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건강과생활

환절기 심해지는 부정맥, 알아둬야 할 가지각색 증상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환절기 심해지는 부정맥, 알아둬야 할 가지각색 증상

  •  
  •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이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사진 셔터스톡

    이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도움말 남기병(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교수)

    이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입력 : 2017.11.09 08:30

 

부정맥은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을 정도로 위험한 질환이다. 그런데 아침과 저녁 기온 차가 큰 요즘 같은 환절기에 유독 잘 발생해 주의가 필요하다. 부정맥의 다양한 종류와 예방법, 치료법을 알아본다. 청진기

큰 일교차, 심장에 무리 주면서 부정맥 위험 높여 심장은 1분에 60~100회 뛰는 게 정상이다. 이보다 빠르거나, 느리거나, 불규칙해지면 부정맥이다. 부정맥은 심장의 전기 자극이 잘 만들어지지 않거나 자극의 전달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심장박동에 문제가 생긴 것을 말한다. 대개 가슴 두근거림, 흉통, 호흡곤란을 유발한다. 부정맥은 심장 내 혈전을 만드는데, 이 혈전이 뇌혈관을 막으면 뇌졸중이 생기기도 한다. 실제 부정맥이 있으면 뇌졸중 위험이 8~12배로 높아진다고 알려졌다. 갑작스러운 심장 돌연사까지 유발할 수 있다. 부정맥이 생기면 심장 펌프질이 잘 안 되고 심하면 심장이 ‘바르르’ 떨리기만 한다. 결국 심장 내로 들어온 혈액이 밖으로 제대로 배출되지 못하고 온몸에 혈액 공급을 못 하면서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일교차가 큰 가을철에는 특히 부정맥을 주의해야 한다. 몸이 갑작스러운 기온 변화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심장에 무리가 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면 심장혈관이 경련을 일으킨다. 실제 2008~2011년 부정맥 증상으로 응급실을 찾은 약 3만 명을 분석했더니 일교차가 클수록 부정맥 환자 수가 많아졌다는 서울대 보건대학원의 연구결과가 있다. 일교차가 1℃ 증가할 때마다 부정맥에 의한 응급실 방문 건수는 1.84%씩 높아졌다.

 

대표적인 부정맥 종류
서맥

심장이 느리게 뛰는 것이다. 대표적인 증상은 전신 피로감, 호흡곤란, 어지러움이다. 실신할 위험도 있다. 심장이 느리게 뛰면 몸에 혈액과 산소를 원활하게 보내지 못하는 탓이다.

 

빈맥
심장이 빠르게 뛰는 것이다. 심장이 두근거리고 흉통이 생기거나 메슥거리는 증상이 나타난다. 심방세동도 빈맥의 일종으로 보는데, 비교적 불규칙한 빈맥으로 이해하면 된다. 심방세동은 심방이 ‘바르르’ 떨리면서 생긴다.
빈맥과 비슷한 증상으로 나타나거나 증상이 없기도 하다.
기외수축 심장이 가끔씩 정상 박동 주기를 벗어나 한 박자씩 먼저 뛰거나 ‘쿵’ 하고 멎거나 ‘덜컥’거리는 듯한 증상을 유발하는 것이다. 그런데 심장이 정상인 사람도 90% 이상 경험하는 위험하지 않은 부정맥이다. 일종의 ‘양성 부정맥’인데, 이 역시 1분에 5회 이상 나타나면 치료가 필요하다.

 

특히 위험한 악성 부정맥
심실빈맥
지속적으로 발생할 경우 급사를 일으킬 수 있는 매우 위험한 부정맥이다. 심장에서 전기를 만들어내는 곳은 동결절이다. 이 전기가 심방, 심실로 전도돼 심실이 정상적으로 수축한다. 그런데 심실빈맥은 분당 100회 이상의 빠르기로 심실에서 전기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정도가 심하지 않으면 단순 두근거림만 호소할 수 있지만 심하면 실신, 호흡곤란, 사망에 이른다.

심실세동
사망 직전에 나타나는 부정맥이다. 심근경색 등을 이유로 심장 기능이 떨어지면서 발생한다. 이름 그대로 심실이 미세하게 떨리는 것이다. 혈액을 정상적으로 심장 밖으로 내뿜지 못하기 때문에 몸 곳곳에 혈액이 전달되지 못해 사망에 이른다.

 

부정맥이 생기는 과정
심장은 4개 구역으로 나뉜다. 심장 위쪽에는 우심방, 좌심방 밑에는 우심실, 좌심실이 자리한다. 심방은 혈액을 받아들이는 곳이고, 심실은 혈액을 내뿜는 곳이다. 그리고 이 안에 전기줄의 기능을 하는 가느다란 힘줄이 가지 치듯 놓여 있다. 힘줄을 따라 심장근육 전체에 전기가 전해진다. 전기는 ‘동결절’이라는 곳에서 만들어진다. 이로써 심장이 힘 있게 펌프질하면서 온몸으로 혈액을 보내는 것이다. 그런데 이 전기줄에 문제가 생기면 부정맥이 나타난다. 보통 전기줄이 절단되면 서맥(심장이 정상 속도보다 느리게 뛰는 것)이, 전기줄이 합선되면 빈맥(심장이 정상 속도보다 빠르게 뛰는 것)이 생긴다.

 

약물 복용하거나 전극도자 절제술로 치료
부정맥이 있으면 항부정맥 약을 쓰기 쉽지만, 최근에는 전극도자 절제술로 치료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전극도자 절제술은 혈관을 통해 심장에 전기줄을 집어넣고 부정맥의 원인이 되는 부위(비정상적인 전기통로나 심장근육 조직 자체)에 고주파 에너지를 가해 없애는 시술이다. 시술 시간은 1~2시간 정도고, 입원도 2~3일만 하면 된다.

 

한편 기외수축은 치료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대부분 위험한 합병증을 부르지 않기 때문에 마음의 안정을 찾게 하는 것을 우선으로 한다. 실제 시험이나 집안의 대소사가 사라지면 증상이 저절로 사라지는 경우가 꽤 있다.

 

새벽 야외 운동 피하고, 노인 모자 써야
환절기 부정맥 위험을 낮추려면 몸이 갑자기 추운 기온에 노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기온이 낮은 오전 9시 이전에는 야외 운동을 피하는 게 우선이다. 새벽은 하루 중 가장 기온이 낮은 때다. 새벽이나 밤 등 기온이 낮을 때 야외에 나가야 한다면 모자를 쓰는 게 좋다. 머리는 몸에서 열이 가장 잘 빠져나가는 부위다. 내복을 입는 것도 도움이 된다. 너무 뜨거운 물로 목욕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뜨거운 물로 목욕해 체온이 높아진 상태에서 갑자기 욕실 밖으로 나와 차가운 공기에 노출되면 심장에 무리가 갈 수 있다. 뜨거운 물로 목욕했다면 미지근한 물로 체온을 조금 내린 뒤 밖으로 나온다.
규칙적인 운동, 금주 등 평소 습관 개선 중요

 

평소 건강한 심장을 만들어놓는 것도 중요하다. 특히 유산소운동과 근력운동을 규칙적으로 실천하는 게 좋다. 과거에는 근력운동이 심장에 부담을 준다는 이유로 권장하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 들어 일부 심각한 심장질환 환자를 제외하고는 오히려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연구결과가 정설로 받아들여지면서 의사들도 권장하는 분위기다.

 

일주일에 최소 3회, 1회 30분 이상 몸이 땀에 촉촉하게 젖을 정도의 강도로 운동하면 된다. 음주를 피하고, 고혈압 환자의 경우 꾸준히 혈압 조절 약을 먹어야 한다. 당뇨병, 비만 등 그 밖의 대사질환도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 Copyright HEALTHCHOSUN.COM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7/11/06/2017110601458.html

조회 수 :
199
등록일 :
2017.11.15
09:26:09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www.hfire.or.kr/17249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sort
849 염증성 장 질환, 시대별로 다르다 불씨 116 2018-03-09
염증성 장 질환, 시대별로 다르다 염증성 장 질환, 시대별로 다르다   입력 F 2018.03.05 16:28 수정 2018.03.05 16:33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등 염증성 장 질환은 아직까지 특별한 원인이 밝혀져 있지 않다. 하지만 서구적 식습관, 특히 인스턴트식품...  
848 근육에 좋은 식물성 먹을거리 7 불씨 173 2018-03-09
근육에 좋은 식물성 먹을거리 7 근육에 좋은 식물성 먹을거리 7   입력 F 2018.03.03 10:32 수정 2018.03.03 10:32     운동 좀 하는 사람의 식단에 꼭 들어가는 것은 닭 가슴살 등 단백질이 풍부한 고기다. 단백질은 근육을 만드는 데 꼭 필요하면서도 가장 ...  
847 "전봇대보다 가는 건 코에 넣지 마라" 불씨 171 2018-03-08
"전봇대보다 가는 건 코에 넣지 마라" "전봇대보다 가는 건 코에 넣지 마라"   입력 F 2018.03.02 15:20 수정 2018.03.02 15:20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거의 모든 사람들이 죄책감을 느끼면서도 남몰래 탐닉하는 '짓'이 있다. 심지어 자동차를 몰다가도 한다...  
846 소변 검사로 진짜 나이 알 수 있다 (연구) 불씨 173 2018-03-08
소변 검사로 진짜 나이 알 수 있다 (연구) 소변 검사로 진짜 나이 알 수 있다 (연구)   입력 F 2018.03.02 13:40 수정 2018.03.02 13:40     간단한 소변 검사로 신체 나이를 파악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중국의 국립 노인학 센터와 쓰촨 대학교 연...  
845 일찍 포착하기 어려운 질병 4 불씨 96 2018-03-08
일찍 포착하기 어려운 질병 4 일찍 포착하기 어려운 질병 4   입력 F 2018.03.02 07:53 수정 2018.03.02 07:53   치명적인 상황에 이를 때까지 징후가 잘 나타나지 않는 질환이 있다. 증상이 겉으로 표출되지 않거나 매우 약하게 나타나 질병이 진척되고 있다...  
844 쇠퇴하는 기억력, 다시 살리는 방법 4 불씨 165 2018-03-07
쇠퇴하는 기억력, 다시 살리는 방법 4 쇠퇴하는 기억력, 다시 살리는 방법 4   입력 F 2018.03.01 10:58 수정 2018.03.01 10:58   사람들은 나이가 들면 차츰 기억력이 나빠지게 마련이다. 그러나 과학자들은 기억력이 위축되는 과정을 많이 알아내는 만큼 그 ...  
843 신장 결석 알리는 증상 6 불씨 668 2018-03-07
신장 결석 알리는 증상 6 신장 결석 알리는 증상 6   입력 F 2018.02.27 09:23 수정 2018.02.27 09:23   신장 결석(콩팥 돌증)은 소변 안에 들어있는 물질들이 결정을 이루고 침착이 되어 마치 돌과 같은 형태를 이루어 신장 안에 생김으로써 여러 가지 증상과...  
842 환절기, 감기 예방하는 생활수칙 4 불씨 113 2018-03-07
환절기, 감기 예방하는 생활수칙 4 환절기, 감기 예방하는 생활수칙 4   입력 F 2018.02.27 16:16 수정 2018.02.27 16:16     겨울에서 봄으로 철이 바뀌는 환절기다. 이런 때가 되면 감기에 걸리기 쉽다. 전문가들은 “간단하지만 필요한 생활수칙을 잘 지켜야...  
841 흔한 소화기계 질환 대처법 4 불씨 174 2018-03-06
흔한 소화기계 질환 대처법 4 흔한 소화기계 질환 대처법 4   입력 F 2018.02.26 17:01 수정 2018.02.26 17:01       위나 장 등 소화기관에 문제가 생기면 큰 병에 걸린 게 아닌지 걱정이 앞설 수 있다. 하지만 배탈을 비롯한 대부분의 소화기계 문제는 건강...  
840 혈관 염증, 피부 염증보다 무섭다 불씨 1072 2018-03-06
혈관 염증, 피부 염증보다 무섭다 혈관 염증, 피부 염증보다 무섭다   입력 F 2018.02.28 15:08 수정 2018.02.28 15:08       염증이라고 하면 상처가 부풀고 고름이 차는 것을 생각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염증은 몸속에서도 생긴다. 특히 혈관에 염증이 생기...  
839 대장암 예방에 유산소 운동이 왜 중요할까 불씨 170 2018-03-05
대장암 예방에 유산소 운동이 왜 중요할까 | Daum 뉴스 대장암 예방에 유산소 운동이 왜 중요할까   김 용 입력 2017.02.01. 19:28댓글 0개자동요약   대장암은 국내에서 갑상선암을 제외한 위암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암이다. 부모가 대장암을 앓은...  
838 '안구건조증' 완화해주는 식품·눈 마사지 방법 불씨 253 2018-03-05
'안구건조증' 완화해주는 식품·눈 마사지 방법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안구건조증' 완화해주는 식품·눈 마사지 방법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02.26 17:29     안구건조증 증상을 완화하려면, 안토시아닌이 풍부해서 눈의 예민함을 줄여주...  
837 코골이·악몽·다리저림으로 알아보는 건강상태 불씨 247 2018-03-05
코골이·악몽·다리저림으로 알아보는 건강상태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코골이·악몽·다리저림으로 알아보는 건강상태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이모인 헬스조선 인턴기자  입력 : 2018.03.03 08:00       수면 장애를 나타내는 증상이 건강상태를 반영한...  
836 무거운 기구를 들어야 근육이 생긴다?…잘못된 근육 운동 상식 불씨 247 2018-03-04
무거운 기구를 들어야 근육이 생긴다?…잘못된 근육 운동 상식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무거운 기구를 들어야 근육이 생긴다?…잘못된 근육 운동 상식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02.26 14:46     운동량이 많다고 해서, 근육이 잘 생기는 건 아...  
835 쉬어도 나아지지 않는 피로감, 필요한 건 '물' 한잔 불씨 106 2018-03-04
쉬어도 나아지지 않는 피로감, 필요한 건 '물' 한잔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쉬어도 나아지지 않는 피로감, 필요한 건 '물' 한잔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03.03 08:00     특별히 어디 아픈 것도 아닌데 몸이 무겁고, 피곤하다면 물 한잔을...  
834 부종·저림·혈변·가래…당신의 몸이 보내는 '건강' 경고 신호 불씨 1589 2018-03-04
부종·저림·혈변·가래…당신의 몸이 보내는 '건강' 경고 신호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부종·저림·혈변·가래…당신의 몸이 보내는 '건강' 경고 신호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03.02 14:08 각기 다른 증상별로 알아보는 의심 질환     우리 몸은 ...  
833 우리 몸 공격하는 '활성산소', 언제 만들어지나 봤더니 불씨 168 2018-03-03
우리 몸 공격하는 '활성산소', 언제 만들어지나 봤더니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우리 몸 공격하는 '활성산소', 언제 만들어지나 봤더니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03.01 08:00   활성산소는 앉아있다가 갑자기 일어설 때 많이 만들어진다. /...  
832 봄에 하는 운동, 왜 조심해야 할까? 불씨 144 2018-03-03
봄에 하는 운동, 왜 조심해야 할까?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봄에 하는 운동, 왜 조심해야 할까?   이현정 헬스조선 기자  사진 셔터스톡   도움말 김홍규(서울아산병원 건강의학과 교수), 이종하(경희대병원 재활의학과 교수)   자료 국민건강보험공단 ...  
831 돌연사 부르는 혈관염증, 복부비만·LDL콜레스테롤이 원인 불씨 363 2018-03-03
돌연사 부르는 혈관염증, 복부비만·LDL콜레스테롤이 원인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돌연사 부르는 혈관염증, 복부비만·LDL콜레스테롤이 원인     입력 : 2018.02.28 15:08     혈관 염증은 돌연사를 유발하는 단초가 된다. 혈관 염증을 예방하기 위해선, ...  
830 좋은 외식 VS 나쁜 외식 '건강을 위해 챙겨야 할 메뉴 & 피해야 할 메뉴는 무엇일까?' 불씨 289 2018-03-02
좋은 외식 VS 나쁜 외식 '건강을 위해 챙겨야 할 메뉴 & 피해야 할 메뉴는 무엇일까?'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좋은 외식 VS 나쁜 외식 '건강을 위해 챙겨야 할 메뉴 & 피해야 할 메뉴는 무엇일까?'   이현정 헬스조선 기자  사진 셔터스톡, 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