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건강과생활

[신종 코로나 초비상] 다중 이용시설 이용시 '要주의' 1순위는?

입력 2020.02.04. 11:46

 

 

 화장실 세면대 세균노출 가장 커
    푸드코트식탁 살균 휴지로 닦고
    에스컬레이터 손잡이 이용 조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면서 신종 코로나 확진환자가 다녀간 동선은 기피장소 1순위가 되고 있다.

특히 무증상 감염 가능성에 대한 우려까지 나오면서 백화점, 음식점, 영화관, 마트 등 다중이용시설은 직격탄을 맞고 있다.

전문가들은 사람이 많이 몰리는 곳은 어디나 세균과 바이러스가 많을 수 밖에 없다고 지적한다. 자기도 모르게 독감 바이러스나 대장균, 포도상구균 등에 감염될 위험이 크다는 얘기다. 전문가들에게 다중이용시설을 방문할 때 특히 주의해야 할 장소와 예방법에 대해 들어봤다.

①화장실 세면대=대형 상가의 화장실에서 가장 세균이 많은 곳은 변기의 물 내리는 손잡이나 문의 손잡이가 아니라 바로 세면대이다. 대장균을 비롯한 세균이 수도꼭지와 손잡이에 번식하고 있는데, 사람들이 화장실을 사용하고 난 직후에 그것을 손으로 만지기 때문이다. 세면대 주변은 습기가 많은 곳이어서 세균이 오래 살 수 있다. 또한 물비누 용기도 여러 사람의 손이 닿고, 비누 자체에 세균이 몰려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예방책: 공중 화장실을 쓴 뒤에는 철저히 손을 씻어야 한다. 비누 거품을 내 20초 이상 문지른 뒤 잘 씻는다. 물을 털고 종이수건으로 닦은 뒤 문을 연다. 비누나 종이수건이 없으면 알코올 성분 손 세정제로 세균을 없애야 한다.

②푸드코트 식탁=식탁을 닦았다고 하더라도 깨끗하다고 생각해선 안 된다. 행주 자체에 대장균 같은 해로운 세균이 많이 있고, 음식점에서 제대로 씻거나 자주 바꾸지도 않기 때문이다.

▷예방책: 가방에 살균한 물휴지 같은 것을 넣어 두었다가 앉기 전에 살짝 닦는다. 알코올 성분이 있는 소독 휴지로 그냥 대충 훔치는 것이 아니라 분명히 세균을 죽여야 한다.

③에스컬레이터 손잡이=에스컬레이터 손잡이에서 대장균, 소변, 대변, 혈액 등 별별 성분을 다 찾아낸 연구도 있었다. 대부분 사람들이 손을 대고 기침을 하고난 뒤 손잡이를 잡기 때문에 호흡기 관련 세균을 발견할 수 있다.

▷예방책: 나중에 손 세정제로 확실하게 씻지 않는다면 손을 완전히 대고 잡지 않도록 한다.

④현금지급기 숫자판=대만 도심에서 38대의 현금지급기(ATM)기를 조사한 결과 자판 하나에 평균 1200마리의 세균이 있다는 연구도 있다. 세균 중에는 대장균이나 감기와 독감 바이러스 등 병을 일으키는 미생물들이 포함된다. 가장 상황이 심각한 자판은 ‘엔터(enter)’ 키였다. 모든 사람이 한번은 치기 때문이다.

▷예방책: 손가락 끝에 세균을 묻히지 않으려면 손가락 마디로 자판을 쳐라. 그러면 코나 입에 세균이 덜 가게 된다. 그런 뒤에도 소독제로 손을 제대로 씻어야 한다.

⑤장난감 가게=장난감 가게는 놀이터 등 아이들이 노는 다른 장소보다 훨씬 세균이 많은 곳이다. 아이들은 장난감을 핥고, 머리 위로 돌리고, 뺨으로 문지르는 등 장난감에 세균을 가득 묻힌다.

▷예방책: 장난감을 샀을 때, 박스나 포장한 제품이 아니라면 자녀에게 주기 전에 비누와 물, 알코올, 살균 성분의 식초 등으로 구석구석 꼼꼼히 닦아라. 물론 장난감 선반을 만진 뒤 손도 소독제로 닦아야 한다.

김태열 기자

 

출처:   https://news.v.daum.net/v/20200204114641427

관련 태그

 

 

 

 

조회 수 :
129
등록일 :
2020.02.11
10:12:27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www.hfire.or.kr/17814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sort
1090 부위별 통증에 나타나는 건강 이상 신호 7 불씨 144 2021-06-30
부위별 통증에 나타나는 건강 이상 신호 7 권순일 입력 2021. 06. 19. 14:31   [사진=게티이미지뱅크]통증은 신체에 뭔가 문제가 생겼을 때 주의를 환기하는 신호 중 하나다. 하루 전날 무거운 가구를 옮겼거나, 엄청 매운 음식을 먹었다고 해서 통증을 가볍게...  
1089 같이 먹으면 안 좋은 영양제는? 비타민과 '이것' 불씨 233 2021-07-01
같이 먹으면 안 좋은 영양제는? 비타민과 '이것' 문수아 헬스조선 인턴기자 입력 2021. 06. 29. 16:59 수정 2021. 06. 29. 17:14   종합 비타민과 철분은 따로 먹는 것이 좋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건강을 위해 다양한 영양제를 챙겨 먹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1088 백세건강 위해 매일 먹으면 좋은 식품 5 불씨 120 2021-07-02
백세건강 위해 매일 먹으면 좋은 식품 5 이보현 기자 입력 2021. 06. 26. 17:31   과일과 채소를 먹는 것이 건강에 좋다는 것은 다들 알고 있다. 과연 수명 연장에 보탬이 되려면 날마다 과일과 채소를 어느 정도 섭취해야 할까. 하루에 적어도 과일 채소를 합...  
1087 불규칙한 심장 박동 유발하는 생활습관 11가지(연구) 불씨 191 2021-07-03
불규칙한 심장 박동 유발하는 생활습관 11가지(연구) 김용 입력 2019. 04. 02. 16:13     [사진=MDGRPHCS/shutterstock]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답답하고, 심하면 어지럽고 숨이 차는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 이는 불규칙한 심장박동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1086 "매주 카드 1장씩 삼켰습니다"…시한폭탄 된 미세플라스틱[과학을 읽다] 불씨 112 2021-07-04
"매주 카드 1장씩 삼켰습니다"…시한폭탄 된 미세플라스틱[과학을 읽다] 기사입력 2021.07.03. 오전 11:56 최종수정 2021.07.04. 오전 5:3     미세플라스틱. 자료사진. "당신은 지금 일주일에 신용카드 한 장 만큼의 미세플라스틱을 삼키고 있습니다. 언젠가 ...  
1085 99살까지 88하게 사는 인생.. 건강검진, 습관처럼 챙깁시다 [Weekend 헬스] 불씨 119 2021-07-05
99살까지 88하게 사는 인생.. 건강검진, 습관처럼 챙깁시다 [Weekend 헬스] 홍석근 입력 2021. 07. 02. 04:00   만성질환 시작 막으려면 정기적인 점검이 필수 건보공단 시행 '국가검진제도' 양질의 검진 제공 종합검진 땐 생활습관·가족력 감안 검사항목 선택...  
1084 지루한 장마의 시작..'고온다습'한 환경 속에서 건강관리 힘써야 불씨 119 2021-07-06
지루한 장마의 시작..'고온다습'한 환경 속에서 건강관리 힘써야 이승구 입력 2021. 07. 05. 11:01 수정 2021. 07. 05. 12:18   관절염 환자의 관절통 심해져..습도·기압의 변화로 관절 속 균형 깨져 실내 습도 50% 이내·온도 26도로 맞춰야..스트레칭·가벼운 ...  
1083 운동 전에는 절대 이런 음식은 먹으면 안돼요! 불씨 117 2021-07-07
운동 전에는 절대 이런 음식은 먹으면 안돼요! 이승구 입력 2021. 07. 05. 10:01 수정 2021. 07. 05. 16:45   머핀 같은 구운 과자는 금물..설탕·탄수화물에 혈당 '급상승' 우유 등 유제품도 피해야..'유당불내증' 환자라면 운동 방해돼 탄산음료는 몸을 기포...  
1082 인생의 남은 시간 알려면 한쪽 다리로 서 보라 불씨 139 2021-07-08
인생의 남은 시간 알려면 한쪽 다리로 서 보라 김철중 의학전문기자 입력 2021. 06. 16. 23:39 수정 2021. 06. 17. 09:14   [헬스에디터의 건강 노트] 밤샘 근무해도 끄떡 없거나, 높은 산을 타도 지치지 않으면 “체력 좋다”라는 말을 흔히 한다. 체력은 단순...  
1081 여름철 대표과일 수박의 건강 효능 10 불씨 138 2021-07-09
여름철 대표과일 수박의 건강 효능 10 이보현 기자 입력 2021. 06. 15. 16:01   [사진=게티이미지뱅크]여름철을 대표하는 과일 수박. 커다란 수박 하나만 있으면 온 가족이 둘러 앉아 여름의 정취를 만끽할 수 있다. 신선하고 맛있는 수박은 어떻게 알 수 있을...  
1080 모기 물린 데 바르면 좋은 뜻밖의 6가지 불씨 325 2021-07-10
모기 물린 데 바르면 좋은 뜻밖의 6가지 이용재 입력 2019. 04. 01. 13:26 수정 2019. 04. 01. 13:26   [사진=Alexander Penyushkin/shutterstock] 녹양방초가 우거지는 계절, 어느덧 불청객을 걱정해야 할 때다. 벌레다. 지하철과 아파트 엘리베이터엔 벌써 ...  
1079 덜 앉기만 해도, 심장질환 예방에 도움 (연구) 불씨 107 2021-07-11
덜 앉기만 해도, 심장질환 예방에 도움 (연구) 문세영 입력 2021. 07. 09. 17:37 수정 2021. 07. 09. 17:41     [사진=tonefotografia/게티이미지뱅크]포화지방 함량은 낮고 전반적인 영양은 풍부한 식사를 하는 이유 중 하나는 심장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다. ...  
1078 입안 세균 얕보면 암 발생 위험 높인다 불씨 144 2021-07-12
입안 세균 얕보면 암 발생 위험 높인다 정희은 기자 입력 2021. 07. 11. 20:42   [사진=게티이미지뱅크]입안 세균이 치아와 잇몸만 상하게 한다고 생각하면 오산입니다. 대개 잇몸 부위 염증(치은염)에서부터 시작하는 치주 질환은 잇몸이 검붉게 변하고 피가 ...  
1077 무더위에 실외 운동 안전하게 하려면 불씨 107 2021-07-13
무더위에 실외 운동 안전하게 하려면 이보현 기자 입력 2021. 07. 12. 13:37   [사진=게티이미지뱅크]초복이 지나고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됐다. 팬데믹때문에 헬스장 가는 것이 조심스러워 실외 운동을 선택한 이들에게 요즘 날씨는 고역이다. 극심한 더위에...  
1076 식사 후 하면 건강에 '독' 되는 행동 불씨 108 2021-07-14
식사 후 하면 건강에 '독' 되는 행동 김성은 기자 입력 2021. 07. 13. 16:43 수정 2021. 07. 13. 21:22    [사진=게티이미지뱅크]점심 식사 후 아이스 아메리카노 한 잔을 마시는 사람이 많다. 이렇게 습관상 식사 후 꼭 하는 행동들이 있는데, 의외로 건강에...  
1075 MZ세대가 말했다… 닮고 싶지 않은 노년 3, 닮고 싶은 노년 3 불씨 130 2021-07-15
MZ세대가 말했다… 닮고 싶지 않은 노년 3, 닮고 싶은 노년 3 기사입력 2021.07.14. 오전 3:04 최종수정 2021.07.14. 오전 10:50   [당신의 리스트] [20] MZ세대 작가 이주윤의 ‘이렇게 나이 들고 싶지 않다… 이렇게 나이 들고 싶다' 공자 가라사대, 세 사람이 ...  
1074 "더위야, 물렀거라!"..폭염을 물리치는 꿀팁 30가지 불씨 151 2021-07-16
"더위야, 물렀거라!"..폭염을 물리치는 꿀팁 30가지 김영섭 입력 2021. 07. 15. 15:08   [사진=게티이미지뱅크]많은 사람들이 햇빛을 좋아하지만, 숨을 헐떡이게 만드는 뜻밖의 폭염에는 짜증이 날 수밖에 없다. 열대야로 밤새 뒤척이거나, 푹푹 찌는 무더위에...  
1073 일어서다 갑자기 '핑'..여름철 저혈압 주의보 불씨 176 2021-07-17
일어서다 갑자기 '핑'..여름철 저혈압 주의보 임지훈 기자 입력 2021. 07. 16. 07:00   혈관 확장되고 수분은 땀 배출 혈류 약해지면서 혈압 떨어져 7~8월 저혈압 진료 가장 많아 먼저 원인 질환 찾아 치료해야 평소 운동·금주 등으로 예방을   [서울경제] #. ...  
1072 남은 여름 잘 보내려면..주의해야 할 6가지 불씨 109 2021-07-18
남은 여름 잘 보내려면..주의해야 할 6가지 권순일 입력 2021. 07. 17. 19:06     [사진=게티이미지뱅크]앞으로 몇 주간 무더위가 더욱 기승을 부릴 것으로 전망된다. 여름철 더위는 인공구조물이 많은 도시지역에서 더욱 심하다. '바이스닷컴' 등의 자료를 토...  
1071 뚱뚱한 사람, 마른 사람..체형 별 건강관리 법 5 불씨 268 2021-07-19
뚱뚱한 사람, 마른 사람..체형 별 건강관리 법 5 권순일 입력 2021. 04. 04. 09:34   [사진=게티이미지뱅크]체형은 체격에 나타나는 특징으로 분류되는 일정한 부류를 말한다. 이런 체형은 흔히 기질, 성격과 결부가 된다. 체형은 독일의 정신의학자이자 심리...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