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건강과생활

알록달록 단풍구경, 아는 만큼 안전한 등산 [건강, 아하 그렇구나]

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강남지부 건강증진의원 김지연 과장 입력 2018.10.25. 07:00

 

BD.12725586.1.jpg

 

 

본격적인 가을로 접어들면서 방방곡곡이 화려하게 단풍으로 물들고 있다. 산들이 색색의 옷을 갈아입으면서 이를 즐기기 위해 이름난 산을 찾는 이들의 발걸음도 덩달아 늘고 있다.

 

등산은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는 레저지만 주의하지 않으면 생명을 위협하는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평소 등산에 자신이 있는 사람이라도 준비 없이 등산에 나섰다가는 부상을 입을 수 있다.

 

따라서 운동 전 충분한 스트레칭이나 준비 운동을 하고, 지팡이와 같은 장비를 갖추는 것이 좋다.

 

또 반드시 등산 전후에 15분 이상 목, 허리, 무릎, 발목 부위에 스트레칭을 해 인대의 유연성을 높인 후 산행을 해야 한다. 운동 능력이 낮은 상태에서 가장 발생하기 쉬운 것이 다리를 접질리는 것인데, 이는 발목 부상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등산과 같이 발목을 많이 쓰는 운동을 하기 전에는 발목 주변 및 다리 전체의 근력을 강화하기 위해 스트레칭 등 유연성과 민첩성을 증가시키는 운동이 필요하다.

 

등산 시에는 발 사이즈에 맞고 바닥에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는 신발을 착용해야 하고, 산에 오를 때는 지팡이나 무릎 보호대, 젤 형태의 깔창 등을 사용하면 미끄러움도 방지하고 하중을 분산할 수 있어 부상 예방에 도움이 된다. 배낭을 잘 꾸려 손에는 되도록 물건을 들지않도록 해 위험에 대비할 수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산행은 50분 걷고 10분 휴식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개인의 특성이나 산길의 형태에 따라서 융통성 있게 자신의 페이스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평소 등산에 자신이 있다고 무리하게 진행하면 인대가 손상될 수 있다. 가급적 속도를 줄이고, 본인 체력의 70~80% 정도를 이용해 즐기는 것이 적당하다.

 

평지에서는 일반적인 걸음걸이로 걷되 오르막길에서는 가능하면 보폭을 평지보다 약간 좁히는 것이 좋다.

 

가을철에는 떨어진 낙엽 때문에 바닥이 미끄럽기 때문에 엉덩방아에도 주의해야 한다. 고령자는 가벼운 엉덩방아에도 고관절 골절이 생길 수 있다. 이때 넘어지지 않으려고 하거나 넘어 지면서 척추에 체중이 전달되는 경우 염좌나 추간판이 탈출될 수 있다. 산행 시 발 디딜 곳을 잘 살펴 천천히 걷고 썩은 나뭇가지나 불안정한 바위는 손잡이로 이용하지 않도록 하며, 주변 경관을 감상할 때는 걸음을 멈추고 평평한 곳에 서서 감상해야 한다.

 

산에서 내려올 때는 산에 오를 때보다 더 조심해야 한다. 특히 산에서는 해가 빨리 진다는 점을 고려해 해가 지기 전에 내려올 수 있도록 산행 계획을 세워야 한다.

 

산에서 내려 올 때는 걸음걸이는 뒤꿈치를 들고 보행하듯이 최대한 부드럽게 지면을 디뎌 다리의 하중이 직접 대퇴부 고관절에 전달되지 않게 한다는 느낌으로 걸어야 한다. 뒷다리의 무릎을 평상시보다 약간 더 깊숙이 구부려주면 앞 다리의 부담을 훨씬 줄일 수 있다.

 

심혈관질환자는 무리한 등산이 심장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산 속에 서는 심근경색 등 응급 상황에서의 대처가 어렵기 때문에 수축기 혈압이 180㎜Hg, 이완기 혈압이 110㎜Hg 이상인 사람에게는 등산이 권장되지 않으며, 당뇨병을 가진 사람도 이른 아침의 공복 시 산행은 저혈당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삼가는 것이 좋다.

 

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강남지부 건강증진의원 김지연 과장

 

 

< 저작권자(c)스포츠경향

 

출처: https://kizmom.hankyung.com/news/view.html?aid=201610248688o&cid=30

 

조회 수 :
190
등록일 :
2018.10.26
07:09:35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www.hfire.or.kr/17482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sort 날짜
1127 노화 막고 장수할 수 있을까..수면연장 단백질의 비밀 불씨 173 2018-12-11
노화 막고 장수할 수 있을까?... 수면연장 단백질의 비밀  유수인 입력 2018.12.06. 14:55   포스텍 이승재 교수팀, '프레폴딘-6' 규명   국내 연구진이 수명을 늘릴 수 있는 단백질 간의 상호작용 비밀을 밝혀냈다.   6일 포항공대(POSTECH)에 따르면 이승재 ...  
1126 노년기 최대의 적 '노쇠' 막으려면.. 단백질 매 끼니 드세요 불씨 173 2019-04-24
노년기 최대의 적 '노쇠' 막으려면..  단백질 매 끼니 드세요 이금숙 헬스조선기자   입력 2019년 4월 22일 09:47  \     단백질, 근육·면역력 유지하는 필수 영양소 닭·생선·두부 섭취 도움.. 매끼 먹는 게 중요   '100세 시대 재앙'이라고 불리는 노쇠. 노쇠...  
1125 무심코 하는 '이 자세'가 몸속 활성산소 만든다 불씨 173 2019-05-25
무심코 하는 '이 자세'가 몸속 활성산소 만든다 헬스조선 편집팀 입력 2019.05.24. 15:44 클립아트코리아     활성산소는 염증, 암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몸속 활성산소는 언제 만들어질까?   활성산소는 특정 상황에서 더 많이 만들어진다. 혈액...  
1124 소화력 높이고…위장에 좋은 음식 7 불씨 173 2020-04-16
소화력 높이고…위장에 좋은 음식 7 기사입력 2020.04.15. 오전 11:16   [사진=jv_food01/gettyimagesbank]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해 여러 가지 제한 조치가 시행되면서 스트레스와 활동 부족으로 소화불량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  
1123 역대급 더위 몰려오는 올 여름을 위한 '슬기로운 영양제 생활' 제안 불씨 173 2020-06-05
역대급 더위 몰려오는 올 여름을 위한 '슬기로운 영양제 생활' 제안 신성은 입력 2020.06.02. 13:46     [서울신문]전 세계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들썩이는 가운데 올 여름 역대급 폭염까지 예상되면서, 다양한 건강보조제품을 통해 더...  
1122 노폐물 배출만? '땀'이 주는 의외의 효과와 부작용 불씨 173 2020-07-09
노폐물 배출만? '땀'이 주는 의외의 효과와 부작용 전혜영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0.07.08. 09:01 수정 2020.07.08. 10:48 댓글 1개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땀은 피부 수분을 보충하고 피부 ...  
1121 '뇌 나이' 어려지고 싶다면.. 뇌 건강 운동법 5 불씨 173 2021-02-09
'뇌 나이' 어려지고 싶다면.. 뇌 건강 운동법 5 이슬비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1. 02. 05. 08:30 댓글 5개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뇌 건강 운동법으로 뇌 나이를 어리게 만들 수 있다./사진...  
1120 내 몸의 면역력이 떨어졌음을 알려주는 신호 4 불씨 173 2021-08-14
내 몸의 면역력이 떨어졌음을 알려주는 신호 4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1. 08. 10. 10:48 수정 2021. 08. 10. 10:53       잦은 배탈은 면역력 저하의 신호일 수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어떤 질병이든 면역력이 강해야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다. 코...  
1119 기름진 음식 먹고 더부룩할 때..사과가 좋은 이유 불씨 173 2021-09-21
기름진 음식 먹고 더부룩할 때..사과가 좋은 이유 권순일 입력 2021. 09. 20. 17:06     [사진=게티이미지뱅크]추석을 맞아 기름진 음식을 먹다보면 속이 더부룩하고 불편한 경우가 있다. 배변도 원활하지 않아 화장실을 들락거리기 일쑤다. 이럴 땐 사과가 약...  
1118 65세 넘으면 매일 생선·고기를 손바닥만큼 먹자 불씨 173 2021-10-19
65세 넘으면 매일 생선·고기를 손바닥만큼 먹자 권대익 입력 2021. 10. 17. 05:30     [전문의가 쓰는 건강 칼럼] 이경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65세 이후엔 매일 고기와 생선으로 단백질을 보충하는 것이 건강에 유익하다. 게티이미지뱅크 진료실에...  
1117 간을 보호하는 방법 5 불씨 173 2022-01-11
간을 보호하는 방법 5 권순일 입력 2022. 01. 05. 08:06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간은 우리 몸에서 가장 크고 복잡한 장기다. 유해 물질을 파괴하고 독소를 해독하는 기능을 한다. 또 섭취한 음식을 여러 조직에 필요한 영양소 형태로 적절하게 변화시키고,...  
1116 비싼 영양제, '이 시간'에 먹어야 효과 쑥 불씨 173 2022-01-15
비싼 영양제, '이 시간'에 먹어야 효과 쑥 이슬비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2. 01. 14. 01:00     영양제도 효과를 높이는 복용 시간이 따로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약은 '식후 30분' 혹은 '식전' 등 복용 시간에 맞춰 먹으면서, 영양제는 아무 때나 먹는 경...  
1115 나이보다 젊게 사는 비결 7 불씨 173 2022-09-19
나이보다 젊게 사는 비결 7 정희은입력 2022.09.18. 08:30     일상생활의 습관에 따라 나이보다 더 젊어 보이기도 또는 더 늙어 보이기도 한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사람은 누구나 나이를 먹는다. 신체 나이는 운동이나 스트레스 해소 등 생활의 습관에 따...  
1114 병원에 즉시 가야 하는 10가지 증상 불씨 173 2022-10-22
병원에 즉시 가야 하는 10가지 증상 김세진입력 2022. 10. 18. 08:12수정 2022. 10. 18. 08:16     미루다가 병 키운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이 정도는 괜찮겠지' 하며 차일피일 미루다가 큰 병을 키운 누군가의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있는가. 우리가 정...  
1113 뚜렷한 목적이 있는 삶, 건강장수에 ‘이만큼’ 도움 불씨 173 2022-11-27
뚜렷한 목적이 있는 삶, 건강장수에 ‘이만큼’ 도움 김영섭입력 2022. 11. 25. 06:50수정 2022. 11. 25. 08:29     가족 챙기기 등 목적 의식 강한 사람, 사망 위험 21% 더 낮아   생활 주변에서 플라스틱 쓰레기를 줍는 환경 보호활동을 비롯해 가족 부양, 부...  
1112 "일주일만에 5㎝ 컸다"...해외서 난리 난 '키 크는 운동' 불씨 173 2023-08-15
"일주일만에 5㎝ 컸다"...해외서 난리 난 '키 크는 운동' 문영진입력 2023. 8. 11. 09:40수정 2023. 8. 11. 15:32       최근 SNS상에서는 1주일이면 키가 5cm나 커진다는 '키 크는 운동'이 주목받고 있다. 사진=틱톡 캡처(왼쪽부터 쌥쌥이, 하이츄, yogawithm...  
1111 인류는 인공지능을 통제할 수 있을까? 불씨 173 2024-01-12
인류는 인공지능을 통제할 수 있을까? 주하은 기자입력 2023. 12. 20. 06:18       다수 전문가는 인공지능이 발전할수록 위험도 커진다고 경고한다. 인공지능의 목적이 인간의 목적과 일치한다고 장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소수 기업의 기술 독점 역시 문제가...  
1110 벚꽃·유채·진달래..4월엔 꽃 길만 걷자 불씨 174 2017-04-03
벚꽃·유채·진달래..4월엔 꽃 길만 걷자| Daum라이프 벚꽃·유채·진달래..4월엔 꽃 길만 걷자 한국관광공사 추천 걷기여행길 코스 10선한국일보 | 김도엽 인턴 | 입력 2017.04.01 10:02     4월은 어디를 가든 초록이고 꽃 길이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  
1109 수면중 뇌파조절, 기억력 2배 높인다.. 쥐 실험으로 증명 불씨 174 2017-07-07
수면중 뇌파조절, 기억력 2배 높인다.. 쥐 실험으로 증명| Daum라이프 수면중 뇌파조절, 기억력 2배 높인다.. 쥐 실험으로 증명 헬스조선 |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 입력 2017.07.07 11:37   수면 중 나오는 뇌파를 조절하면 학습 기억력을 약 2배 높일 수 있...  
1108 노화세포 제거·질병유전자 바꿔 수명연장…과학으로 찾은 '新불로초' 불씨 174 2018-02-06
MK News - 노화세포 제거·질병유전자 바꿔 수명연장…과학으로 찾은 `新불로초` 노화세포 제거·질병유전자 바꿔 수명연장…과학으로 찾은 '新불로초' `평균 100세 시대` 앞당기는 첨단 장수연구 세계 곳곳서…과학계 "인간수명 한계없다" 노화세포 스스로 사멸하...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