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건강과생활

친구 많아도 피상적 관계면 외로워 (연구)

문세영 입력 2019.06.25. 16:34

[사진=Antonio Guillem/shutterstock]

 

 

아는 사람이 많아도 관계가 얄팍하다면, 소수의 친한 친구를 둔 것보다 오히려 외로울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외로움은 부정적 감정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다. 외로움의 정도가 심하거나 만성화되면 신체적 혹은 정신적 질환의 위험률까지 높아지기 때문이다.

 

'사회정신과학과 정신의학역학(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에 실린 새로운 논문에 의하면 외로움은 몇 가지 하위 유형을 가지고 있는데, 이 중 특히 정신 건강과 밀접한 연관을 보이는 유형이 있다.

 

아일랜드 트리니티 대학교 연구팀은 일생에 한 번 이상 트라우마가 될 법한 경험을 한 18~70세 사이 영국 성인 1839명을 대상으로 이번 연구를 진행했다. 대부분의 실험참가자들은 결혼을 했거나 동거 상태에 있었다.

 

실험참가자들은 연구팀이 준비한 테스트를 통해 '사회적 고독'과 '감정적 고독'에 대한 점수를 평가받았다. 사회적 고독은 사회적 관계에 대한 양적 평가이고, 감정적 고독은 사회적 관계에 대한 질적 평가다. 좀 더 쉽게 말하면 사회적 고독은 친구의 수가 얼마나 되는지, 감정적 고독은 친구와 얼마나 가까운지를 평가한 조사라고 생각하면 된다. 실험참가자들은 인생에서 경험한 트라우마, 우울감, 불안감, 정신적 웰빙 상태 등을 평가하는 설문 조사에도 응했다.

 

실험 결과, 실험참가자의 17.1%가 외로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통계 기술을 이용해 외로움의 유형들을 분류한 뒤 그 차이점도 분석했다.

 

첫 번째 유형은 '낮은 수준의 외로움'으로, 이에 속한 사람들은 사회적 고독과 감정적 고독의 점수가 둘 다 낮았고, 실험참가자의 과반수가 이에 속했다.

두 번째 유형은 '사회적 외로움'으로 8.2%가 이에 속했는데, 이들은 사회적 고독의 점수는 높았지만 감정적 고독의 점수는 낮았다.

세 번째 유형은 '감정적 외로움'으로, 25%가 사회적 고독의 점수는 낮았지만 감정적 고독의 점수는 높은 이 집단에 속했다. '사회적·감정적 외로움'에 속한 사람들은 전체의 12.4%로, 두 가지 고독에 대한 점수가 모두 높았다.

 

외로움의 유형별로 고독한 정도에 차이를 보였다는 것이다. 낮은 수준의 외로움에 속한 사람들이 가장 덜 고독한 유형에 속했고, 사회적 외로움, 감정적 외로움, 사회적·감정적 외로움의 집단 순으로 외로움을 느끼는 정도가 커졌다. 특히 감정적 외로움과 사회적·감정적 외로움에 속한 사람들은 우울감, 불안감 등의 수치가 정신질환에 준하는 수준을 보였다.

 

즉 사회적 관계에 있어 양적인 면보다는 질적인 면이 정신 건강과 더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다는 의미다. 사회적 고독과 감정적 고독 수치가 둘 다 높은 집단이 전반적으로 정신 건강 상태가 가장 나빴지만, 양적인 부분과 질적인 부분만 따로 놓고 본다면 수적으로 친구가 많은 것보다는 소수라도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사람들이 더 좋은 정신 상태를 보인다는 설명이다.

 

최근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친구를 양적으로 늘려나가는 사람들이 많은데, 친구의 수만 늘리는 것은 정신 건강에 크게 긍정적인 기여를 하기 어렵다는 선행 연구들이 있다. 이번 연구는 이와 맥락을 같이 한다. 사회적 네트워크를 형성할 때 아는 사람 늘리기에 집착하는 것은 정신적 고통을 줄이는데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을 인지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정신적 고통의 부담을 덜고 싶다면 소수라도 관계의 질을 높이는데 집중하는 것이 좋다.

 

문세영 기자 (pomy80@kormedi.com)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출처: https://news.v.daum.net/v/20190625163414562

조회 수 :
237
등록일 :
2019.06.26
08:03:39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www.hfire.or.kr/17617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sort
591 눈 시력 퇴화 막는 법 5 불씨 216 2017-11-27
눈 시력 퇴화 막는 법 5 눈 시력 퇴화 막는 법 5   입력 F 2017.11.26 11:00 수정 2017.11.26 11:00   시력은 노력하면 보호할 수 있다. 실제로 많은 연구에 따르면, 생활습관이나 식습관을 조금만 바꿔도 노화에 따르는 3가지 흔한 질병인 녹내장, 백내장, 황...  
590 발이 말하는 건강 상태 7가지 불씨 129 2017-11-27
발이 말하는 건강 상태 7가지 발이 말하는 건강 상태 7가지   입력 F 2017.11.26 15:05 수정 2017.11.26 15:05   발은 '제2의 심장'으로 불린다. 우리 몸의 균형을 잡아주고 추진력을 내 몸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런 발이 건강해야 우리 몸도 ...  
589 입술에 침 바르기·냅킨 깔기…건강에 '毒'되는 5가지 습관 불씨 306 2017-11-25
입술에 침 바르기·냅킨 깔기…건강에 '毒'되는 5가지 습관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입술에 침 바르기·냅킨 깔기…건강에 '毒'되는 5가지 습관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임다은 헬스조선 인턴기자 입력 : 2017.11.24 06:47   관절 닳고, 세균 감염 쉬워져 ...  
588 미니 뇌졸중, 잠깐 왔을 때 알아채야 '사망' 막는다 불씨 105 2017-11-25
미니 뇌졸중, 잠깐 왔을 때 알아채야 '사망' 막는다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미니 뇌졸중, 잠깐 왔을 때 알아채야 '사망' 막는다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임다은 헬스조선 인턴기자 입력 : 2017.11.23 14:57     일과성뇌허혈발작은 뇌졸중으로 이어질...  
587 코 막고 커피마시기'가 뇌를 젊게 만드는 이유 알고보니… 불씨 141 2017-11-25
'코 막고 커피마시기'가 뇌를 젊게 만드는 이유 알고보니…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코 막고 커피마시기'가 뇌를 젊게 만드는 이유 알고보니…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7.11.24 17:30 뇌세포를 활발하게 만드는 방법   뇌는 생활 속에서 쉽게...  
586 잠 못드는 노인이 먹었던 수면제, 치매 유발 신호탄됐다 불씨 591 2017-11-24
잠 못드는 노인이 먹었던 수면제, 치매 유발 신호탄됐다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잠 못드는 노인이 먹었던 수면제, 치매 유발 신호탄됐다   김진구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7.11.23 10:10 | 수정 : 2017.11.23 17:56     수면유도제에 쓰이는 벤조다이...  
585 꽁꽁 언 허리, '관절 온도'를 높여야 하는 까닭 불씨 135 2017-11-24
꽁꽁 언 허리, '관절 온도'를 높여야 하는 까닭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꽁꽁 언 허리, '관절 온도'를 높여야 하는 까닭   이기상 헬스조선 기자 임다은 헬스조선 인턴기자 입력 : 2017.11.23 10:35     추운 날씨에는 허리 통증이 심해질 수 있어 보온...  
584 앉는 자세만 바꿔도 뱃살이 쏙 빠지는 '드로인 운동' 불씨 429 2017-11-24
앉는 자세만 바꿔도 뱃살이 쏙 빠지는 '드로인 운동'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앉는 자세만 바꿔도 뱃살이 쏙 빠지는 '드로인 운동'   헬스조선 편집팀 입력 : 2017.11.23 10:57   드로인 운동은 앉는 자세를 바꿔서 뱃살을 빼주는 운동법이다. 사진-조선...  
583 어깨·허리 아파서 붙인 파스, 몇시간 후에 떼어야 할까? 불씨 380 2017-11-23
어깨·허리 아파서 붙인 파스, 몇시간 후에 떼어야 할까?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어깨·허리 아파서 붙인 파스, 몇시간 후에 떼어야 할까?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7.11.22 11:21     파스는 12시간이 지나면 떼내는 게 좋다. 사진=헬스조선DB ...  
582 비타민 D 얻는 7가지 방법 불씨 111 2017-11-23
비타민 D 얻는 7가지 방법 비타민 D 얻는 7가지 방법   입력 F 2017.11.22 08:32 수정 2017.11.22 08:32   비타민 D는 건강을 지키고 각종 질환을 예방하는 데 꼭 필요한 영양소다. 최근에는 비타민 D가 류머티스 관절염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  
581 혈액 잘 돌게 하는 방법 5 불씨 118 2017-11-23
혈액 잘 돌게 하는 방법 5 혈액 잘 돌게 하는 방법 5   입력 F 2017.11.23 07:07 수정 2017.11.23 07:07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못하면 심혈관계 질환부터 당뇨병에 이르기까지 여러 질병에 걸리기 쉽다. 이와 함께 손발 저림과 오한이 발생하기도 한다. 병원...  
580 [오늘의 운동] 근육 감소 막는 '뒤꿈치 들기' 불씨 541 2017-11-22
[오늘의 운동] 근육 감소 막는 '뒤꿈치 들기' | Daum 뉴스 [오늘의 운동] 근육 감소 막는 '뒤꿈치 들기'   헬스조선 편집팀 입력 2017.09.11. 07:00댓글 1개자동요약   헬스조선이 추천하는 오늘의 운동은 근육 감소를 막는 '뒤꿈치 들기'입니다. 세계노화방지...  
579 뻑뻑한 눈 '안구건조증' 예방과 치료 방법 불씨 257 2017-11-22
뻑뻑한 눈 '안구건조증' 예방과 치료 방법 | Daum 뉴스 뻑뻑한 눈 '안구건조증' 예방과 치료 방법   신정윤 입력 2017.09.12. 16:41댓글 1개SNS 공유하기 현대인들의 모바일기기와 컴퓨터 등의 사용이 늘어나면서 안구건조증 유병률도 늘고 있다. 안구건조증은...  
578 면역까지 강화? 키스가 유익한 5가지 이유 불씨 159 2017-11-22
면역까지 강화? 키스가 유익한 5가지 이유 면역까지 강화? 키스가 유익한 5가지 이유   입력 F 2016.01.18 10:42 수정 2016.01.18 10:42     삼포세대를 넘어 오포세대, 칠포세대라는 용어까지 등장하면서 연애를 단념하는 젊은이들이 늘고 있다. 반면에 결혼...  
577 학습력 높이려면 마그네슘 섭취 늘려라 불씨 86 2017-11-21
학습력 높이려면 마그네슘 섭취 늘려라 학습력 높이려면 마그네슘 섭취 늘려라   입력 F 2017.11.21 17:09 수정 2017.11.21 17:09     학습능력을 높이려면 뇌기능을 증진시키는 영양소를 섭취하는 게 한 가지 방법이다. 이와 관련해 마그네슘을 충분히 섭취하...  
576 운동 전후, 똑똑하게 음식 먹는 법 불씨 276 2017-11-21
운동 전후, 똑똑하게 음식 먹는 법 운동 전후, 똑똑하게 음식 먹는 법   입력 F 2017.11.19 11:50 수정 2017.11.19 11:50   운동을 할 땐 단백질을 꼭 먹어야 한다는 막연한 상식, 하지만 막상 먹으려고 하면 운동 전에 먹어야 할지, 끝나고 먹어야 할지, 구체...  
575 컴퓨터로 뇌 훈련하면 치매 위험 '뚝'↓ 불씨 180 2017-11-21
컴퓨터로 뇌 훈련하면 치매 위험 '뚝'↓ 컴퓨터로 뇌 훈련하면 치매 위험 '뚝'↓   입력 F 2017.11.20 09:34 수정 2017.11.20 09:34     컴퓨터로 뇌 훈련을 받으면 치매 발병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사우스플로리다 대학교 정신...  
574 빨리 닳을라, '인체 장기'도 좀 쉬게 해주자 불씨 121 2017-11-20
빨리 닳을라, '인체 장기'도 좀 쉬게 해주자 | Daum 뉴스 빨리 닳을라, '인체 장기'도 좀 쉬게 해주자   김선희 입력 2017.09.12. 17:06댓글 16개자동요약   인체 장기가 쉰다는 것은 곧 죽음을 의미하는 게 아니냐고 반문할지 모르겠다. 하지만, 남들보다 열...  
573 땀 흘리며 운동하면 노화 늦출 수 있다 불씨 248 2017-11-20
땀 흘리며 운동하면 노화 늦출 수 있다 땀 흘리며 운동하면 노화 늦출 수 있다 텔로미어, 스트레스원인 짧아지는 속도 늦춰 입력 F 2010.05.28 09:37 수정 2010.05.28 09:41   일주일에 75분을 정기적으로 투자해 땀 흘려 운동하면 스트레스 때문에 속도가 높...  
572 [노벨상 그래픽] 텔로미어 ABC 불씨 151 2017-11-20
[노벨상 그래픽] 텔로미어 ABC [노벨상 그래픽] 텔로미어 ABC 노벨생리의학상 그래픽해설 입력 F 2009.10.05 22:41 수정 2009.10.06 09:35   올해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들은 노화와 암이라는, 인류의 숙제를 풀 수 있는 유전학적 실마리를 제공했다. 그들은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