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건강과생활

75세 고개 넘으면… 건강 관리법 완전히 새로 배워라

김진구 헬스조선기자  입력 2018.06.19 06:39

 

'고령인' 나이와 건강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일본에서는 최근 노인을 두 단계로 구분하려는 시도가 한창이다. 65~74세를 '준(準)고령인'이라 하고, 75세 이상을 '고령인'으로 하자는 내용이다. 한국에서도 비슷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전문가들은 일본과 마찬가지로 75세를 기준으로 제안한다. 일산백병원 가정의학과 양윤준 교수는 "사람마다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75세 이후로 신체 기능이 급격히 떨어지고, 80세부터는 앓는 질환이 갑자기 늘어난다"며 "75세 전후로 신체 상태와 건강 관리법이 확연히 다르다"고 말했다.

◇혈압·혈당 관리, 75세 이후 '느슨하게'

65~74세 노인은 혈압·혈당 목표를 중장년층과 비슷한 수준으로 강하게 잡는다. 체중 감량, 운동 역시 강도 높게 하도록 권장한다. 반면 75세 이상은 느슨하게 관리하도록 한다. 혈당 수치보다는 저혈당 등 부작용을 예방하는 것이 우선이다. 미국당뇨병학회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당화혈색소(3개월간 혈당 조절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 정상 6.5% 이하)를 ▲건강한 노인은 6.5~7.0% ▲쇠약한 노인은 8.5% 이하 ▲매우 쇠약한 노인은 9.0% 이하를 목표로 삼는다.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내과 임수 교수는 "집안일·목욕 같은 일상생활을 혼자서 무리 없이 한다면 건강한 노인, 누군가의 도움이 약간 필요하면 쇠약한 노인, 혼자서는 불가능하면 매우 쇠약한 노인으로 구분한다"며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떨어지기 시작하는 나이가 75세 전후"라고 말했다.

 

 

비교적 젊고 건강한 75세 미만 노인은 살을 빼고 과식을 피해야 하지만, 고령이면서 쇠약해진 75세 이상 노인은 고기 등 단백질을 되도록 많이 먹으면서 체중이 줄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비교적 젊고 건강한 75세 미만 노인은 살을 빼고 과식을 피해야 하지만, 고령이면서 쇠약해진 75세 이상 노인은 고기 등 단백질을 되도록 많이 먹으면서 체중이 줄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신지호 헬스조선 기자

 

 

고혈압도 비슷하다. 고령 환자의 적절한 목표 혈압에 대한 결론은 아직 확실히 나지 않았지만, 진료 현장에서는 나이가 많을수록 목표 혈압을 높게 정하고 있다. 65~74세는 140/90(㎜Hg)미만, 75세 이상은 150/90 또는 160/100 미만으로 관리하는 식이다. 서울시보라매병원 가정의학과 오범조 교수는 "고령 환자의 혈압을 너무 강하게 관리하면 저혈압 등 부작용으로 더 위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콜레스테롤, 나이 들어선 적절히 높게

이상지질혈증의 경우 고령일수록 되려 유병률이 낮다. 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보면 60~69세의 이상지질혈증 환자 비율은 전체의 37.6%지만, 70세 이상에선 23.9%다. 섭취하는 음식이 바뀌기 때문이다. 나이 들면 입맛이 바뀌고 치아가 나빠져 고기 등 기름진 음식을 꺼린다.

75세 이후로 콜레스테롤 수치가 떨어진다고 안심해선 안 된다. 오히려 75세 이후엔 콜레스테롤 수치를 적절히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콜레스테롤은 혈관 벽의 주요 재료다. 너무 줄어들면 혈관 벽이 약해져 뇌졸중·심근경색 위험이 높아진다. 또한 콜레스테롤은 호르몬의 주요 재료이기도 하다. 나이 들어 각종 호르몬의 분비량이 감소한 상태에서 콜레스테롤 섭취마저 줄어들면 신체 균형이 더 빠르게 무너진다.

◇나이 들수록 과체중일 때 치매 위험 낮아져


이러한 이유로 의사들은 75세 이후부터는 고기·과일 등을 충분히 먹으라고 권장하고 있다. 75세 미만은 체중이 적을수록, 75세 이상은 약간 과체중이어야 사망률이 낮다. 임수 교수는 "75세 이후의 과체중은 신체 기능 저하로부터 일종의 완충재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그는 "체질량지수(BMI) 기준 23~25가 적당하다"고 말했다.

체중이 치매에 미치는 영향도 75세를 전후로 확연히 다르다. 75세 미만에선 과체중·비만이, 75세 이후론 저체중이 치매 위험을 높인다. 영국 옥스퍼드대에서 노인 683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60~69세의 경우 비만일 때 치매 위험이 정상 체중보다 70% 높았지만, 70세 이상에선 오히려 3%, 80세 이상에서는 비만일 때 치매 위험이 22%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65~74세는 팔·어깨 부상, 75세 이상 다리·고관절 골절 주의

낙상(落傷)을 입더라도 65~74세는 손목·팔·어깨처럼 상체에 부상이 집중된다. 75세 이상은 다리·고관절 골절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를 보면, 지난해 어깨관절치환술을 받은 노인은 65~74세가 3만3121명, 75세 이상이 2만2621명이었다. 반면 고관절치환술은 65~74세가 5287명, 75세 이상이 1만3532명이었다. 양윤준 교수는 "75세 이상은 근육량이 더 적고 반응 속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넘어지면 손을 짚어 몸을 보호하지 못하고 엉덩방아를 찧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그는 "나이 들수록 골다공증이 더욱 심해져 같은 충격이라도 골절로 이어지는 경우가 더 많다"고 말했다.

대부분의 암은 75~80세에 발병률이 가장 높다. 그러나 75세 이전에 많이 발생하는 암도 있다. 여성의 유방암·갑상선암이다. 국립암센터 김열 암관리사업부장은 "이유는 모르지만 한국·일본 등 동아시아에선 40~60대 젊은 유방암 환자가 많다"고 말했다.

 

Copyright ⓒ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6/18/2018061803453.html
조회 수 :
201
등록일 :
2019.05.26
07:33:38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www.hfire.or.kr/17600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sort
1332 "나는 불행할까?" 행복 수치 높이는 법 5 불씨 168 2020-11-07
"나는 불행할까?" 행복 수치 높이는 법 5 문세영 입력 2020.11.03. 17:20 수정 2020.11.03. 17:31 댓글 2개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사진=Farknot_Architect/gettyigamesbank] "당신은 행복한...  
1331 심장 강화, 암 예방..유산소운동 잘하는 방법 불씨 180 2020-11-08
심장 강화, 암 예방..유산소운동 잘하는 방법 권순일 입력 2020.11.07. 13:15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사진=gbh007/gettyimagesbank] 걷기, 달리기, 자전거 타기 등 유산소 운동은 체중을 조...  
1330 찬바람에 뇌졸중도 같이 온다..알아둬야 할 '네 가지' 신호 불씨 123 2020-11-09
찬바람에 뇌졸중도 같이 온다..알아둬야 할 '네 가지' 신호 김잔디 입력 2020.11.08. 06:03 댓글 44개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얼굴·한쪽 팔 저리거나 처지고 말투 어눌해지면 바로 병원 찾아...  
1329 건강, 삶의 질 향상시키는 아침습관 4 불씨 125 2020-11-10
건강, 삶의 질 향상시키는 아침습관 4 권순일 입력 2020.11.08. 17:31 수정 2020.11.08. 17:34 댓글 4개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사진=eggeeggjiew/gettyimagesbank] 아침을 건강하게 시작하...  
1328 [오늘의 건강] 찬바람 부는 요즘, 면역력 지키려면? 불씨 110 2020-11-11
[오늘의 건강] 찬바람 부는 요즘, 면역력 지키려면? 문세영 입력 2020.11.10. 06:07 댓글 0개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사진=AleksandarGeorgiev/gettyimagesbank] 오전 기온은 영하 2도에서 ...  
1327 샤워할 때 저지르기 쉬운 실수 6가지 불씨 156 2020-11-12
샤워할 때 저지르기 쉬운 실수 6가지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0.11.10. 14:16 수정 2020.11.10. 14:20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샤워할 때 세수까지 같이하면 샤워기의 물줄기가 예민한 ...  
1326 무심코 반복하고 있지만..정신건강 해치는 습관 3 불씨 112 2020-11-13
무심코 반복하고 있지만..정신건강 해치는 습관 3 권순일 입력 2020.11.07. 15:06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사진=AnaBGD/gettyimagesbank] 일상생활에서 매일 반복되는 작고 사소한 행동들이 ...  
1325 기억 가물한 사람.. '꼭' 운동해야 하는 이유 불씨 120 2020-11-14
기억 가물한 사람.. '꼭' 운동해야 하는 이유 전혜영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0.11.13. 10:49 수정 2020.11.13. 10:52 댓글 34개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경도인지장애 환자가 운동을 규칙적으...  
1324 약 봉투에 '식후 30분'이 사라졌다 [서지혜 기자의 건강한 육아] 불씨 197 2020-11-15
약 봉투에 '식후 30분'이 사라졌다 [서지혜 기자의 건강한 육아] 서지혜 기자 입력 2020.11.14. 07:00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복약지도 '식후30분' → '식후즉시'로 변화 서울대 2017년 "복약시간 준수가...  
1323 "5년 뒤면 천만 노인시대인데 아직도 죽음 외면하고 준비 안해" 불씨 127 2020-11-16
"5년 뒤면 천만 노인시대인데 아직도 죽음 외면하고 준비 안해" 홍대선 입력 2020.11.15. 16:26 수정 2020.11.15. 16:56 댓글 237개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초고령 대한민국 신중년 시대 3부 고령화 정책...  
1322 노인의 안들리는 귀, 자연스러운 현상? 불씨 249 2020-11-17
노인의 안들리는 귀, 자연스러운 현상? 이병문 입력 2020.11.16. 11:39 댓글 0개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75세이상 난청 유병률 38~70%..인공와우 수술 적극 고려를 길병원 선우웅상 교수 "노인들의 청력은 삶의 질과...  
1321 찬바람 불면 준비하세요..가족 지킬 상비약 3가지 불씨 197 2020-11-18
찬바람 불면 준비하세요..가족 지킬 상비약 3가지 박상익 입력 2020.11.17. 15:32 수정 2020.11.18. 07:21 댓글 0개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1) 종합감기약, 콧물·기침 증상 조절 (2) 해열제, 진통 등 초...  
1320 내 엉덩이가 벌써? 빨라지는 히프 노화, 어떻게 막을까? 불씨 156 2020-11-19
내 엉덩이가 벌써? 빨라지는 히프 노화, 어떻게 막을까?   김용 입력 2020.11.18. 10:39 수정 2020.11.18. 10:59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앉아서 생활하는 시간이 늘면서 유난히...  
1319 도파민, 엔도르핀..'행복 호르몬' 솟구치는 법 4 불씨 193 2020-11-20
도파민, 엔도르핀..'행복 호르몬' 솟구치는 법 4 문세영 입력 2020.11.19. 13:05 댓글 0개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사진=yacobchuk/gettyimagesbank] 갓 지은 밥 냄새. 현재 방영 중인 한 TV드라마의 여...  
1318 상품구독 서비스에 신분증 보관까지… “카톡, 안되는게 뭐니?” 불씨 131 2020-11-21
상품구독 서비스에 신분증 보관까지… “카톡, 안되는게 뭐니?”  기사입력 2020.11.19. 오전 3:02 기사원문          카톡 10주년… 신규 서비스 추가 사용처 확장-비대면 영향력 강화 김치냉장고-정수기 등 렌털 시작, 연내 ‘카톡 지갑’… 실물 지갑 대체 기업 홍...  
1317 심혈관질환 피하면서..겨울 야외운동 잘하는 요령 불씨 115 2020-11-22
심혈관질환 피하면서..겨울 야외운동 잘하는 요령 권순일 입력 2020.11.21. 15:06 댓글 1개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사진=Voyagerix/gettyimagesbank] 날씨가 추워졌다. 이런 때에는 평소보다...  
1316 비타민D, 햇빛-음식으로 보충할 수 있다고? 불씨 148 2020-11-23
비타민D, 햇빛-음식으로 보충할 수 있다고? 에디터 입력 2020.11.21. 09:01 수정 2020.11.21. 11:54 댓글 4개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전의혁의 비타민D 이야기] ⑪비타민D 어떻게 보충하나?   많은 임상 ...  
1315 간 건강을 지키는 생활 습관 5 불씨 326 2020-11-24
간 건강을 지키는 생활 습관 5 이용재 입력 2020.11.23. 15:01 수정 2020.11.24. 08:39 댓글 0개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사진=magicmine/gettyimagebank] 간은 우리 몸에서 가장 크고 복잡한...  
1314 부부는 각방, 음식은? 수면장애 이기는 습관 9가지 불씨 132 2020-11-25
부부는 각방, 음식은? 수면장애 이기는 습관 9가지 김용 입력 2020.11.24. 10:48 댓글 0개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잠을 잘 이루지 못하거나 잠이 들어도 자주 깨는 생활이 오래 이...  
1313 빨라지는 혈관의 노화.. '젊은 혈관' 지키는 습관 8가지 불씨 142 2020-11-26
빨라지는 혈관의 노화.. '젊은 혈관' 지키는 습관 8가지  입력 2020.11.25. 10:59 수정 2020.11.25. 11:26 댓글 191개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노화를 걱정할 때 주름살 등 겉 피부...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