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건강과생활

[And 건강] 온몸 갉아먹는 입안 세균, 혈관 침투 막아라

국민일보  기사입력: 2019년.02.26  04:04

 

40대 남성이 지난 19일 강북삼성병원에서 치과 검진을 받은 뒤 칫솔질 교육을 받고 있다. 치주질환을 예방하려면 타고난 건강한 치아와 잇몸, 올바른 양치 습관, 정기적인 구강검진 등 3박자가 맞아야 한다.

 

 

[새해 건강약속 이것만은 꼭!] <7> 구강위생 관리 철저히

 

 

입안에는 약 700여종 세균 서식… 이들 중 일부 충치·치주질환 원인

30대 기점으로 충치 발생률 줄고 뇌졸중·혈관성치매 등 각종 질병 유발·악화시키는 치주질환 증가

충치·치주질환 등 예방 위해선 올바른 양치질·치실 사용 생활화

1년에 한 번 이상 스케일링 중요

 

입안에는 약 700종의 세균이 살고 있다. 잇몸이 건강한 사람이 1분 동안 가글링해 뱉은 물 안에 약 10억마리의 세균이 존재했다는 연구보고가 있다. 이들 세균 중 일부가 충치와 치주질환(잇몸병)을 일으킨다.

 

한국인의 구강건강 수준은 그리 높지 않다. 만 12세 아동의 충치(치아우식증) 경험률은 점차 감소 추세이나 1인당 평균 충치 경험 영구치 수는 1.9개(2015년 기준)로 세계 평균(1.86개)보다 많다. 정부는 2020년까지 12세의 충치 경험 치아 수를 1.4개로 낮추기로 했지만 목표 달성이 쉽진 않다. 충치는 만 6세부터 늘기 시작해 20세 무렵 되면 경험률이 90%를 넘는 등 대다수 국민이 겪는 질환이어서 무엇보다 예방적 노력이 중요하다.

 

충치 발생률은 30대를 기점으로 낮아지고 이후에는 치주질환이 증가한다. 흔히 ‘풍치’로 불리는 치주질환 관리는 최근 구강보건 영역에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1970~80년대 칫솔질 등 개인구강관리가 보편화되면서 점차 줄어들던 국내 치주질환 유병률은 2013년부터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2015년 기준으로 만 19세 이상 성인 4명 가운데 1명(유병률 26.4%), 만 65세 이상 노인은 절반 가까이(48.5%)가 치주병을 앓는 것으로 조사됐다. 노인의 43.3%가 이로 인해 음식 씹기 불편을 호소했고 20개 이상 치아를 보유한 노인은 54.7%에 그쳤다. 반면 노인의 구강 검진율은 21.7%에 불과했다.

 

치주질환은 전신에 각종 질병을 만들고 악화시키는 것으로 속속 밝혀지고 있다. 치아를 감싸고 있는 잇몸(치은)과 치아를 잡아주는 그 아래 뼈(치조골)에 염증이 생기는 것인데, 가볍게 생각하다간 온몸에 심각한 위협을 초래하고 생명까지도 앗아갈 수 있다. 지금까지의 국내외 연구결과를 보면 치주질환은 뇌졸중과 혈관성치매, 심혈관질환, 당뇨병, 류머티즘성관절염, 조산 및 저체중아 출산, 성기능장애, 췌장암, 황반변성 등의 발병 위험을 높인다.

 

치주병이 전신질환에 영향을 끼치는 경로에 대해선 잇몸 주변 세균과 그 부산물, 또 치주 병소(病巢·병터)에서 만들어진 염증 매개물질(사이토카인) 등이 혈관 안으로 침투해 혈류를 타고 다니며 전신에 염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입안에 사는 세균이 동맥경화반(혈관내 찌꺼기 덩어리)과 심장 판막에서 발견되는 것은 이런 가능성을 보여준다. 다시 말해 입안의 세균이 혈관 속을 흘러 다니며 몸 곳곳을 야금야금 갉아먹는 셈이다.

 

대한치주과학회는 “치주염이 있는 사람은 칫솔질에 의해 유해 세균의 혈관 유입 가능성이 더 커지고, 들어가는 세균 수도 (건강한 잇몸 보유자보다) 훨씬 더 많다는 보고들이 있다. 전신질환의 발생 가능성은 그만큼 더 커진다”고 밝혔다.

 

일각에선 머지 않아 잇몸병이 비만처럼 ‘만병의 근원’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보건복지부가 올해 구강보건 전담부서인 구강정책과를 별도로 신설한 것도 이런 배경과 무관치 않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 통합건강팀 김진선 주임 전문원은 25일 “구강질환의 경우 다른 질병에 비해 건강보험 보장율이 낮아, 국민 개개인이 느끼는 치료비 부담이 매우 크고 소득 계층 간 구강건강의 불평등도 심화되고 있어 국가 차원의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충치 및 치주질환과 그로 인한 전신질환 예방의 답은 이미 나와 있다. 올바른 양치질과 치실 및 치간칫솔 사용의 생활화, 1년에 최소 한 번 이상 스케일링(40대 이후는 6개월마다 한 번), 특별한 증상이 없어도 3~6개월마다 정기 구강검진을 지키는 것이다.

 

 

 

 

실제 분당서울대병원이 최근 유럽심장학회지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양치질을 하루 한 번 더 하거나 스케일링을 규칙적으로 하면 심혈관질환 위험이 각각 9%, 14% 감소하는 걸로 확인됐다. 다만 자신의 양치질이 바른 방법인지는 살펴봐야 한다.

 

치주과학회 홍보위원회는 “환자들 중에 하루 10번씩 이를 닦는데 왜 잇몸에 염증이 생기냐고 묻는 이들이 많은데, 치과에서 직접 칫솔질하는 모습을 지켜봤더니 딱 45초 닦았다”면서 “칫솔질은 횟수가 아니라 올바른 방법으로 하는 게 중요하고 잘못된 방법으로 열심히 닦는 것은 소용이 없다”고 설명했다.

 

강북삼성병원 치과 서종철 교수는 “양치질은 ‘치아를 깨끗이 닦는다’는 의미가 아니라 ‘치아와 치아 사이, 잇몸 틈새에 낀 음식물 찌꺼기를 빼낸다’는 의미의 양치질을 해야 한다”면서 “그래서 좌우가 아니라 치아의 결에 따라 위·아래로 쓸어내리고 올리는 방식으로 칫솔질을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분당서울대병원 치과 최용훈 교수도 “칫솔을 잇몸 쪽으로 치면에 45도 각도로 대서 치아와 잇몸 사이에 밀어넣고 짧게 진동을 주면 잇몸 사이에 칫솔모가 깊숙이 들어가 음식 찌꺼기나 치석을 제거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과거 ‘333 방식’(하루 3번, 식후 3분안, 3분씩 칫솔질)의 양치질이 권장됐는데, 최근 미국치과의사협회는 하루 3번, 3분씩 양치하면 아이들의 경우 치아와 잇몸에 무리가 갈 수 있다면서 최소 하루 2번(아침 식사 후와 잠자기 전), 2분 이상 양치질해도 족하다는 식으로 권장 사항을 바꿨다”고 덧붙였다.

 

칫솔이 닿지 않는 잇몸 사이와 치아 틈새의 경우 하루 한 번씩 꼭 치실이나 치간칫솔을 사용해 이물질을 빼내야 한다. 특히 잇몸이 많이 내려가 치아 뿌리가 노출된 경우엔 치간칫솔로 오목한 부위를 닦아줘야 한다. 서종철 교수는 “아울러 이갈이와 이를 앙다무는 습관, 단단하고 질긴 음식을 무리하게 씹는 것도 치주건강에 좋지 않으니 되도록 피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양치로는 치석이 쌓이는 걸 100% 막을 수 없기 때문에 3~6개월에 한 번씩 치과를 찾아 자신의 구강상태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 만 19세 이상은 연 1회 스케일링에 건강보험도 적용된다. 격년으로 시행되는 무료 국가구강검진도 빼먹지 말아야 한다.

 

 

신호철 강북삼성병원 병원장

 

 

치주질환 초기엔 증상이 전혀 없기 때문에 중증으로 진행돼서야 병원에 오는 경우가 많다. 잇몸이 붓고 피가 날 정도면 이미 잇몸건강에 빨간불이 들어온 것과 다름없다. 최용훈 교수는 “그래서 정기 구강검진이 중요하며 가능하면 한군데 치과를 정해 고정적으로 점검받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 신호철 강북삼성병원 병원장

“늘그막의 질병, 젊었을 때 불러들인것… 건강한 습관 실천이 중요”

 

“당뇨병이나 심혈관질환 등 만성질환의 예방과 치료는 건강한 생활습관을 갖는 것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하지만 평소 실천하지 않는다면 의미가 없어요.”

 

강북삼성병원 신호철(사진) 병원장은 25일 “국민일보가 연초부터 보도한 7가지 주제의 ‘새해 건강약속, 이것만은 꼭!’ 시리즈는 한국인 대상 대규모 코호트(특성 공유 집단) 연구를 통해 과학적으로 입증된 내용들로 구성됐다”면서 “거창한 계획을 세울 게 아니라 생활 속에서 자신이 쉽게 할 수 있는 것부터 선택해 꾸준히 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그는 “건물 내 계단 오르내리기, 식사 때 한 숟가락 남기기, 탄산음료 대신 물과 보리차 마시기 등 많은 방법이 있을 수 있다”면서 “이런 내용들은 아무리 바빠도 시간을 내서 해야 하고 조금 불편해도 감수하고 해야만 습관을 들일 수 있다”고 말했다.

 

신 원장은 그러면서 중국의 현자인 노자가 한 말을 인용했다. ‘늘그막의 질병은 모두 젊었을 때 불러들인 것이요. 쇠퇴한 후의 재앙은 모두가 번성했을 때 지은 것이다. 그러므로 성하고 가득 찬 것을 지니고 누릴 때 더욱 조심해야 한다.’ 신 원장은 “젊을 때부터 건강한 습관 형성의 중요성을 말해준다”고 설명했다.

 

그는 “유병(有病) 장수시대에 중요한 것은 정확한 의학지식을 알고 실천하는 것”이라고 했다. 잘못된 정보는 잘못된 실천으로 이어지고 쓸데없는 두려움과 걱정을 끼쳐 결국 건강을 해치는 결정적 단초가 된다는 것이다.

 

신 원장은 “요즘 인터넷에 떠도는 건강 정보 가운데는 잘못됐거나 허황된 것이 많다. 일반인이 옥석을 가리긴 쉽지 않은 만큼 평소 자신의 건강상태를 잘 아는 주치의를 정하고 꾸준히 상담받는다면 자신에게 맞는 유용한 정보를 구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글·사진=민태원 의학전문기자 twmin@kmib.co.kr

 

[네이버 메인에서 채널 구독하기]

[취향저격 뉴스는 여기] [의뢰하세요 취재대행소 왱]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출처:https://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3&cid=992749&iid=1337687&oid=005&aid=0001175797&ptype=021

 

 

조회 수 :
182
등록일 :
2019.03.01
10:09:42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www.hfire.or.kr/17555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sort
2191 건강 100세의 적 '근감소증'..노화 및 뇌졸중·골다공증·치매 등 주의 불씨 136 2021-10-17
건강 100세의 적 '근감소증'..노화 및 뇌졸중·골다공증·치매 등 주의 강석봉 기자 입력 2021. 10. 16. 12:05     [스포츠경향] 재활의학과 유승돈 교수.고령사회가 가속화되면서 주목받는 질환 중 하나로 근감소증(Sarcopenia)이 있다. 근감소증은 말 그대로 ...  
2190 혈관 회춘만? 신경 젊게 만드는 '얼굴 주무르기' 불씨 244 2021-10-16
혈관 회춘만? 신경 젊게 만드는 '얼굴 주무르기' 이금숙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1. 10. 15. 05:00 수정 2021. 10. 15. 09:36     100세 시대 혈관만큼 중요한 것이 바로 신경이다. 신경은 뇌의 명령을 신체 각 기관으로 전달하고, 뇌로 전해져야 하는 정보를 ...  
2189 "내 몸은 내가 지킨다"..환절기 면역 키우려면 □□하라 불씨 148 2021-10-15
"내 몸은 내가 지킨다"..환절기 면역 키우려면 □□하라 이병문 입력 2021. 09. 28. 18:51 수정 2021. 09. 28. 19:06     ① 운동하라 면역력 떨어지면 염증·암 위험 커져 가벼운 운동·규칙적 식사 습관 중요 '센' 운동은 활성산소 유발시켜 노화촉진 ② 장 건강 ...  
2188 마음 단단해지는 '멘탈 피트니스' 방법 3 불씨 142 2021-10-14
마음 단단해지는 '멘탈 피트니스' 방법 3   이금숙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1. 10. 11. 14:00       마음이 힘들 때 글을 써서 자신의 마음을 파악하면 감정 에너지 소모가 줄어든다./클립아트코리아     근육질 몸매를 키우는 데에만 집중하지 말자. 마음도 단...  
2187 야외에서 마스크 벗어도 될까? 가을운동 8원칙 불씨 130 2021-10-13
야외에서 마스크 벗어도 될까? 가을운동 8원칙 김성은 입력 2021. 10. 11. 06:13       전국이 대체로 흐리고 곳곳 가을비 내린다. 중부지방은 영동지방을 제외하곤 아침에 비가 그치겠지만, 영동지방과 남부지방은 밤까지 빗방울 듣겠다. 아침 최저 9~21도, ...  
2186 활력을 되찾는 좋은 방법 4가지 불씨 131 2021-10-12
활력을 되찾는 좋은 방법 4가지 권순일 입력 2021. 10. 11. 07:45     [사진=게티이미지뱅크]10월 중순이 다 되서야 기온이 서늘해지며 본격적인 가을이라는 느낌이 든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지속되면서 불안과 걱정도 사라지지 않는 시...  
2185 성별·연령 따라 달라지는 건강검진 항목, 놓치지 않고 진행하려면? 불씨 147 2021-10-11
성별·연령 따라 달라지는 건강검진 항목, 놓치지 않고 진행하려면? 전아름 기자 입력 2021. 10. 07. 09:05     [건강정보] 국가건강검진,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베이비뉴스 전아름 기자】 내시경 검사를 비롯한 건강검진은 암, 만성질환 등 생명과 신체에 ...  
2184 "건강 장수의 핵심은 튼튼한 뼈와 근육" 불씨 126 2021-10-10
"건강 장수의 핵심은 튼튼한 뼈와 근육" 김철중 의학전문기자 입력 2021. 10. 07. 03:01 수정 2021. 10. 07. 06:47     [메디 피플] 국제성모병원 황희진 교수   “성공한 노화는 삶 막판까지 일상 생활을 혼자서 꾸려가는 기능적 능력을 가지는 것이죠.” /국제...  
2183 지금 이 시기에 꼭 챙겨먹어야 할 영양제 불씨 302 2021-10-09
지금 이 시기에 꼭 챙겨먹어야 할 영양제 정윤지 입력 2021. 10. 08. 00:11     하루하루 체력이 딸리고 피로감이 쉽게 해소되지 않는다고? 좀 '먹어 본' 뷰티 인사이더들이 추천하는 영양제를 눈여겨보자.     RED GINSENG, FLAXSEED OIL, OLIVE OIL 20대 때...  
2182 아침에 딱 1분 만해도..효과 좋은 운동 4 불씨 171 2021-10-08
아침에 딱 1분 만해도..효과 좋은 운동 4 권순일 입력 2021. 10. 07. 08:24     [사진=게티이미지뱅크]운동은 기분을 좋게 만드는 엔도르핀 같은 물질을 분비시키고, 뇌가 잘 돌아가도록 자극한다. 에너지를 북돋우고,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효과도 있다. 아침...  
2181 건강한 노화..뼈와 근육 보존에 답 있다 불씨 154 2021-10-07
건강한 노화..뼈와 근육 보존에 답 있다 강석봉 기자 입력 2021. 10. 06. 14:57     [스포츠경향] 지난 3일 세종대학교 광개토관 컨벤션홀에서 개최된 대한임상노인의학회(회장 이은직, 이사장 김경수) 추계학술대회에서 노인의 삶의 질 향상 전략 session 에 ...  
2180 배가 빵빵~ '복부 팽만감' 없애는 운동 4 불씨 243 2021-10-06
배가 빵빵~ '복부 팽만감' 없애는 운동 4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1. 10. 02. 05:00       '무릎 안기' 자세는 복부 팽만감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배에 가스가 찬 것처럼 더부룩한 '복부 팽만감'은 불쾌함 뿐만 아니라 구토·통증...  
2179 암 예방위해 우리가 하면 좋은 것 4 불씨 130 2021-10-05
암 예방위해 우리가 하면 좋은 것 4 이보현 입력 2021. 10. 04. 15:11   [사진=게티이미지뱅크]암과의 전쟁이 거의 50년 전에 시작됐으나 여전히 암은 주요 사망 원인으로 남아 있다. 새로운 약물과 특정 암세포를 목표로 하는 치료법이 비약적으로 발전한 것...  
2178 "이론적으로 인간 수명 한계 없다..현시대 최고 가능 연령 130세" 불씨 213 2021-10-04
"이론적으로 인간 수명 한계 없다..현시대 최고 가능 연령 130세" 송경은 입력 2021. 09. 30. 17:57 수정 2021. 09. 30. 20:42     캐나다·스위스 공동연구 결과   레오 벨질 캐나다 HEC 몬트레알 의사결정과학부 교수와 스위스 로잔연방공대 수학연구소 교수 ...  
2177 10월에 맛봐야 할 슈퍼푸드 7가지 불씨 142 2021-10-03
10월에 맛봐야 할 슈퍼푸드 7가지 권순일 입력 2021. 10. 02. 11:06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먹거리가 풍성한 10월이다. 각종 해산물과 과일, 채소 등이 제철을 맞는 시기다. 맛이 좋고, 영양소가 풍부한 제철음식을 먹고 가을 햇볕을 쬐면 건강 유지에 ...  
2176 노년기, 누워 지내지 않는 비결 3 불씨 121 2021-10-02
노년기, 누워 지내지 않는 비결 3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1. 10. 01. 17:19 수정 2021. 10. 01. 17:25     춤을 추면 일상생활 수행능력 장애가 생길 위험이 줄어든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나이가 들면 인지 능력, 체력 등이 떨어져 일상적인 동작(걷...  
2175 '말도 나도 살찌는 계절'..건강한 가을 보내는 법은? 불씨 165 2021-10-01
'말도 나도 살찌는 계절'..건강한 가을 보내는 법은? 이승구 입력 2021. 09. 30. 18:38     여름 내 잃었던 입맛 되 살아나..'확찐자'(?) 안되게 조심해야 사과·대하·배·버섯·고구마 등 '저칼로리·고영양' 제철음식 먹기 산책·등산·자전거 타기 등 선선해진 날...  
2174 차라리 안 먹는 게 나은 음식 5 [1] 불씨 135 2021-09-30
차라리 안 먹는 게 나은 음식 5 이용재 입력 2021. 09. 29. 16:01     [사진=게티이미지뱅크]득보다 실이 큰 음식이 있다. 안 먹는 게 오히려 이로운 음식들, 미국 건강 매체 '프리벤션'이 정리했다. ◆ 과일 통조림 = 제철에 먹는 복숭아보다 캔에 든 복숭아가...  
2173 걷기 운동 전후, 무엇을 언제 먹으면 좋을까? 불씨 185 2021-09-29
걷기 운동 전후, 무엇을 언제 먹으면 좋을까? 이보현 입력 2021. 09. 28. 14:01     [사진=게티이미지뱅크]걷기는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인 유산소 운동으로 꼽힌다. 걷기 운동의 효과를 높이려면 적절한 영양을 공급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걷기 운동 전후에 ...  
2172 운동으로 면역력 키우는 비법 불씨 150 2021-09-28
[더오래]운동으로 면역력 키우는 비법 박용환 입력 2021. 09. 06. 07:00     [더,오래] 박용환의 면역보감(108)   운동이 오히려 건강에 문제가 되기도 한다. 그 균형을 잡기 위해 건강한 운동에 대한 원칙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 [사진 pxhere] 환자 상담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