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건강과생활

우울증부터 치메까지, 당신의 몸속 세균이 하는 일

윤이경 기자   입력:2019년 4월 4일 13:45    

[사진=Lightspring/rsutterstock]

 

인간의 장 속에는 무려 400~500 종류의 세균이 살고 있다. 풍부한 영양과 적당한 온도가 항상 유지되기 때문에 세균이 살아가기엔 더할 나위 없이 좋은 환경이다. 머리카락 굵기의 120분의 1에서 12분의 1 정도로 미세한 크기지만 총수는 100조 마리가 넘고, 모두 합치면 무게가1~1.5kg에 달한다.

 

장내 세균은 장에 들어오는 음식물과 장의 분비액, 점액 등을 영양소로 활용해 수백 가지의 대사 물질을 만들어 낸다. 최근 각종 질환과의 연관성이 밝혀지면서 암을 비롯한 자가면역질환, 위장관, 당뇨, 비만 등을 비롯한 다양한 치료제 개발이 기대되고 있다.

 

미국의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은 지난 2016년 5월부터 2년간 1억2100만 달러, 우리 돈으로 약 1390억원에 달하는 연구비를 투입해 '국가 마이크로바이옴 이니셔티브(National Microbiome Initiative)'를 추진하기도 했다. 마이크로바이옴은 세균을 비롯한 인간 몸속 미생물 유전정보 전체를 뜻한다. 우리 정부도 올해 마이크로바이옴 등 바이오 신기술 육성을 위한 규제 전반을 검토하기로 밝히면서 치료제 개발이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유해균 vs 유익균

 

몸속 세균 중에는 건강을 해치는 나쁜 유해균도 존재하지만 몸에 이로운 유익균도 존재한다. 가장 수가 많은 것은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중간균이다. 유익균보다 유해균이 많을 때는 설사와 변비가 잦거나 방귀 냄새가 독하고, 속이 더부룩하고 복부가 부풀어 오르는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하지만 유해균을 모두 없앤다고 건강해지는 것은 아니다. 가장 이상적인 장내세균의 비율은 유익균 25%, 유해균 15%, 중간균 60%이다. 유익균의 주요 역할 중 하나가 유해균을 억제하는 것인데, 유해균이 없으면 유익균도 활발하게 활동할 필요가 없어진다.

 

치매 예방, 면역력 향상에 관여하는 유익균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장수하는 사람의 장에는 '락토바실러스', '락토코커스' 등의 장내세균이 보통 사람의 2~5배 발견된다고 한다. 일본 장수의료연구센터는 장내 환경이 치매와 매우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는 논문을 발표해 의료계의 주목을 받기도 했다.

 

치매 환자는 장내에 '박테로이데스'라는 세균이 적었고, 치매 증상이 없을 경우에는 많은 경향을 보였다는 것이다. 이 밖에도 유익균은 유해균 및 바이러스, 기생충과 같은 외부 침입자에 대항하고 면역세포에게 신호를 보내 제역할을 하게 한다.

 

정신적, 육체적으로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분비되는 코티솔, 아드레날린과 같은 호르몬을 억제하며 장내 세로토닌의 생성을 돕기도 한다. 세로토닌은 행복한 감정을 느끼게 해주는 신경전달물질로, 부족하면 우울증이 생기기 쉽다.

 

혈액순환과 혈압상승을 일으키는 유해균

 

유해균이 많은 사람의 장 속에 단백질이 들어오면 유해균이 이를 분해하면서 여러가지 독소와 노폐물을 발생시킨다. 특히 '인돌'과 '스카톨'은 혈액순환 기능을 떨어뜨리고, '페놀'과 '티라민'은 혈압을 상승시킨다. 유해균 중 '푸소박테리움'은 궤양성대장염을 유발한 뒤 염증 부위의 세포를 암세포로 변환시킨다고 알려졌다.

 

아무리 음식을 적게 먹어도 살이 찌는 사람들은 '피르미쿠트', '엔테로박터'가 그 원인일 수 있다. 일명 뚱보균으로 불리는 '피르미쿠트', '엔테로박터'는 섭취한 칼로리를 지방으로 전환시키는 작용을 한다.

 

 

유익균의 먹이는 탄수화물과 식이섬유, 유해균의 먹이는 단백질과 지방

 

 

유익균은 탄수화물과 식이섬유를, 유해균은 단백질과 지방을 먹이로 삼는다. 유익균을 증식시키려면 탄수화물과 식이섬유가 풍부한 곡물과 채소 등을 먹어야 한다. 반대로 육류 위주의 고단백·고지방식을 많이 하면 유해균이 늘어난다.

 

스트레스도 장내세균 비율에 영향을 미친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교감신경이 활성화되면서 스트레스호르몬인 부신피질호르몬이 많이 분비된다. 부신피질호르몬은 소화관 운동과 소화액 분비를 방해해 유해균이 증식하기 좋은 환경을 만든다.

 

윤이경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kormedi.com)

 

출처: https://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3&cid=992749&iid=1341864&oid=296&aid=0000040790&ptype=021

조회 수 :
190
등록일 :
2019.04.06
05:06:48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www.hfire.or.kr/17576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sort
929 [소소한 건강 상식] 주사 맞은 후, 문지를까 말까 불씨 1764 2018-04-05
[소소한 건강 상식] 주사 맞은 후, 문지를까 말까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소소한 건강 상식] 주사 맞은 후, 문지를까 말까   한희준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03.27 09:00   감기 때문에 병원에서 팔뚝에 주사를 맞으면, 간호사는 "1분 정도 문지르...  
928 장수 원한다면, 아보카도·견과류 같은 식물성 지방 먹어야 불씨 140 2018-04-05
장수 원한다면, 아보카도·견과류 같은 식물성 지방 먹어야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장수 원한다면, 아보카도·견과류 같은 식물성 지방 먹어야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이모인 헬스조선 인턴기자  입력 : 2018.03.26 15:43   장수하려면 아보카도·견과류...  
927 60세 이상서 걸음걸이 속도 느려졌다면, 치매 걸릴 확률 높다 불씨 331 2018-04-05
60세 이상서 걸음걸이 속도 느려졌다면, 치매 걸릴 확률 높다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60세 이상서 걸음걸이 속도 느려졌다면, 치매 걸릴 확률 높다   이모인 헬스조선 인턴기자  입력 : 2018.03.26 16:13   보행 속도가 느려지면, 치매에 걸릴 확률이 ...  
926 만성질환자 30% '약' 제때 복용 안해…"노년층, 부작용 위험 높다" 불씨 243 2018-04-04
만성질환자 30% '약' 제때 복용 안해…"노년층, 부작용 위험 높다"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만성질환자 30% '약' 제때 복용 안해…"노년층, 부작용 위험 높다"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美, 복약 순응도 낮아 사망하는 인구만 12만여명     만성질환자 대...  
925 [카드뉴스] 다리에 나는 쥐, 너의 정체를 밝혀라 불씨 269 2018-04-04
[카드뉴스] 다리에 나는 쥐, 너의 정체를 밝혀라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카드뉴스] 다리에 나는 쥐, 너의 정체를 밝혀라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 사진 셔터스톡   입력 : 2018.03.24 09:00 MEDICAL 카드 뉴스 다리에 나는 쥐, 너의 정체를 밝혀라...  
924 소음'이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 봤더니… 불씨 318 2018-04-04
'소음'이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 봤더니…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소음'이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 봤더니…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이모인 헬스조선 인턴기자  입력 : 2018.03.23 15:48     소음이 크고 노출되는 시간이 길수록 몸에 좋지 않은 영향을...  
923 늘 속이 더부룩한 이유, 원인은 '다리'에 있다? 불씨 458 2018-04-03
늘 속이 더부룩한 이유, 원인은 '다리'에 있다?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늘 속이 더부룩한 이유, 원인은 '다리'에 있다?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03.22 16:18   늘 속이 더부룩하고, 소화가 잘 안된다면 다리를 꼬고 앉은 건 아닌 지 점검...  
922 시간'으로 알아보는 우리 몸의 신비 불씨 159 2018-04-03
'시간'으로 알아보는 우리 몸의 신비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시간'으로 알아보는 우리 몸의 신비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이모인 헬스조선 인턴기자  입력 : 2018.03.21 16:11   우리 몸이 반응하고 변화하는 데 필요한 시간은 다양하다. /사진=헬스조...  
921 시력 빼앗고, 치료도 어려운 ‘녹내장’, 예방이 최선 불씨 130 2018-04-03
시력 빼앗고, 치료도 어려운 ‘녹내장’, 예방이 최선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시력 빼앗고, 치료도 어려운 ‘녹내장’, 예방이 최선   헬스조선 편집팀  입력 : 2018.03.21 09:00     녹내장은 중년층 이상에서 나타나는 안질환으로, 치료가 어려워 3대 실...  
920 국내 60세 이상 男 47.9%, 女 60.1% '단백질' 부족 불씨 162 2018-04-02
국내 60세 이상 男 47.9%, 女 60.1% '단백질' 부족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국내 60세 이상 男 47.9%, 女 60.1% '단백질' 부족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03.20 11:19     국내 노인의 절반 이상이 단백질을 부족하게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  
919 비 올 때, 계단 올라갈때 '시큰'…빨리 치료 할수록 통증 덜해 불씨 426 2018-04-02
비 올 때, 계단 올라갈때 '시큰'…빨리 치료 할수록 통증 덜해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비 올 때, 계단 올라갈때 '시큰'…빨리 치료 할수록 통증 덜해   김수진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03.19 18:16 스테로이드 주사는 부작용 많아 조심해야   퇴행성...  
918 노인 대상 영양지수 나왔다 불씨 229 2018-04-02
노인 대상 영양지수 나왔다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노인 대상 영양지수 나왔다   김수진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03.19 16:54     국내 노인 식생활을 점검할 수 있는 '노인 영양 지수'가 개발됐다. 단, 아직 손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는...  
917 관절 통증에 좋은 운동법 6 불씨 291 2018-04-01
관절 통증에 좋은 운동법 6 관절 통증에 좋은 운동법 6   입력 F 2018.03.31 10:14 수정 2018.03.31 10:14   몸 이쪽저쪽 관절이 아프면 운동하기가 쉽지 않다. 그렇다면, 관절염이 있는 사람은 운동을 쉬어야 할까. 전문가들은 "관절염 등 관절이 아프다고 해...  
916 암 원인, 조기 발견...체중 주목! 불씨 237 2018-04-01
암 원인, 조기 발견...체중 주목! 암 원인, 조기 발견...체중 주목!   입력 F 2018.03.31 10:04 수정 2018.03.31 10:04   평소 등산을 즐기던 A씨(46세)는 체중이 줄자 처음에는 운동 효과로 생각했다. 주말마다 험한 산 위주로 등반을 하니 신체 활동량이 많...  
915 숨이 가쁜 뜻밖의 이유 5 불씨 2792 2018-04-01
숨이 가쁜 뜻밖의 이유 5 숨이 가쁜 뜻밖의 이유 5   입력 F 2018.03.30 08:48 수정 2018.03.30 08:48     심하게 운동을 하지 않았는데도 숨이 차고 호흡이 가빠지는 증상이 나타난다면 심장이나 폐 건강에 이상이 있다는 징후일 수 있다. 그런데 심장이나 폐...  
914 이코노미 증후군 피하려면, 하반신 움직여야 불씨 146 2018-03-31
이코노미 증후군 피하려면, 하반신 움직여야 이코노미 증후군 피하려면, 하반신 움직여야   입력 F 2018.03.29 16:06 수정 2018.03.29 16:06     해외여행 등으로 오랫동안 비행기를 탈 경우 이코노미 증후군을 걱정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코노미 증후군은 정...  
913 자세 꺾이면 의지도 꺾인다 (연구) 불씨 117 2018-03-31
자세 꺾이면 의지도 꺾인다 (연구) 자세 꺾이면 의지도 꺾인다 (연구)   입력 F 2018.03.29 11:07 수정 2018.03.29 11:07     혹독한 추위를 지나 포근한 봄이 찾아왔지만, 계속되는 미세먼지와 황사로 실망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이럴 땐 몸의 자세를 바꿔보...  
912 한국인 100명 중 1명 '불면의 밤' 보내 불씨 107 2018-03-31
한국인 100명 중 1명 '불면의 밤' 보내 한국인 100명 중 1명 '불면의 밤' 보내   입력 F 2018.03.28 11:53 수정 2018.03.28 12:58     잠을 제대로 못 자는 사람이 최근 5년간 꾸준히 증가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불면증은 주 3회 이상 잠들기 어렵거나 중간에 ...  
911 어떤 상황에서도 2분 안에 잠드는 방법 불씨 340 2018-03-30
어떤 상황에서도 2분 안에 잠드는 방법 | Daum 뉴스 어떤 상황에서도 2분 안에 잠드는 방법 CBS노컷뉴스 김민수 기자 입력 2018.03.28. 07:12 수정 2018.03.28.      미 해군 조종사 스트레스 완화 연구..운동선수·일반인까지 활용 가능     인생의 3분의 1을 ...  
910 나이 들수록 ‘삼킴 장애’ 위험 증가 불씨 195 2018-03-30
나이 들수록 ‘삼킴 장애’ 위험 증가 나이 들수록 ‘삼킴 장애’ 위험 증가   입력 F 2018.03.28 11:17 수정 2018.03.28 11:17     음식을 먹는다는 것은 음식을 입에 넣고 씹어 삼킨다는 뜻이다. 여기 이상이 생기는 것, 즉 입에서 식도로 넘어가는 과정에 문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