의 통증을 방치하면 심리적인 원인으로 통증이 심해진다.

20170914094131533yeze.jpg

 

흉통·두통… 내과

흉통은 심장내과·소화기내과 등에서 진료받아야 하는 경우가 많다. 흉통의 원인은 심혈관질환·근막통증증후군·역류성식도염 등으로 다양하고, 원인에 따라 치료법도 다르기 때문에 가까운 내과나 가정의학과에서 우선 상담받는 게 좋은 방법이다. 스트레스를 받을 때마다 생기는 일과성두통은 진통제를 복용하면 된다. 그러나 통증의 빈도가 잦아지거나 만성화하면, 안전을 위해 CT(컴퓨터단층촬영)나 MRI(자기공명영상) 검사를 받아볼 필요가 있다.

 

정신이 건강해야 신체도 건강

몸에 아무 이상이 없는데도 만성통증에 시달리는 사람이 적지 않다. 스트레스나 우울증 등 정신적 요소가 원인인데, 만성통증 환자 7명 중 1명은 이 같은 정신적 요인 때문이라고 의료계는 본다. 통증을 유발하는 정신적 요인은 다양하다. 스트레스가 심해지면 코르티솔 등 스트레스호르몬이 만성적으로 분비되는데, 그러면 우리 몸을 방어하는 체계가 붕괴돼 통증에 취약해진다. 이 때문에 평소에는 느끼지 못할 미세한 통증까지도 느끼게 된다.

우울증이나 불안장애 등 뇌의 신경전달물질의 분비를 줄이는 질환도 만성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세로토닌·도파민 등의 신경전달물질은 몸의 통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이들이 줄어들면 만성통증 위험이 높아진다. 또 신체화장애·전환장애 등은 내시경이나 CT, MRI 등 각종 검사를 해도 몸에는 아무 문제가 없는데, 심한 복통·흉통·두통 등을 유발한다.

 

우울증이 있으면 작은 통증에도 민감해져 원인 모르게 온몸 여기저기가 아프거나 가벼운 통증도 훨씬 심하게 느낀다. 우울증 환자의 80% 정도가 통증을 동반해 여러 진료과목의 병·의원을 돌아다니면서 엉뚱한 치료를 받아 병을 키운다.

 

5. 만성통증 한방 치료

한방에서는 특정 부위의 통증도 환자의 전신 상태에 따라 달리 치료한다.

 

자율신경계 검사해 통증 정도 가늠

한의학은 통증의 기본적 원인을 ‘불통즉통(不通卽痛)’이라고 본다. 기(氣)가 통하지 않으면 통증이 생긴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중대형 한방병원은 통증 진단 기준의 객관화를 위해 진단기기로 검사한다. 통증의 정도를 가늠하는 자율신경계 검사가 대표적으로, 손목과 발목에 패치를 붙이고 편히 앉은 상태에서 자율신경계의 안정성을 5분 측정한다. 자율신경 기능이 일정치 않고 불규칙할수록 통증이 심하다고 본다. 통증 부위는 적외선 체열검사로 찾는다. 전신 또는 통증 부위를 적외선 촬영해서 통증 부위를 찾는다. 맥 전도는 한의사가 손목을 짚어 맥을 재던 전통 방식을 대신한다. 기계가 맥을 재기 때문에 일정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으며, 통증이 오장육부와 연관된 것인지 파악한다.

 

통증에 맞는 침 치료

통증은 주로 침으로 치료한다. 무릎 통증에는 10개 내외의 침을 15~30분간 일부는 똑바로, 일부는 비스듬히 놓는다. 똑바로 놓는 침은 통증을 다스리고, 비스듬히 눕혀서 놓는 침은 기를 북돋운다. 심한 퇴행성관절염 통증에는 약침을, 염증을 동반하는 류마티스성 통증에는 봉독침을 쓰기도 한다.

허리와 목의 통증은 10~20개 정도의 침을 넓게 놓는다. 허리 통증의 경우 무릎에 쓸 때보다 강한 성분의 봉독침을 놓고, 목 통증은 대개 근육 문제이므로 약침 위주로 치료한다. 다른 부위의 통증도 주로 침을 쓰지만, 환자의 상태나 한의사에 따라 시술 방법은 조금씩 다르다. 한약의 경우, 통증 자체를 감소시키기보다는, 통증을 유발하는 원인질환을 치료하는데 주로 처방한다.

-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조회 수 :
489
등록일 :
2017.09.15
11:13:56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www.hfire.or.kr/17207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sort
429 하루에도 수 시간 몸에 닿는 ‘이것’… 알고 보니 유해균 덩어리? 불씨 106 2023-04-23
하루에도 수 시간 몸에 닿는 ‘이것’… 알고 보니 유해균 덩어리? 이해림 기자입력 2023. 4. 22. 08:00       이어폰, 스마트폰, 베개 등 생활용품은 세균이 잘 번식하므로 수시로 소독해야 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베개, 이어폰, 칫솔, 스마트폰, 키보드, 마...  
428 '이 성분' 많은 음식, 건강에 무려 45가지 해악 끼쳐 불씨 105 2023-04-24
'이 성분' 많은 음식, 건강에 무려 45가지 해악 끼쳐 이슬비 기자입력 2023. 4. 17. 05:00       당류 함량이 높은 식품은 건강에 무려 45가지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당류 함량이 높은 식품은 건강에 무려 45가...  
427 먹었다하면 더부룩…‘소화불량’ 없애는 생활 습관 셋 불씨 117 2023-04-25
먹었다하면 더부룩…‘소화불량’ 없애는 생활 습관 셋 박선우 디지털팀 기자입력 2023. 4. 16. 07:17       음식 오래 씹기…소화 관련 기관에 효소 분비 신호 전달 스트레스, 위액 분비 줄여 소화력 낮춰   (시사저널=박선우 디지털팀 기자) ⓒ픽사베이 주위에 흔...  
426 인간 최대 수명은 150살? 불씨 127 2023-04-26
인간 최대 수명은 150살? 문세영입력 2023. 4. 24. 17:40수정 2023. 4. 24. 17:44       회복력 감소로 신체 오작동 증가...120~150세 회복력 완전 소실   인간이 회복력을 소실하는데 걸리는 기간은 120~150년으로, 최대 수명은 150세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  
425 혈관은 ‘생명이 흐르는 통로’… 혈액순환 잘 돼야 면역력 높아진다 불씨 120 2023-04-27
혈관은 ‘생명이 흐르는 통로’… 혈액순환 잘 돼야 면역력 높아진다 윤희선 기자입력 2023. 4. 26. 03:07     노폐물 쌓이기 쉬운 혈관 포화-트랜스 지방 섭취 줄이고 오메가3 섭취 등 적극 관리해야   오메가3는 인체에 꼭 필요한 지방산 중 하나로, 체내에서 ...  
424 날것으로 먹으면 안 되는 식품 vs 먹으면 더 좋은 식품 불씨 167 2023-04-28
날것으로 먹으면 안 되는 식품 vs 먹으면 더 좋은 식품 권순일입력 2023. 4. 15. 10:06       양파, 견과류 등은 생으로 먹어야   양파는 날것으로 먹어야 더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식품이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사과나 배를 먹다 보면 무심코 속 일부까...  
423 고혈압에 이어 전 세계 사망원인 3위 '이것'...발암 돌연변이 유발하는 주범? 불씨 106 2023-04-29
고혈압에 이어 전 세계 사망원인 3위 '이것'...발암 돌연변이 유발하는 주범? 성진규입력 2023. 4. 13. 18:01     반가웠던 봄비 소식이 지나가자, 하늘이 뿌연 미세먼지와 누런 황사로 뒤덮였다. 기상청에 따르면, 오늘 중서부 지방의 미세먼지 농도는 세제곱...  
422 출출하니 토마토? 자기 전에 먹으면 '이런' 문제가 불씨 440 2023-04-30
출출하니 토마토? 자기 전에 먹으면 '이런' 문제가 최지우 기자입력 2023. 4. 28. 00:01수정 2023. 4. 28. 13:06       토마토는 산성 성분이 함유돼 속 쓰림, 소화불량을 유발할 수 있어 숙면에 좋지 않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양질의 수면을 위해서는 잠들...  
421 일하면서 조용히...회사에서 남몰래 하는 운동 4 불씨 121 2023-05-01
일하면서 조용히...회사에서 남몰래 하는 운동 4 권순일입력 2023. 4. 24. 09:06       다리 뻗기, 계단 이용 등   회사 내에서도 계단을 이용하는 것은 좋은 운동이 된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대부분 직장인들은 하루 8, 9시간 이상 컴퓨터 앞에 앉아 시간...  
420 우유 대신 요거트, 견과류는 10알만… ‘노인’ 건강 식사법 불씨 154 2023-05-02
우유 대신 요거트, 견과류는 10알만… ‘노인’ 건강 식사법 김서희 기자입력 2023. 4. 25. 11:30       견과류는 몸에 좋지만, 노인은 지방 섭취를 줄여야 하므로 하루 열 알 정도만 먹는 게 바람직하다./클립아트코리아 노인에게 식사는 중요하다. 영양소를 골...  
419 어버이날을 맞아 자녀들이 꼭 알아둬야 할 부모님 건강 체크리스트 3 불씨 107 2023-05-03
어버이날을 맞아 자녀들이 꼭 알아둬야 할 부모님 건강 체크리스트 3 조수완입력 2023. 5. 2. 21:01     나이가 들수록 좋은 생활습관과 식습관을 갖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지만 알면서도 고치기 어려운 것이 바로 습관이다. 이러한 사소한 습관은 점점 ...  
418 나이 들어 병원 신세 질까 걱정? 지금부터라도 ‘이것’ 실천 불씨 108 2023-05-04
나이 들어 병원 신세 질까 걱정? 지금부터라도 ‘이것’ 실천 이해림 기자입력 2023. 3. 23. 22:00       건강하게 나이 들고 싶다면 빨리 걷기·계단 오르내리기 등 운동을 틈틈이 하고, 단백질을 충분히 섭취하며, 치아 관리와 수면 시간 확보에 힘써야 한다./...  
417 '뇌 나이' 궁금한 사람 '이것' 해보세요 불씨 108 2023-05-05
'뇌 나이' 궁금한 사람 '이것' 해보세요 이금숙 기자입력 2023. 5. 4. 19:00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사람의 뇌는 20대까지 성장하고 40대가 되면 서서히 노화한다. 뇌의 노화를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이 바로 뇌의 부피다. 보통 성인 뇌의 부피는 최대 1350c...  
416 탄탄한 몸매는 기본...운동하면 좋아지는 것 10 불씨 113 2023-05-06
탄탄한 몸매는 기본...운동하면 좋아지는 것 10 권순일입력 2023. 5. 5. 12:36         암 예방, 혈압 감소, 체력 향상 등 효과   운동은 암을 막고, 혈압을 조절하는 등 여러 가지 건강 효과가 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운동은 다가오는 여름에 날씬한 몸...  
415 흉터 안 남기려면? 상처 '이렇게' 관리하세요 불씨 142 2023-05-07
흉터 안 남기려면? 상처 '이렇게' 관리하세요 정희은입력 2023. 5. 4. 19:01       흉터가 어떻게 남을지는 상처가 아무는 동안 어떻게 관리했느냐에 일부 영향을 받는다. [사진= 게티이미지뱅크]흉터는 상처가 치유되는 과정의 일부다. 사고나 부상으로 피부...  
414 ‘한잔’ 하지 않아도...기분 북돋우는 방법 8 불씨 114 2023-05-08
‘한잔’ 하지 않아도...기분 북돋우는 방법 8 권순일입력 2023. 5. 6. 13:06       홀로 즐기기, 목욕, 잠자기 등     음악이나 영화 감상은 기분을 북돋울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로 꼽힌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긴장을 완화하고 처진 기분을 살리기 위해 ...  
413 중년 이후 그냥 넘기면 안 되는 몸의 신호 6힘 빠지고, 불씨 112 2023-05-09
중년 이후 그냥 넘기면 안 되는 몸의 신호 6 권순일입력 2023. 4. 8. 09:05       힘 빠지고, 어지러운 느낌 등   어지럼증은 더 심각한 질병의 신호일 수 있으니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는게 좋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젊었을 때는 가볍게 여기던 증상이 5...  
412 연사 예방...건강한 심장 만드는 생활 습관 8 불씨 121 2023-05-10
돌연사 예방...건강한 심장 만드는 생활 습관 8 권순일입력 2023. 5. 7. 11:06수정 2023. 5. 7. 11:08       운동, 좋은 지방 섭취, 체중 관리 등     허리둘레를 줄여야 심장 건강 개선에 도움이 된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돌연사 위험이 높은 심장병...  
411 간단한데? 수명 늘리는 습관 '3가지' 불씨 114 2023-05-11
간단한데? 수명 늘리는 습관 '3가지' 이해나 기자입력 2023. 4. 7. 07:30       아침식사를 거르지 않고 꾸준히 오전 7시 이전에 먹으면 인슐린을 포함한 식이 호르몬을 조절하는 신체 내 ‘음식 시계(Food Clock)’가 건강하게 유지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  
410 한 시간에 한 번, 제자리서 '이것'… 혈관 탄력 높여 불씨 160 2023-05-12
한 시간에 한 번, 제자리서 '이것'… 혈관 탄력 높여 이해나 기자입력 2023. 4. 24. 06:30     혈관 탄력을 위해서는 한 시간에 한 번 자리에서 일어나 제자리걸음을 하는 게 도움이 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나이가 들면 피부가 늙듯 혈관도 노화한다. 건강...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