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건강과생활

근육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어떻게 움직일까? [의사에게 배우는 인체생리학]

헬스조선 편집팀 입력 2019.10.24. 10:17

 

 

근육의 구조와 작동 원리

 

근육(muscle)은 신경의 자극에 따라 짧아지고 굵어지면서 수축(contract)하고, 자극이 사라지면 다시 원래의 모양으로 이완(relax)된다. 근육은 관절 고정, 자세 유지, 운동 그리고 열 발생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골격근, 심근, 평활근의 세 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대부분의

① 골격근(skeletal muscle)은 뼈에 부착되어 몸 운동을 조절할 수 있고,

② 심근(cardiac muscle)은 심장에만 발견되는 근육으로 혈액을 혈관을 통해 몸의 구석구석으로 이동시킨다. ③ 평활근(smooth muscle)은 위, 방광, 혈관 같은 내장이나 관을 둘러싸는 근육이다.

기능적으로 팔다리는 내 마음대로 움직일 수 있는 체성신경계통에 의해 조절되고, 심장과 내장은 그렇지 않은 자율신경계통에 의해 조절된다.

 

근육의 움직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근육의 구조를 알아야한다.

근육(muscle)의 첫 구성 단계는 가는잔섬유(thin filament)와 굵은잔섬유(thick filament)로, 가는잔섬유는 액틴(actin), 트로포닌(troponin), 트로미오신(tropomyosin)이라는 세 가지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고, 굵은잔섬유는 미오신(myosin)이라는 하나의 단백질로만 이루어져 있다. 미오신의 머리 부분과 액틴은 서로 붙었다 떨어졌다 하면서, 이들은 마치 ‘손가락 깍지를 끼듯’이 맞물려 있다.

이들 잔섬유들은 근원섬유(myofibril), 근육섬유(muscle fiber), 근육다발(fascicle)이라는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근육(muscle)이 된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섭취하는 ‘고기’는 바로 가축의 골격근이다.

가축 골격근은 근육섬유(muscle fiber)에 존재하는 미오글로빈(myoglobin)의 양에 따라, 지방의 양에 따라 부위별로 고기의 색, 종류, 그리고 가격이 달라진다. 미오글로빈은 근육에 필요한 산소를 저장(storage)하는 단백질이므로 마치 산소를 운반하는 혈액(적혈구)처럼 고기의 색이 붉게 보인다.

 

근육생리학에서는 근육에 의해 만들어지는 힘을 근육장력(muscle tension)이라 한다. 수축(contraction)은 근육장력의 생산과정으로 ATP(에너지)가 많이 필요(근육세포에는 ATP를 만드는 사립체가 많다)하고, 이완(relaxation)은 수축에 의해 생성된 근육장력을 해제하는 과정이다. 근육의 수축, 이완은 크게 신경·근육이음부, 흥분·수축 짝물림 그리고 수축·이완 주기라는 세 가지 단계를 거친다.

 

 

1. 신경·근육이음부(neuromuscular junction)

 

신경·근육이음부에서는 운동신경의 아세틸콜린(ACh) 신호가 근육섬유 안으로 전달되면서 전기신호로 바뀌게 된다. 신경의 끝에서 ACh이 분비되어 연접 틈새로 유출되고, ACh가 근육 세포막의 끝에 도달하면 ACh 수용체와 결합하게 된다. 이 결합은 근육세포막의 나트륨 이온(Na⁺) 통로에 변화를 주어 막을 탈분극 시키고(Na⁺ 유입, ‘Na⁺ 들어갈래~’), 근육은 활동전위를 시작하게 된다.

 

 

 

‘골격근의 장애’는 신경계에서 신호의 문제, 신경·근육이음부에서 신경전달물질의 잘못된 전달, 근육 자체의 이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쉽게 볼 수 있는 근육장애는 근육경련(muscle cramp)으로 지속적이며 고통스러운 근육의 수축이다. 근육경련은 근육을 조절하는 운동신경의 과흥분, 즉 반복적인 자극에 의해 고통스럽고 지속적인 수축의 상태로 들어간다. 근육경련이 있을 때 ‘코에 침을 묻히는 것(?)’이 아니라 스트레칭을 통해 약화시킬 수 있는데, 스트레칭은 감각정보를 중추신경계로 보내 운동신경을 억제하여 경련을 약화시킬 수 있다.

 

2. 흥분·수축 짝물림(excitation-contraction (E-C) coupling)

 

근육의 활동전위가 칼슘 신호를 시작하게 하는 과정이다. 근육의 끝에서 발생한 활동전위는 근육섬유의 근형질세망에 있는 칼슘 이온 방출 통로(Ca²⁺ release channel)를 열고, 저장되었던 칼슘 이온(Ca²⁺)은 전기화학적 기울기에 따라 근육세포의 세포질로 방출된다. 칼슘 이온의 양이 증가하면 트로포닌과 결합하면서 수축을 시작하게 된다. 

 

 

 

 

3. 수축·이완 주기(contraction-relaxation cycle)

 

쉬고 있을 때 가는잔섬유의 트로포미오신은 액틴 필라멘트를 감고 있어 액틴·미오신 결합을 부분적으로 방해한다. 칼슘 이온(Ca²⁺)이 트로포닌과 결합하게 되면, 이들의 모양이 바뀌면서 액틴과 미오신이 결합 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미오신 머리는 많은 양의 ATP(에너지)를 사용하면서 치기동작을 하면서 수축하게 되는 것이다.

 

그 후 세포질 내의 칼슘 이온의 양이 감소하면 칼슘 이온의 평형이 깨지면서 트로포닌으로부터 칼슘 이온이 방출된다. 트로포미오신은 다시 미오신 결합자리를 막으면서 근육섬유는 이완된다. 이러한 수축-이완의 동작은 잔섬유들이 서로 미끄러지듯이 일어나기 때문에 ‘활주설’이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 

 

우리 몸에 칼슘이 부족하면 ‘뼈가 튼튼하지 못하다’는 사실은 거의 모두가 알고 있다. 이러한 증상 외에도 칼슘 부족의 중요한 점은 근육 수축에 문제를 일으킨다는 것이다. 근육경련과 쥐가 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칼슘 부족이 아주 심한 경우에는 심장근육에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기고자: 해운대부민병원 응급의료센터 박억숭 센터장

 

출처:  https://news.v.daum.net/v/20191024101708817

 

조회 수 :
4116
등록일 :
2019.10.25
09:10:33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www.hfire.or.kr/17686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sort 날짜
1490 '혈액 청소' 돕고 혈관 지키는 생활습관은? 불씨 152 2022-09-05
'혈액 청소' 돕고 혈관 지키는 생활습관은? 김용입력 2022.09.04. 11:26수정 2022.09.04. 12:10     혈액부터 깨끗하게 해야 혈관 지킨다   피가 탁해지는 이상지질혈증은 증상 없이 혈관이 막히게 해 심장병, 뇌졸중의 원인이 된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나...  
1489 나이 들수록 '좋은'스트레스 받아야 하는 이유 불씨 152 2022-09-24
나이 들수록 '좋은'스트레스 받아야 하는 이유 김영섭입력 2022. 9. 21. 07:22수정 2022. 9. 21. 09:42     두뇌 노화 속도 낮춰..젊은이 목표 관리 등에도 활용도 높아 평생교육은 '좋은 스트레스'의 좋은 예다. 윤석열 대통령이 검찰총장을 그만둔 뒤 코딩학...  
1488 행복을 막는 나쁜 생각 vs 행복해지는 간단 방법 불씨 152 2022-12-28
행복을 막는 나쁜 생각 vs 행복해지는 간단 방법 권순일입력 2022. 12. 24. 11:06수정 2022. 12. 24. 11:32     마음먹기에 따라 행복감 달라져   생각이 긍정적이냐 부정적이냐에 따라 삶의 질이 달라진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생각이 긍정적이냐 부정적이...  
1487 새해에는 ‘부모님 삶의 질’위해 귀건강에 관심을 불씨 152 2022-12-30
새해에는 ‘부모님 삶의 질’위해 귀건강에 관심을 이병문 선임기자(leemoon@mk.co.kr)입력 2022. 12. 28. 16:51       난청 방치땐 청력기능 상실해 주변인과 대화 어려워 난청은 사회적 소외감 야기해 우울증·치매 등에 노출 김성근 원장 “보청기, 청각사·전문...  
1486 물, 많이 마실수록 좋다?…‘○○○’ 환자는 조금만 마셔야 불씨 153 2018-04-14
물, 많이 마실수록 좋다?…‘○○○’ 환자는 조금만 마셔야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물, 많이 마실수록 좋다?…‘○○○’ 환자는 조금만 마셔야   이모인 헬스조선 인턴기자  입력 : 2018.04.13 14:25     심장이나 신장, 간 기능이 떨어지는 사람, 갑상선 기능이 ...  
1485 '小食' 하고 운동하는 어르신 '치매 걱정' 잊어버리고 산다 불씨 153 2018-10-09
'小食' 하고 운동하는 어르신 '치매 걱정' 잊어버리고 산다   기사입력 2018-10-02 11:19   10월2일은 ‘노인의 날 ’  65세이상 10%가 치매    비만관리·뇌운동이 최선의 예방책  매년 10월 2일은 ‘노인의 날’이다. 노인이 되면 노화 현상 탓에 신체적ㆍ정신적...  
1484 귤 하루 두 개! 겨울 보약으로 불리는 이유 불씨 153 2018-11-18
귤 하루 두개 !  겨울 보약으로 불리는 이유 권순일 기자   수정 2018년 11월 11일 09:18   [사진=Linda Hughes/Shutterstock]   추운 계절에 귤은 저렴하게 즐길 수 있는 비타민 공급원으로 손색이 없다. ‘비타민 덩어리’ 귤은 추울 때 재배한 것이 비타민 C...  
1483 호적 나이는 같아도 신체 나이는 달라…젊은 신체 만드는 비결은? 불씨 153 2019-04-09
호적나이는 같아도 신체 나이는 달라.... 젊은 신체 만드는 비결은? 김진구 헬스조선기자 정선유 헬스조선 인턴기자 입력: 2018년 8월 22일 13:20       신체 나이가 갈라지는 중요 지점은 50대다. 노년의 문턱을 넘는 이 시기에 얼마나 건강 관리를 잘 하느냐...  
1482 몸속 만성염증 유발하는 7가지 요인 불씨 153 2019-05-29
몸속 만성염증 유발하는 7가지 요인 한희준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9.05.27. 14:33   클립아트코리아     염증은 몸이 질병과 싸울 때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하지만 만성염증은 다르다. 혈관을 시작으로 근육·심장 등 여기저기로 퍼져, 전신질환을 부...  
1481 엉덩이가 장수 열쇠.. 탄탄한 근육을 사수하라 불씨 153 2019-07-02
엉덩이가 장수 열쇠.. 탄탄한 근육을 사수하라 한희준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9.07.01. 08:12 엉덩이 근육이 약하면 몸의 균형이 무너지면서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흔히 근육운동 하면 가슴, 팔, 복근을 가장 먼저 떠올리곤 한...  
1480 중복, 다가온 무더위에 맞서 건강을 지키기 위한 생활 수칙 불씨 153 2019-07-24
중복, 다가온 무더위에 맞서 건강을 지키기 위한 생활 수칙 김문석 기자 kmseok@kyunghyang.com 입력 2019.07.23. 16:52   초복을 지나 어느덧 중복에 이르러 무더위가 찾아오는 가운데, 여름철 건강을 위해 지켜야 할 생활 수칙은 무엇이 있을까?   영양은 골...  
1479 근육 줄면 '병'도 잘 걸려.. 고령자 근육 단련법은? 불씨 153 2019-09-19
근육 줄면 '병'도 잘 걸려.. 고령자 근육 단련법은?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9.09.18. 11:18   노인성 근감소증을 예방하려면 스쿼트, 팔굽혀펴기, 바벨을 이용한 운동을 하는 게 좋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나이 들면 근육이 줄기 쉬운데, 여러 합...  
1478 미루는 습관만은 기르지 마라 불씨 153 2019-11-26
미루는 습관만은 기르지 마라 입력 2019.11.25. 17:05     서울대 학생들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지능이 특별히 높기보다는 성실한 생활습관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 달랐다.   예체능도 마찬가지다. 모든 아이의 꿈은 바로 이 성실한 생활습관을 통해 이...  
1477 "코로나는 코로 걸린다" 바이러스 침입경로 확인 불씨 153 2020-04-25
"코로나는 코로 걸린다" 바이러스 침입경로 확인 한명오 인턴기자 입력 2020.04.24. 17:07   미국 국립보건원이 2월 발표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 전자 현미경 사진. AP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체내 초기 침입 경로가 코...  
1476 위축성 위염, 꾸준히 관찰하고 치료하면 위암 가능성 ↓ 불씨 153 2020-09-29
위축성 위염, 꾸준히 관찰하고 치료하면 위암 가능성 ↓ 이지원 입력 2020.09.28. 10:39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사진=Tharakorn/gettyimagesbank]맵고 짠 음식을 즐겨먹는 한국인에게 흔한 ...  
1475 청력 손실을 유발하는 나쁜 습관 5가지 불씨 153 2020-10-02
청력 손실을 유발하는 나쁜 습관 5가지 문세영 입력 2020.09.29. 14:26 수정 2020.09.29. 14:30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사진=Voyagerix/gettyimagesbank]우리 주변 환경이나 행동은 청력에...  
1474 피 잘 흐르게 돕고 염증 줄여주는 식품 7 불씨 153 2021-12-28
피 잘 흐르게 돕고 염증 줄여주는 식품 7 김용 입력 2021. 12. 22. 08:36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포화지방이 많은 육류의 기름진 부위나 과자·튀김 등을 즐기고 운동과 담을 쌓으면 혈액 속에서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이 늘어난다. 혈전 등이 생겨 혈관이 ...  
1473 안아주면 펑펑 나오는..옥시토신 효과 4 불씨 153 2022-02-13
안아주면 펑펑 나오는..옥시토신 효과 4 권순일 입력 2022. 01. 21. 08:08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옥시토신은 아기를 낳을 때 자궁 근육을 수축시켜 진통을 유발하고 분만이 쉽게 이루어지게 하는 호르몬이다. 하지만 출산 시에만 분비되는 것은 아니다. ...  
1472 나이 들면서 건강하고 멋지게 사는 법..이때 좋은 식품 불씨 153 2022-06-05
나이 들면서 건강하고 멋지게 사는 법..이때 좋은 식품 권순일 입력 2022. 06. 01. 13:06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한국인의 평균 기대 수명은 1960년 52.4세에서 2020년 83.5세로 늘어났다. 30년 이상 늘어난 중, 장년기를 멋지고 건강하게 보내려면 어떻게...  
1471 점심 식사 후, 해야 할 행동 vs 피해야 할 행동 불씨 153 2022-09-28
점심 식사 후, 해야 할 행동 vs 피해야 할 행동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입력 2022. 9. 16. 13:03수정 2022. 9. 16. 13:07       점심 식사 후에는 약 20분 가벼운 산책을 하는 게 좋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점심 식사 후에는 자신만의 특정한 활동을 하는 경우...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