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건강과생활

"허리 질환, 무리한 근육 강화보다 '바른 자세'가 낫다"

김상훈 기자 입력 2019.08.17. 03:01

 

[베스트 닥터의 베스트 건강법]
<11> 정선근 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 교수

 

 

정선근 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 교수는 허리 질환이 있을 때 운동보다는 자세를 바로 하는 것이 치료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또 근력 운동에 대해서는 중년 이후에 오히려 제대로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재명 기자 base@donga.com

 

 

어깨가 떡 벌어졌다. 팔뚝이 웬만한 중년 남성의 허벅지만큼 굵다. 거인을 마주한 느낌이랄까. 정선근 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 교수(55)의 첫인상은 강렬했다.
 

정 교수는 대학 시절 역도부에서 몸을 만들기 시작했다. 고된 근력 운동을 그는 즐겼다. 근육이 불어나는 재미가 쏠쏠했다. 정 교수는 요즘도 틈틈이 턱걸이와 팔굽혀펴기, 스쾃을 한다. 유산소 운동도 잊지 않는다. 전철역 3, 4정거장 정도는 걸어가서 지하철을 탄다.

 

정 교수는 척추 분야에서 꽤 유명한 교수다. 환자가 너무 많아 그에게 처음 진료를 받으려면 1년 이상 기다려야 할 정도다. 하지만 정 교수도 허리 디스크로 오랜 시간을 고생했다. 무리한 근육 운동이 화근이었다.

 

○ “능력 과신하면 다친다”

 

1990년대 후반, 정 교수에게는 꿈이 있었다. 근육질 농구 선수처럼 덩크슛을 해 보는 것이었다. 당시 미국에서 온 동료 교수가 “당신 키로는 힘들 걸”이라고 했다. 정 교수의 키는 179cm다.

 

힘을 키우기 위해 열심히 운동했다. 헬스클럽에서 처음에는 80kg, 나중에는 140kg의 무게를 진 채로 스쾃을 했다. 집에서도 근력 운동을 했다. 어느 날부터 양쪽 발이 당기는 느낌이 들었다. 권 교수는 ‘몸에 힘이 붙는구나. 덩크슛이 가능하겠어’라고 생각했다.

 

며칠 후 걸을 때 살짝 절룩거렸다. 허리도 조금 아팠다. 스트레칭을 더 늘리고 허리 강화 운동도 했다. 하지만 허리 통증은 더 심해졌다. 그땐 몰랐다. 그게 잘못된 운동의 후유증이었다는 사실을.

 

통증은 더 심해졌다. 2005년부터는 비명을 지를 정도로 허리가 아팠다. 그제야 능력을 과신하면 다치고, 심각한 운동의 부작용이 꽤 크다는 것을 깨달았다. 동료 교수들과도 치료법을 상의했다. 미국의 유명한 교수가 쓴 책도 분석했다. 2011년에는 실제로 미국으로 건너가 그 교수를 만나 치료법을 논의했다.

 

이런 과정을 거치면서 정 교수는 해법을 찾았다. 수술하지도 않았고, 허리 근력을 키우기 위해 힘든 운동도 하지 않았다. 그런데도 허리 통증이 거의 사라졌다. 이제는 환자에게도 그 해법을 권한다. 그 해법을 ‘백년허리’(사이언스북스)라는 책으로 내기도 했다. 그게 무엇일까.

 

○ 허리 건강, 새 해법을 제시하다

 

“허리 근육을 강화하면 허리 통증이 사라질 거라고 생각하는데, 틀렸습니다. 허리 운동이 오히려 해로울 수도 있습니다.”

 

정 교수가 허리와 목 디스크 환자에게 하는 말이다. 디스크 환자에게 운동을 권하는 여느 처방법과 다르다. 정 교수는 “20, 30대라면 운동 치료가 효과를 볼 수도 있지만 이미 병이 진행됐거나 허리가 좋지 않은 중년 이후에는 운동 치료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정 교수는 질병의 근본 원인부터 파악해야 한다고 했다. 허리 질환은 대체로 여러 원인이 작용해 생기는 디스크의 구조적 손상이 원인이다. 이것부터 해결해야만 고칠 수 있다. 정 교수는 “팔뼈가 부러지면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한다. 그렇게 하면 여러 생물학적인 작용으로 내부에서 뼈가 재생되는데, 허리 디스크 치료도 원리는 같다”고 말했다. 쉽게 말해 허리를 고정하는 것이 운동하는 것보다 낫다는 얘기다.

 

어떻게 하면 될까. 정 교수는 허리를 곧게 펴고 목은 살짝 든 자세를 유지하라고 했다. 환자의 체질이나 상태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은 이렇게 하면 디스크가 고정돼 저절로 치료된다. 정 교수는 “가급적 긴 시간을 이 자세로 유지해 주는 게 좋다”고 덧붙였다.

 

허리를 곧게 펼 때 뻐근한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런 통증은 재생의 신호라고 정 교수는 설명했다. 이런 훈련을 반복하면 처음에는 허리가 뻣뻣한 느낌이 든다. 심지어 몸을 앞으로 굽혀 양말을 신는 게 어려운 사람도 있다. 이에 대해 정 교수는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허리가 부드러워진다.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좋다”고 말했다.

 

허리 건강에 좋은 운동으로는 걷기와 달리기를 추천했다. 정 교수는 “미국 뉴욕에서 실험을 한 결과 평소 자주 걷고 달린 사람의 허리 디스크가 훨씬 두껍고 탄력성이 좋았다”고 말했다. 뛰거나 걸으면 디스크에 반복적으로 충격을 주고, 이 과정에서 디스크 속의 세포가 활성화돼 재생 기능을 돕는다는 설명이다. 다만 운동 강도를 강하게 하면 반복적인 강한 충격이 디스크를 더 찌그러뜨리거나 찢을 수 있으니, 통증이 심하면 중단할 것을 권했다.

 

○ 중년 근육 운동, 제대로 하라

 

정 교수는 스트레칭만으로는 적절한 운동량을 채울 수 없다고 했다. 우리 몸의 장기를 강하게 하려면 유산소 운동과 근육 운동을 적절히 배합해야 한다. 유산소 운동만 열심히 하면 된다는 생각은 틀렸다고 정 교수는 지적했다.

 

중년 이후에 근육 운동이 꼭 필요할까. 정 교수는 특히 남성들은 꼭 근육 운동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단 30분 정도 근육 운동을 해 주면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 분비량이 늘어난다는 것. 정 교수는 “운동을 멈추면 호르몬 수치가 다시 떨어진다. 하지만 11주 정도 지속하면 호르몬 수치가 늘어난 상태를 유지한다”고 말했다.

 

근력 운동을 하면 근육에서 ‘마이오카인’이란 단백질도 분비된다. 이 단백질은 뇌와 장기 기능을 활성화시킨다. 정 교수는 이 밖에도 근육 운동을 적절히 하면 발기부전을 예방하고 뼈를 튼튼하게 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고 했다. 더불어 몸이 탄탄해지면서 자신감도 생긴다. 등이 구부러지는 등의 잘못된 자세도 바로잡을 수 있다.

 

장점도 많지만 근육 운동은 고통스럽다. 일반적으로 최대 근력의 70% 정도는 들어야 근육 강화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정 교수는 이런 식의 운동에 반대한다. 정 교수는 지난해 미국에서 시행된 연구 결과를 근거로 제시했다. “최대 근력의 40%만 들더라도 횟수를 늘리고 운동 시간을 늘리면 근육이 커집니다.” 쉽게 말해 80kg짜리를 이 악물고 3회 드는 것보다 30kg짜리를 20회 드는 게 힘도 덜 들고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고혈압 환자나 관절염 환자는 주의해야 한다. 무거운 것을 들어올릴 때 혈압이 높아지고 무릎 관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정 교수는 “이런 경우에도 적절히 운동하면 건강 증진 효과를 본다. 무조건 안 할 게 아니라 의사와 상의해 운동 방법을 정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 사무실에서도 가능해요, 쉽게 하는 5가지 근력운동 ▼

의자 앉아 다리 벌리기 반복… 발뒤꿈치 들기도 저혈압 예방

 

 

왼쪽부터 [1]스쾃, [5]턱걸이

 

《나이가 들수록 근력 운동은 필요하다. 젊었을 때보다 근육이 손실되는 속도가 빠르기 때문이다. 근력을 잃지 않으면 일상생활에서의 사고 위험도 줄일 수 있다. 근력 운동은 헬스클럽에서만 할 수 있는 게 아니다. 집 또는 사무실에서 언제든지 할 수 있다는 게 정선근 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 교수의 설명이다. 정 교수가 추천하는, ‘누구나 쉽게 따라할 수 있는 근력 운동’ 5가지를 소개한다. 》
 

[1] 스쾃

 

가장 쉽게 할 수 있는 운동이다. 유산소 운동이면서 전신 운동이다. 엉덩이 근육을 강화하는 데 좋다. 다만 제대로 해야 한다. 횟수를 늘리려고 무리하게 하다가 허리를 다칠 수 있다. 허리가 굽은 상태로 앉으면 엉덩이가 튀어나오는데, 이를 ‘엉덩이 윙크’라고 한다. 이런 동작을 반복하면 발목이나 무릎에도 무리가 간다. 정 교수는 “너무 많이 앉으려 하지 말고 살짝 앉는 느낌 정도면 충분하다”고 조언했다.

 

[2] 앉아서 다리 벌리기

 

사무실에서 쉽게 따라할 수 있다. 의자에 앉은 채로 상체를 세운다. 가슴은 최대한 펴는 게 좋다. 그 다음에는 호흡을 하면서 다리를 벌리고 오므리기를 반복한다. 이 운동 또한 엉덩이 근육을 강하게 해준다. 저항성 고무 밴드(세라밴드)를 이용해 운동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시작하기 전에 양다리를 밴드로 묶은 뒤 힘을 주며 다리를 벌리면 된다. 정 교수는 “너무 힘을 줄 경우 허리에 무리가 갈 수 있다”고 말했다.

 

[3] 서서 뒤꿈치 들기

 

벽에 두 손을 지탱하거나 의자를 잡고 선다. 이어 발뒤꿈치를 들어 올린다. 단, 본인 능력의 80%만 올리는 게 좋다. 최대한 뒤꿈치를 올리면 무릎에 무리가 갈 수 있다. 운동을 마무리하며 숨을 고를 때 해도 좋은 동작이다. 50∼100회 정도가 좋다. 전체적으로 종아리 근육을 강화하고 기립성저혈압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준다. 한쪽 다리로 서서 발뒤꿈치를 높인 후 양다리를 번갈아 하면 운동 강도를 높일 수 있다.

 

[4] 변형된 팔굽혀펴기

 

팔굽혀펴기는 누구나 아는 동작이다. 추가 동작을 통해 운동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이 정 교수의 설명이다. 팔을 굽힐 때까지는 기존 동작과 같다. 다만 상체를 들어 올릴 때 추가 동작이 필요하다. 팔을 모두 편 상태에서 어깨에 힘을 줘 상체를 한 번 더 끌어올리는 것. 이렇게 하면 가슴 근육 운동이 되는 동시에 어깨뼈도 튼튼해진다. 정 교수는 “가슴 근육을 키우려 하지 말고 살짝 힘들다고 느껴질 때 운동을 끝내는 게 좋다”고 말했다.

 

[5] 턱걸이

 

5개 종목 중에서는 가장 난도가 높다. 상체 근력이 약한 사람은 특히 어려운 종목이다. 일단 장비가 필요하다. 정 교수는 “문에 설치하는 턱걸이 철봉은 인터넷에서 1만∼2만 원에 구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근력이 약하다면 의자를 갖다놓고 한쪽 발을 그 위에 얹어서 하면 한결 쉬워진다. 일반적으로 상체를 끌어올릴 때 하체는 몸의 앞쪽에 둔다. 다만 허리가 아픈 사람은 이때 하체를 몸의 뒤쪽에 두는 게 좋다.

 

김상훈 기자 corekim@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출처: https://news.v.daum.net/v/20190817030107952

조회 수 :
420
등록일 :
2019.08.19
10:27:20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www.hfire.or.kr/17647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sort 날짜
1429 플라스틱병 생수만 마셨더니.. <연구> 불씨 156 2019-06-09
플라스틱병 생수만 마셨더니.. <연구> 홍예지 입력 2019.06.08. 14:37     미세플라스틱 조각 9만개 추가로 삼켜 [사진=픽사베이] /사진=fnDB   플라스틱병에 든 물을 마시면 수돗물을 마실 때보다 미세플라스틱 조각(particle)을 배 이상 더 흡수하게 된다는 ...  
1428 프로바이오틱스, 잘 먹는 법 불씨 156 2019-11-23
프로바이오틱스, 잘 먹는 법 이용재 입력 2019.11.22. 15:04       [사진=newannyart/gethyimagebank]     몸에 이로운 유익균, 프로바이오틱스가 유행이다.   프로바이오틱스는 소화기 내 몸에 좋은 박테리아를 늘려 유해균을 억제하고, 배변 활동에 도움을 ...  
1427 샤워할 때 저지르기 쉬운 실수 6가지 불씨 156 2020-11-12
샤워할 때 저지르기 쉬운 실수 6가지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0.11.10. 14:16 수정 2020.11.10. 14:20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샤워할 때 세수까지 같이하면 샤워기의 물줄기가 예민한 ...  
1426 내 엉덩이가 벌써? 빨라지는 히프 노화, 어떻게 막을까? 불씨 156 2020-11-19
내 엉덩이가 벌써? 빨라지는 히프 노화, 어떻게 막을까?   김용 입력 2020.11.18. 10:39 수정 2020.11.18. 10:59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앉아서 생활하는 시간이 늘면서 유난히...  
1425 환절기, 면역력 '뚝' 떨어졌다는 신호는? 불씨 156 2021-09-26
환절기, 면역력 '뚝' 떨어졌다는 신호는? 이슬비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1. 09. 23. 18:35       배탈이 자주 나거나, 감기 증상이 나타나거나, 염증 질환이 나타난다면 면역력이 떨어진 것일 수 있어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일교차가 ...  
1424 '빨리 늙게' 하는 일상 속 생활습관 7가지 불씨 156 2021-11-17
'빨리 늙게' 하는 일상 속 생활습관 7가지 김용 입력 2021. 11. 12. 09:01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노화는 인간의 숙명이다. 늙는 것을 막을 수는 없지만 늦출 수는 있다. 일상생활 속 습관이 매우 중요하다. 술, 담배를 즐기고 스트레스, 과식이 이어지면 ...  
1423 감염병에 맞설 면역력 키우려면 불씨 156 2022-11-28
감염병에 맞설 면역력 키우려면 에디터입력 2022. 11. 25. 14:01         [메디체크의 헬스UP] 면역력이란 외부에서 들어오는 바이러스, 세균 등 우리 몸에 유해한 병원균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고 방어하는 시스템이다. [사진= 게티이미지뱅크]과거 병원균...  
1422 새해 결심, 뇌와 신경에 각인시키는 법 불씨 156 2023-01-02
새해 결심, 뇌와 신경에 각인시키는 법 이슬비 기자입력 2022. 12. 31. 23:00     단기 목표는 계속 되뇌어야 하고, 장기 목표는 잠시 잊는 시간을 둬야 한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곧 2023년 계묘년 첫해가 떠오른다. 새로운 마음으로 한 해를 시작하려는 사...  
1421 내 뇌는 어느 속도로 늙어가고 있을까? 불씨 156 2023-03-17
내 뇌는 어느 속도로 늙어가고 있을까? 정희은입력 2023. 3. 16. 09:31       뇌 나이는 건강, 라이프스타일, 성격 등에 따라 스스로 인지하는 것보다 훨씬 젊을 수도, 훨씬 나이가 많을 수도 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우리 뇌의 노화 속도는 실제 나이와 ...  
1420 림프액 순환이 중요한 이유…잘 돌게 하려면? 불씨 156 2023-07-14
림프액 순환이 중요한 이유…잘 돌게 하려면? 이요세입력 2023. 7. 11. 16:31       림프액 순환에 제일 중요한 것이 심호흡이다. 림프액은 거의 호흡으로 순환하는 것인데, 얕거나 보통 호흡보다 심호흡을 할 때 더 잘 돌아간다. [사진= 게티이미지뱅크]혈액은...  
1419 [Science &] 시각·청각은 과학으로 극복하는 중..그럼 촉각은? 불씨 157 2017-03-26
[Science &] 시각·청각은 과학으로 극복하는 중..그럼 촉각은? | Daum 뉴스 [Science &] 시각·청각은 과학으로 극복하는 중..그럼 촉각은? 서진우 입력 2017.03.24 15:48 수정 2017.03.24 17:08 댓글 3개SNS 공유하기   피부느낌 완벽구현, 아직은 미...  
1418 임플란트, 보철, 치아교정의 모든 가능성을 고려한 효과적 치과 치료 불씨 157 2017-03-29
임플란트? 자연치아 보존을 위한 노력이 선행되어야 [임플란트, 보철, 치아교정의 모든 가능성을 고려한 효과적 치과 치료]| Daum라이프 임플란트? 자연치아 보존을 위한 노력이 선행되어야 [임플란트, 보철, 치아교정의 모든 가능성을 고려한 효과적 치과 치...  
1417 일상에서 암을 유발하는 원인 5가지 불씨 157 2017-05-01
일상에서 암을 유발하는 원인 5가지| Daum라이프 일상에서 암을 유발하는 원인 5가지 코메디닷컴 | 권순일 | 입력 2017.04.30 11:14       담배를 끊고 자외선 과다 노출을 피하는 것은 분명히 암 위험을 줄일 수 있는 방법들이다. 하지만 암이라는 치명적인 ...  
1416 "늙어서 머리가 나빠졌다"란 말은 핑계 (연구) 불씨 157 2017-06-18
"늙어서 머리가 나빠졌다"란 말은 핑계 (연구) | Daum 뉴스 "늙어서 머리가 나빠졌다"란 말은 핑계 (연구) 문세영 입력 2017.06.16. 11:14 댓글 363개자동        젊은 사람이 영리한 행동을 하면 '어려서 머리가 잘 돌아간다'고 한다. 반면 나이든 사람이 아...  
1415 "호르몬 관리만 잘해도 장수할 수 있습니다" 불씨 157 2017-06-22
"호르몬 관리만 잘해도 장수할 수 있습니다"| Daum라이프 "호르몬 관리만 잘해도 장수할 수 있습니다" 강남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안철우 교수 특강 헬스조선·함께하는 36.5 주최 '헬스조선 건강대학원' 다섯 번째 강의 진행헬스조선 |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1414 속 쓰림 증상 차단하는 방법 4 불씨 157 2017-08-25
속 쓰림 증상 차단하는 방법 4| Daum라이프 속 쓰림 증상 차단하는 방법 4 코메디닷컴 | 권순일 | 입력 2017.08.24 14:23       속 쓰림은 음식물이나 위산이 거꾸로 이동해 식도가 불타는 듯 작열감이 일어나는 증상이다. 증상이 심해지면 입 냄새가 나고, 더...  
1413 노인들도 운동하면 뇌혈관은 청춘 불씨 157 2017-10-28
노인들도 운동하면 뇌혈관은 청춘 노인들도 운동하면 뇌혈관은 청춘   입력 F 2017.01.17 09:26 수정 2017.01.17 09:29     노화가 진행될수록 뇌혈관은 자연히 좁아지고 길이가 늘어나면서 구불구불해진다. 이렇게 되면 뇌졸중, 치매 등을 비롯해 각종 질환이...  
1412 나이 들어도 친구 자주 만나야 뇌 신경망 보존 불씨 157 2018-01-02
나이 들어도 친구 자주 만나야 뇌 신경망 보존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나이 들어도 친구 자주 만나야 뇌 신경망 보존   조한나 강남세브란스병원 신경과 교수 입력 : 2018.01.02 09:11 [의학자문위원이 쓰는 건강 노트] [5] 뇌 구석구석 쓰는 치매 예방...  
1411 여자는 '무', 남자는 '마늘'… 혈관 지키는 5가지 채소 불씨 157 2018-01-13
  여자는 '무', 남자는 '마늘'… 혈관 지키는 5가지 채소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여자는 '무', 남자는 '마늘'… 혈관 지키는 5가지 채소   이기상 헬스조선 기자 사진 헬스조선DB 도움말 박현아(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참고서적 ‘슈퍼이팅’ 입력 : ...  
1410 삼겹살 효과있나? 미세먼지 궁금증9 불씨 157 2018-03-25
삼겹살 효과있나? 미세먼지 궁금증9 삼겹살 효과있나? 미세먼지 궁금증9   입력 F 2018.03.23 00:19 수정 2018.03.23 00:41     눈 내린 춘분이 지나고 오늘 23일부터 주말 내내 미세먼지 농도가 나쁠 것으로 예상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지난 1998년...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