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건강과생활

65세 이상 절반이 노쇠 위험.. 노쇠 간호·재활비, 정상보다 10배 더 들어

한희준 헬스조선기자    입력: 2019년 2월 9일 09:00

 

 

[100세 시대, 노쇠는 病이다] [1] 심각한 노쇠, 대책은 걸음마

85세 이상 5명 중 1명, 노쇠 상태.. 노쇠의 대표 증상은 근육 감소

 

'100세 시대, 노쇠는 病이다' 연재를 시작합니다. 급속한 고령화 진행과 함께 노쇠가 첨예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노쇠는 신체·정신 기능의 급격한 저하로 인해 정상적인 생활을 하지 못하는 상태로 ▲당사자는 누워 지내다 비참하게 생을 마감하고 ▲가족은 심적·경제적으로 큰 고통에 시달리며 ▲사회·경제적 비용 또한 막대하게 소요됩니다. 우리나라의 85세 이상 인구의 5명 중 1명이 노쇠이며, 65세 이상 인구의 절반이 노쇠 위험 인구입니다. 노쇠는 새롭게 발생한 질병은 아니지만 증중질환 못잖게 중요해졌다는 점에서 '오래된 신종병(新種病)'이라고 할만합니다.

 

WHO(세계보건기구)와 선진국은 이미 노쇠를 질병으로 규정하고 발빠른 대응을 시작했지만 국내는 시작 단계입니다. 이에 헬스조선은 대한노인병학회 등 관련 학회와 손잡고 노쇠 예방과 극복 캠페인을 시작합니다. 노쇠의 심각성을 알아보고 국내 현황과 대책을 점검합니다. 선진국의 대처 방식을 살펴보고 노쇠 예방·극복을 위해 개인과 국가·사회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할 지 짚어봅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바랍니다.

 

우리나라는 2017년 고령사회(노인 비율 14% 이상)에 접어들었다. 고령화 속도는 세계에서 유래가 없을 정도로 빠르다. 고령화와 함께 첨예하게 등장하고 있는 이슈는 '노쇠'다. 노쇠의 먹구름은 알게 모르게 이미 우리 사회를 뒤덮고 있으며, 머지않아 폭풍우를 불러올 수도 있다.

 

◇우리나라 노인 절반은 노쇠 위험군

 

노쇠(老衰, frailty)는 '신체 기능의 급격한 저하로 인해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할 수 없는 상태'다. 노쇠를 노화와 비슷하다 생각할 수 있지만, 둘은 개념이 다르다. 노화는 피부 주름이나 흰머리처럼 나이가 들면 누구나 겪는 신체 변화를 말한다. 노쇠는 근육을 포함해 몸 곳곳의 기능이 정상 수준보다 감퇴한 상태로, 의료계에서는 질병으로 간주한다. 우리나라 고령인구의 노쇠 유병률은 8.3%다. 연령이 높을수록 노쇠 위험은 커진다. 65~74세 인구는 5.3%가, 75~84세는 13%, 85세 이상은 19.9%가 노쇠하다. 국내 노쇠 인구는 꾸준히 늘고 있다. 2008년 41만4053명이던 노쇠 인구는 올해 71만5111명으로 늘었을 것이라 추산된다. 아직 노쇠는 아니지만 노쇠의 위험을 안고 있는 전(前)노쇠 인구는 2008년 245만4387명에서 올해 389만 4644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65세 이상 인구의 50.6%다(보건복지부 '노인 실태 조사' 결과).

 

◇노쇠하면 사망률·치매 발생률 증가

 

 

 

노쇠의 대표 증상은 근육 감소다. 근육이 줄고 근력이 약해지면 보행이 어렵고, 그러면 다시 근육이 줄고 뼈가 약해져 골절이 잘 되는 등 악순환을 낳는다. 체중 감소, 활력 감소, 허약, 보행 속도 감소, 활동량 감소 같은 여러 문제도 뒤따라온다. 수많은 질병에 취약해지고, 입원 및 사망 위험이 증가하는 상태가 된다. 노쇠한 노인은 같은 질병으로 치료해도 노쇠하지 않은 노인에 비해 예후가 좋지 않다.

 

인천은혜병원 가혁 원장(대한노인병학회 요양병원협력정책이사)은 "여생을 비참하게 보내는 노쇠 노인과 가족을 많이 본다"며 "노인 스스로는 꼼짝 못하고 침대에 누워 눈만 깜빡거리며 남은 생을 보내고, 그런 부모를 바라보는 자식들은 하루 하루가 죄 짓는 듯 지옥같다고 호소한다"고 말했다. 노쇠 노인은 거동이 불편해서 요양시설의 도움을 받을 수밖에 없는데, 요양원에 입소할 경우 한 달에 40만~50만원, 요양병원에 입원하면 매달 거의 100만원에 가까운 돈이 든다. 경제적으로 큰 고통인 것이다. 실제로, 노쇠 발생이 의료비 지출을 증가시킨다는 여러 연구가 있다. 독일 연구에 따르면 노인이 노쇠를 겪으면 지출 의료비가 54~101% 증가한다(입원비 200%, 간호서비스 73%, 가족 부양비 52% 등). 아주대의대 예방의학교실 이윤환 교수는 "노쇠 상태가 심할수록 이런 문제는 심화된다"며 "정상 노인에 비해 전노쇠·노쇠 노인의 외래 진료비 지출이 각각 1.5배·2.5배로 높고, 간호 및 재활 서비스에 지출된 비용은 정상 노인에 비해 전노쇠가 5배, 노쇠가 10배 더 많다는 프랑스의 연구 결과가 있다"고 말했다. 국내 조사에서는 노쇠 노인의 경우 가구 소득의 10.7%를 의료비로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혁 원장은 "노쇠·전노쇠로 인한 연평균 의료비는 최소 10조원 이상으로 추산된다"고 말했다.

 

노쇠하면 장애 발생률도 증가한다. 일본 후생성에 따르면 85세 이상 노인에서 장애의 원인 1위는 노쇠(85~89세 24.9%, 90세 이상 43.6%)가 차지한다. 이는 낙상·골절, 치매, 뇌졸중보다도 높은 수치다. 이 외에 병원 입원율(2.2배), 장기 요양 시설 입소율(5.6배) 모두 노쇠 노인이 정상 노인보다 높다. 이렇다 보니, 노쇠는 사망과도 관련이 있다. 전노쇠·노쇠 노인의 3년 후 사망률은 정상 노인에 비해 각각 38%, 78% 높다고 보고된다. 노쇠한 노인은 향후 치매 발생 위험도 높아서, 2013년 열린 세계노년학회·세계영양노화학회에서는 노쇠로 인한 인지기능저하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노쇠 노인 많아질 것… 예방 힘써야

 

노쇠 노인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2030년엔 119만7697명이, 2050년엔 215만5153명이 노쇠해진다.

 

노쇠에 대한 우리 사회 대비 수준은 어떨까. 선진국은 이미 노쇠를 질병으로 규정하고 대책 마련에 속도를 붙이고 있지만 국내에는 노쇠 개념조차 제대로 알려져 있지 않다. 보건복지부는 최근 한국노인노쇠코호트 및 중재연구를 시작했다. 노쇠의 원인과 결과를 알고, 지속 가능한 대책을 수립하려는 목적이다. 유수의 기업들도 노쇠 산업에 주목하고 노쇠 방지 식품 등을 개발·수입 중이다. 하지만 아직 미흡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더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개발과 정은영 과장은 "국가적으로도 노쇠를 시급히 해결해야 할 사안으로 인지하고 있다"며 "추후 충분한 연구개발을 통해 노쇠 관련 인프라를 확충하고, 노쇠 노인을 지원하는 등의 사업을 실시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국노인노쇠코호트 및 중재연구 사업단 원장원 단장(경희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은 "국민 개개인이 노쇠의 심각성을 알고 이를 대비하려는 노력을 해야 하며, 의료계 역시 노쇠를 막고 이기는 방법에 대해 활발히 연구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개인과 사회, 국가적 노력에 따라서 노쇠는 어느 정도 예방이 가능하다. 이미 노쇠해졌다 하더라도 위험 요인을 잘 찾아서 교정하면 노쇠로 인한 여러 위험을 낮출 수 있다. 노쇠 노인 966명을 5년 추적 관찰한 유럽의 연구에 따르면 31.9%는 영양 섭취나 운동 등을 통해 전 노쇠 단계로, 7%는 건강한 상태로 회복됐다.

 

암 등 중증질환 못지않게 심각한 '오래된 신종병(新種病)' 노쇠와의 긴 싸움이 시작됐다.

 

공동 기획: 대한노인병학회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출처: https://news.v.daum.net/v/20190219090009776

 

조회 수 :
214
등록일 :
2019.02.20
09:11:00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www.hfire.or.kr/1754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sort 날짜
1250 10년간 초·중·고 학생들이 빌려간 ‘도서관 책’ 1위는? 불씨 165 2019-08-11
10년간 초·중·고 학생들이 빌려간 ‘도서관 책’ 1위는? 20면 1단 기사입력 2019.08.06. 오후 2:30   [머니투데이 김고금평 기자] [국립중앙도서관 전국 844개 도서관 빅데이터 분석결과…초등 ‘짜장 짬뽕 탕수육’, 중·고등 ‘엄마를 부탁해’ ]   지난 10년간 전국...  
1249 느리게 걷는 40대 더 빨리 늙는다? "느릴수록 노화·노안↑" 불씨 165 2019-10-14
느리게 걷는 40대 더 빨리 늙는다? "느릴수록 노화·노안↑" 김경미 기자 입력 2019.10.13. 10:50     영국 킹스칼리지런던과 미국 듀크대 공동연구 "60세 이상 노인뿐 아니라 중년 걸음걸이도 노화 지표 될 수 있어"     [서울경제] 40대 중년의 걸음걸이 속도...  
1248 [건강] 아침밥 꼭 먹고 계단 걷기, 하루 3번씩 크게 웃으세요 불씨 165 2021-01-09
[건강] 아침밥 꼭 먹고 계단 걷기, 하루 3번씩 크게 웃으세요 이병문 입력 2021. 01. 06. 04:03 댓글 0개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장수의 지름길..7가지 식생활 습관   ◆ 2021 신년기획 건강 빅 모멘텀 ◆   [사진 = 게티...  
1247 초여름 바깥 활동 시 벌레에 물리면 이렇게 대처하자 불씨 165 2021-05-25
초여름 바깥 활동 시 벌레에 물리면 이렇게 대처하자 이승구 입력 2021. 05. 24. 10:56 수정 2021. 05. 24. 13:10     벌에 쏘이면 침 제거 후 상처부위 씻고 냉찜질이나 소염제 사용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수풀 주변 가지 말고 피부 노출 '최소화' 모기에 ...  
1246 '말도 나도 살찌는 계절'..건강한 가을 보내는 법은? 불씨 165 2021-10-01
'말도 나도 살찌는 계절'..건강한 가을 보내는 법은? 이승구 입력 2021. 09. 30. 18:38     여름 내 잃었던 입맛 되 살아나..'확찐자'(?) 안되게 조심해야 사과·대하·배·버섯·고구마 등 '저칼로리·고영양' 제철음식 먹기 산책·등산·자전거 타기 등 선선해진 날...  
1245 노년의 삶을 행복하게 해주는 생활습관은? 불씨 165 2022-10-17
노년의 삶을 행복하게 해주는 생활습관은? 한건필입력 2022. 9. 17. 19:45     "아침 7시전 일어나 15시간씩 활동적 시간 보내라"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아침 7시 이전 일찍 일어나서 매일 15시간씩 육체적·정신적으로 활동적 시간을 보내는 65세 이상의 미...  
1244 미세먼지 함유된 봄비, 피부에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불씨 166 2017-03-28
미세먼지 함유된 봄비, 피부에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Daum라이프 미세먼지 함유된 봄비, 피부에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헬스조선 |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 입력 2017.03.27 14:28     미세먼지에 함유된 봄비에는 중금속 등이 녹아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1243 1시간 달리면 7시간 수명 연장 효과(연구) 불씨 166 2017-04-17
1시간 달리면 7시간 수명 연장 효과(연구)| Daum라이프 1시간 달리면 7시간 수명 연장 효과(연구) 코메디닷컴 | 이소영 | 입력 2017.04.15 14:38       1시간 동안 달리기 운동을 하면 7시간 정도의 수명 연장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달리기를 하는...  
1242 봄철 피부 잘 관리하는 법 5가지 불씨 166 2017-05-15
봄철 피부 잘 관리하는 법 5가지| Daum라이프 봄철 피부 잘 관리하는 법 5가지 코메디닷컴 | 권순일 | 입력 2017.05.14 14:28     햇빛 속의 자외선은 인체에 이로운 점이 많다. 햇볕을 많이 쬐면 우리 몸의 갈색지방이 활성화돼 지방을 태우게 되므로 체중 조...  
1241 건강 효과 떨어뜨리는 운동 실수 5가지 불씨 166 2017-05-22
건강 효과 떨어뜨리는 운동 실수 5가지| Daum라이프 건강 효과 떨어뜨리는 운동 실수 5가지 코메디닷컴 | 권순일 | 입력 2017.04.19 15:18         운동은 심장마비, 암 그리고 우울증 발생 위험을 낮추는 등 건강에 좋은 효과를 가져다준다. 운동은 활력을 높...  
1240 충치·잇몸병 유발하는 해로운 생활습관 4가지 불씨 166 2017-06-10
충치·잇몸병 유발하는 해로운 생활습관 4가지| Daum라이프 충치·잇몸병 유발하는 해로운 생활습관 4가지 내일(9일) '구강보건의 날'헬스조선 |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 입력 2017.06.08 14:52 | 수정 2017.06.08 14:58     내일(6월 9일)은 ‘구강보건의 날’이...  
1239 질병 유발할 수 있는 사소한 생활습관 8 불씨 166 2017-07-06
질병 유발할 수 있는 사소한 생활습관 8| Daum라이프 질병 유발할 수 있는 사소한 생활습관 8 헬스조선 | 이보람 기자 | 입력 2017.07.06 09:08     별 생각 없이 무심결에 하는 행동이나 습관이 ‘질환’을 유발하는 단초가 될 수 있다. 누군가는 “이런 행동이 ...  
1238 내 몸에서 돌이 자란다? '담석증' 의심 신호 불씨 166 2017-08-10
내 몸에서 돌이 자란다? '담석증' 의심 신호| Daum라이프 내 몸에서 돌이 자란다? '담석증' 의심 신호 헬스조선 | 헬스조선 편집팀 | 입력 2017.08.09 10:07 | 수정 2017.08.09 10:08  최모(43)씨는 최근 가끔 원인을 알 수 없는 복통이 생기곤 했다. 평소 소...  
1237 부모님 '심장·혈관 질환' 의심 신호 6가지 불씨 166 2017-10-02
부모님 '심장·혈관 질환' 의심 신호 6가지| Daum라이프 부모님 '심장·혈관 질환' 의심 신호 6가지 헬스조선 |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 입력 2017.10.02 08:30     감기 증상은 없는데 기침이 오래도록 지속될 때도 심장질환을 의심할 수 있다/사진=헬스조선 DB...  
1236 [두근두근 뇌 운동] [820] 초성 이어가기 불씨 166 2018-02-05
[두근두근 뇌 운동] [820] 초성 이어가기 | Daum 뉴스   [두근두근 뇌 운동] [820] 초성 이어가기 입력 2018.02.05. 03:05   ⓒ 조선일보 & chosun.com  
1235 안마기, 강한 게 좋을까? 안마기 사용 주의사항 3가지 불씨 166 2018-02-17
안마기, 강한 게 좋을까? 안마기 사용 주의사항 3가지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안마기, 강한 게 좋을까? 안마기 사용 주의사항 3가지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02.14 13:20     안마기는 약한 강도로 사용하는 게 좋다. /사진=조선일보DB   ...  
1234 성인 권장 예방접종, 선택 아닌 '필수'입니다 불씨 166 2018-02-21
성인 권장 예방접종, 선택 아닌 '필수'입니다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성인 권장 예방접종, 선택 아닌 '필수'입니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   입력 : 2018.02.20 08:01 [의학자문위원이 쓰는 건강 노트] [11] 질병 예방 지름길 '예방접종...  
1233 온찜질일까, 냉찜질일까? 아직도 헷갈린다면 불씨 166 2018-04-14
온찜질일까, 냉찜질일까? 아직도 헷갈린다면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온찜질일까, 냉찜질일까? 아직도 헷갈린다면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04.12 18:03     다리를 삐끗한 직후에는 1~2일 동안 냉찜질을 해야 한다./사진=헬스조선 DB   운...  
1232 겨우내 쓸 비타민D, 10월에 저축하세요 불씨 166 2018-10-06
겨우내 쓸 비타민D, 10월에 저축하세요 김수진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10.05 09:05   비타민D는 면역세포 생산을 도와 암을 예방하고, 칼슘 농도를 조절해 뼈를 튼튼하게 만든다. 부족하면 골다공증·대장암·유방암 위험이 커진다. 비타민D는 사계절 부족하...  
1231 귀찮아도…건강 위해 지켜야 할 ‘최소’ 조건은? 불씨 166 2018-11-09
귀찮아도…건강 위해 지켜야 할 ‘최소’ 조건은? 문세영 기자 입력 2018년 11월 6일 14:28   [사진=Ollyy/shutterstock]   건강을 위해 적어도 이것만은 꼭 지켜야 한다는 최소한도의 조건들이 있다.   모든 사람들이 에너지와 활기가 넘치는 생활을 하지는 못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