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건강과생활

뇌는 어떻게 장기 기억을 보존하나?

사이언스타임즈 2019.08.13. 16:36

 

장기 기억 유지하는 분자 메커니즘 밝혀

뇌는 감미로운 첫 키스로부터 아기의 탄생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소중한 기억들을 안전하게 보존한다. 이러한 신기한 재주는 어떻게 가능하며, 어떤 과정을 거쳐 작동할까?

미국 컬럼비아대 신경과학자들은 실험용 쥐 세포를 이용한 새로운 연구에서 뇌가 이런 종류의 장기 기억을 유지하도록 하는 분자 메커니즘(molecular machinery)를 밝혀내는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뇌의 신경세포인 뉴런의 활동을 관찰해, 특정 단백질(CPEB3)이 어떻게 뉴런으로 하여금 시간이 지나도 기억들을 저장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지를 확인했다.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NAS) 12일 자에 발표된 이번 연구는 뇌의 가장 보편적이며 기본적인 분자 기능 중 하나에 대한 전혀 새로운 관점을 보여주었다는 평이다. 아울러 알츠하이머병 같은 기억 상실로 특징지어지는 신경퇴행성 질환 치료를 위한 새로운 목표도 제시했다.

 

실험에서 자극을 주자 기억 생성에 관여하는 CPEB3(녹색) 단백질이 뉴런의 신경가지에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 Lenzie Ford and Luana Fioriti/Kandel lab/Columbia’s Zuckerman Institute

 

 

기억은 존재의 기본”

논문 공동 시니어저자로 지난 2000년 기억의 분자적 기초 연구로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은 에릭 캔들(Eric Kandel) 교수(뇌과학 ·컬럼비아 모티머 주커만 마인드 브레인 행동 연구소 공동소장)는 “기억은 우리가 누구인가 하는 정체성을 만들어 주며, 우리의 삶에 스며들어 존재의 기본이 된다”고 말했다.

 

에릭 캔델은 바다달팽이를 이용한 세포내 기억 과정의 발견 등 획기적인 연구 결과를 잇달아 발표하면서 그 업적을 인정받아 2000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다. ⓒ Wikimedia Commons

 

 

그러나 그는 “기억은 그 핵심에서 보면 심장 박동과 다르지 않은 생물학적 과정으로서 우리는 이번 연구를 통해 우리 삶의 과정 속에서 기억을 만들고 보존하고 회상하는 두뇌 능력의 이면에 있는 분자 기반을 새롭게 조명했다”고 밝혔다.

모든 기억들, 심지어 덧없이 흘러가는 기억들도 뉴런에서 뻗어나가는 축색돌기(axon)라는 작은 가지들이 서로 연결될 때 만들어진다.

시냅스(synapses)라고 불리는 이 연결점들은 마치 악수하는 것과 같아 강할 수도 있고 약할 수도 있다. 만약 연결이 약하면 기억은 사라질 수 있다. 반대로 강하다면 오래 지속될 수 있다.

 

 

 
일반적인 뇌 활동에서 뉴런들은 축색돌기(axon)를 따라 이동하는 전기신호를 발생한다. 전기신호가 시냅스로 불리는 연결점에 도달하면 신경전달물질이 방출된다. 이 신경전달물질이 다른 세포의 수용체와 결합해 전기적 활동을 변화시킨다. 기억의 경우 해마의 뉴런 중심체에서 생성된 CPEB3가 축색돌기를 따라 이동해 시냅스에서 방출됨으로써 기억 생성과 유지를 돕는다. ⓒ Wikimedia / NIH / NIA

 

 

CPEB3 단백질 없으면 기억 사라져

연구자들은 최근 시냅스를 강화하면 해부학상으로 관찰이 가능한 변화를 일으킨다고 보고했다. 2015년 캔들 박사팀은 쥐 실험을 통해 이런 해부학적 변화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CPEB3라는 단백질을 확인해 냈다. 이들은 기억이 형성되고 떠올려질 때 뇌의 시냅스에 CPEB3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팀이 쥐에게서 CPEB3가 만들어지는 것을 방해하자 쥐는 새로운 기억을 형성하기는 했으나 이를 그대로 유지하지는 못했다.

논문 공동 시니어저자인 루아나 피오리티(Luana Fioriti) 박사(이태리 밀라노 소재 마리오 네그리 약학연구소 수석 연구원)는 “CPEB3가 존재하지 않자 시냅스 연결이 끊어지고 기억이 사라졌다”며, “뉴런 안에서 CPEB3의 정확한 기능을 발견한 것이 이번 연구의 원동력이 되었다”고 밝혔다.

기억의 생성과 안정화

CPEB3는 뇌의 기억 중추인 해마 내 뉴런의 중심체 안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생성된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일단 CPEB3가 생성되면 이를 휴면상태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분리된 방인 P체(Processing bodies,P-bodies)로 옮겨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논문 공동 제1저자인 렌지 포드(Lenzie Ford) 캔들교수실 박사후 연구원은 “P체에는 CPEB3를 담을 수 있는 세포막 같은 물리적 장벽이 없다”고 말하고, “대신 P체는 주변보다 밀도가 더 높아 이 밀도 차이가 P체들을 서로 붙어있도록 함으로써 CPEB3가 세포의 다른 부분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안에 남아있게 하는 일종의 생물물리학적 힘의 장을 만들어낸다”고 설명했다.

P체가 일단 휴면 CPEB3로 가득 차면 뉴런의 중심을 떠나 신경가지를 따라 시냅스 쪽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동물이 어떤 경험을 하고 기억을 형성하기 시작하면 P체는 용해되고, CPEB3가 시냅스로 방출돼 기억 생성을 돕는다.

시간이 지나면서 CPEB3가 더 많이 방출되면 이 시냅스들은 강화된다. 이는 뉴런의 해부학적 상태를 변화시키고 그 결과 기억이 안정화된다.

 

해마에서 뻗어나온 피라미드형 뉴런(녹색) 모습. ⓒ Wikimedia / PLoS

 

 

신경퇴행성 질환 치료의 유망한 타깃”

캔들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단백질 합성이 기억 유지에서 중심적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가 아직 발견하지 못한 추가적인 과정들이 존재할 수 있으나 이번 연구는 최첨단의 생화학, 유전학 및 현미경 도구를 통합해 비할 데 없이 상세하게 기억의 멋진 생물학적 메커니즘을 보여준다”고 평했다.

이번 연구는 기억에 대해 밝힌 내용 외에 기억 상실로 특징지어지는 신경퇴행성 질환에 대한 통찰력도 보여준다. 기억 저장에서 CPEB3의 중요성이 입증되었고 인체의 뇌에도 CPEB3의 한 버전이 존재하기 때문에, 연구팀은 이 단백질을 신경퇴행성 질환 치료에서 관심을 기울여 볼 수 있는 유망한 영역으로 보고 있다.

피오리티 박사는 “시냅스가 어떻게 형성되고 시간이 지나면서 어떻게 강화되는지에 대한 과학은 알츠하이머병과 같이 기억이 연관된 시냅스들이 퇴화하고 죽어가는 질환들을 해독하는데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기억에 대한 이런 이해를 계속 구축해 나감으로써 언젠가는 시냅스 퇴화를 막아 기억 손실을 늦출 수 있도록 CPEB3를 증강시키는 유용한 방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를 표했다.
 
김병희 객원기자


기사원문 바로가기 ↓

 

 

 

 

 

 

 

조회 수 :
188
등록일 :
2019.08.23
08:25:30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www.hfire.or.kr/17650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sort 날짜
1429 플라스틱병 생수만 마셨더니.. <연구> 불씨 156 2019-06-09
플라스틱병 생수만 마셨더니.. <연구> 홍예지 입력 2019.06.08. 14:37     미세플라스틱 조각 9만개 추가로 삼켜 [사진=픽사베이] /사진=fnDB   플라스틱병에 든 물을 마시면 수돗물을 마실 때보다 미세플라스틱 조각(particle)을 배 이상 더 흡수하게 된다는 ...  
1428 프로바이오틱스, 잘 먹는 법 불씨 156 2019-11-23
프로바이오틱스, 잘 먹는 법 이용재 입력 2019.11.22. 15:04       [사진=newannyart/gethyimagebank]     몸에 이로운 유익균, 프로바이오틱스가 유행이다.   프로바이오틱스는 소화기 내 몸에 좋은 박테리아를 늘려 유해균을 억제하고, 배변 활동에 도움을 ...  
1427 샤워할 때 저지르기 쉬운 실수 6가지 불씨 156 2020-11-12
샤워할 때 저지르기 쉬운 실수 6가지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0.11.10. 14:16 수정 2020.11.10. 14:20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샤워할 때 세수까지 같이하면 샤워기의 물줄기가 예민한 ...  
1426 내 엉덩이가 벌써? 빨라지는 히프 노화, 어떻게 막을까? 불씨 156 2020-11-19
내 엉덩이가 벌써? 빨라지는 히프 노화, 어떻게 막을까?   김용 입력 2020.11.18. 10:39 수정 2020.11.18. 10:59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앉아서 생활하는 시간이 늘면서 유난히...  
1425 환절기, 면역력 '뚝' 떨어졌다는 신호는? 불씨 156 2021-09-26
환절기, 면역력 '뚝' 떨어졌다는 신호는? 이슬비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1. 09. 23. 18:35       배탈이 자주 나거나, 감기 증상이 나타나거나, 염증 질환이 나타난다면 면역력이 떨어진 것일 수 있어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일교차가 ...  
1424 '빨리 늙게' 하는 일상 속 생활습관 7가지 불씨 156 2021-11-17
'빨리 늙게' 하는 일상 속 생활습관 7가지 김용 입력 2021. 11. 12. 09:01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노화는 인간의 숙명이다. 늙는 것을 막을 수는 없지만 늦출 수는 있다. 일상생활 속 습관이 매우 중요하다. 술, 담배를 즐기고 스트레스, 과식이 이어지면 ...  
1423 감염병에 맞설 면역력 키우려면 불씨 156 2022-11-28
감염병에 맞설 면역력 키우려면 에디터입력 2022. 11. 25. 14:01         [메디체크의 헬스UP] 면역력이란 외부에서 들어오는 바이러스, 세균 등 우리 몸에 유해한 병원균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고 방어하는 시스템이다. [사진= 게티이미지뱅크]과거 병원균...  
1422 새해 결심, 뇌와 신경에 각인시키는 법 불씨 156 2023-01-02
새해 결심, 뇌와 신경에 각인시키는 법 이슬비 기자입력 2022. 12. 31. 23:00     단기 목표는 계속 되뇌어야 하고, 장기 목표는 잠시 잊는 시간을 둬야 한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곧 2023년 계묘년 첫해가 떠오른다. 새로운 마음으로 한 해를 시작하려는 사...  
1421 내 뇌는 어느 속도로 늙어가고 있을까? 불씨 156 2023-03-17
내 뇌는 어느 속도로 늙어가고 있을까? 정희은입력 2023. 3. 16. 09:31       뇌 나이는 건강, 라이프스타일, 성격 등에 따라 스스로 인지하는 것보다 훨씬 젊을 수도, 훨씬 나이가 많을 수도 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우리 뇌의 노화 속도는 실제 나이와 ...  
1420 림프액 순환이 중요한 이유…잘 돌게 하려면? 불씨 156 2023-07-14
림프액 순환이 중요한 이유…잘 돌게 하려면? 이요세입력 2023. 7. 11. 16:31       림프액 순환에 제일 중요한 것이 심호흡이다. 림프액은 거의 호흡으로 순환하는 것인데, 얕거나 보통 호흡보다 심호흡을 할 때 더 잘 돌아간다. [사진= 게티이미지뱅크]혈액은...  
1419 [Science &] 시각·청각은 과학으로 극복하는 중..그럼 촉각은? 불씨 157 2017-03-26
[Science &] 시각·청각은 과학으로 극복하는 중..그럼 촉각은? | Daum 뉴스 [Science &] 시각·청각은 과학으로 극복하는 중..그럼 촉각은? 서진우 입력 2017.03.24 15:48 수정 2017.03.24 17:08 댓글 3개SNS 공유하기   피부느낌 완벽구현, 아직은 미...  
1418 임플란트, 보철, 치아교정의 모든 가능성을 고려한 효과적 치과 치료 불씨 157 2017-03-29
임플란트? 자연치아 보존을 위한 노력이 선행되어야 [임플란트, 보철, 치아교정의 모든 가능성을 고려한 효과적 치과 치료]| Daum라이프 임플란트? 자연치아 보존을 위한 노력이 선행되어야 [임플란트, 보철, 치아교정의 모든 가능성을 고려한 효과적 치과 치...  
1417 일상에서 암을 유발하는 원인 5가지 불씨 157 2017-05-01
일상에서 암을 유발하는 원인 5가지| Daum라이프 일상에서 암을 유발하는 원인 5가지 코메디닷컴 | 권순일 | 입력 2017.04.30 11:14       담배를 끊고 자외선 과다 노출을 피하는 것은 분명히 암 위험을 줄일 수 있는 방법들이다. 하지만 암이라는 치명적인 ...  
1416 "늙어서 머리가 나빠졌다"란 말은 핑계 (연구) 불씨 157 2017-06-18
"늙어서 머리가 나빠졌다"란 말은 핑계 (연구) | Daum 뉴스 "늙어서 머리가 나빠졌다"란 말은 핑계 (연구) 문세영 입력 2017.06.16. 11:14 댓글 363개자동        젊은 사람이 영리한 행동을 하면 '어려서 머리가 잘 돌아간다'고 한다. 반면 나이든 사람이 아...  
1415 "호르몬 관리만 잘해도 장수할 수 있습니다" 불씨 157 2017-06-22
"호르몬 관리만 잘해도 장수할 수 있습니다"| Daum라이프 "호르몬 관리만 잘해도 장수할 수 있습니다" 강남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안철우 교수 특강 헬스조선·함께하는 36.5 주최 '헬스조선 건강대학원' 다섯 번째 강의 진행헬스조선 |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1414 속 쓰림 증상 차단하는 방법 4 불씨 157 2017-08-25
속 쓰림 증상 차단하는 방법 4| Daum라이프 속 쓰림 증상 차단하는 방법 4 코메디닷컴 | 권순일 | 입력 2017.08.24 14:23       속 쓰림은 음식물이나 위산이 거꾸로 이동해 식도가 불타는 듯 작열감이 일어나는 증상이다. 증상이 심해지면 입 냄새가 나고, 더...  
1413 노인들도 운동하면 뇌혈관은 청춘 불씨 157 2017-10-28
노인들도 운동하면 뇌혈관은 청춘 노인들도 운동하면 뇌혈관은 청춘   입력 F 2017.01.17 09:26 수정 2017.01.17 09:29     노화가 진행될수록 뇌혈관은 자연히 좁아지고 길이가 늘어나면서 구불구불해진다. 이렇게 되면 뇌졸중, 치매 등을 비롯해 각종 질환이...  
1412 나이 들어도 친구 자주 만나야 뇌 신경망 보존 불씨 157 2018-01-02
나이 들어도 친구 자주 만나야 뇌 신경망 보존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나이 들어도 친구 자주 만나야 뇌 신경망 보존   조한나 강남세브란스병원 신경과 교수 입력 : 2018.01.02 09:11 [의학자문위원이 쓰는 건강 노트] [5] 뇌 구석구석 쓰는 치매 예방...  
1411 여자는 '무', 남자는 '마늘'… 혈관 지키는 5가지 채소 불씨 157 2018-01-13
  여자는 '무', 남자는 '마늘'… 혈관 지키는 5가지 채소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여자는 '무', 남자는 '마늘'… 혈관 지키는 5가지 채소   이기상 헬스조선 기자 사진 헬스조선DB 도움말 박현아(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참고서적 ‘슈퍼이팅’ 입력 : ...  
1410 삼겹살 효과있나? 미세먼지 궁금증9 불씨 157 2018-03-25
삼겹살 효과있나? 미세먼지 궁금증9 삼겹살 효과있나? 미세먼지 궁금증9   입력 F 2018.03.23 00:19 수정 2018.03.23 00:41     눈 내린 춘분이 지나고 오늘 23일부터 주말 내내 미세먼지 농도가 나쁠 것으로 예상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지난 1998년...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