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건강과생활

몸 건강을 위해 하지 말아야 할 의료행위 8가지

이기수 입력 2020.05.20. 10:50

 

 

몸 건강을 위해 하지 말아야 할 의료행위 8가지

 

#건강을 위해 꼭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들 8가지 #연세에스의원 대표원장 심영기 박사, 'Do, or Do not 8' 목록 발표

 

[쿠키뉴스] 이기수 기자 = "영국 스튜어트 왕가의 제 3대 왕 찰스 2세는 1660년 왕위에 올랐는데, 기록에 의하면 1685년 2월 아침에 침실에서 면도를 하다가 의식을 잃고 쓰러졌다. 급하게 불려온 주치의는 부지런히 다음과 같은 치료를 했다고 전해진다.

 

왕의 오른팔에서 한 파인트(0.568리터)의 피를 뽑은 다음, 왼쪽 어깨에서 다시 8온스(약 225그램)의 피를 뽑았다. 왕에게 토하는 약을 먹인 후, 설사약을 두 첩 복용시키고 관장을 하였다. 또 왕의 머리카락을 깎았는데 두피에 물집이 생겼으며, 크리스마스로즈 뿌리의 가루를 코에 넣어 재채기를 시켜 뇌를 씻어냈다. 토하는 약은 시간을 두고 반복 투여하였으며, 송진과 비둘기 똥으로 만든 고약을 왕의 양쪽 발에 붙이고, 한 번 더 피를 뽑았다. 사람 두개골 추출액 40방울과 여러 약초들을 섞어 투약하였다….

 

왕(찰스 2세)은 죽었다. 17세기의 의료인이 비둘기 똥까지 사용해 가면서 왕의 명(命)을 재촉한 경우이다.

미국의 초대 대통령이었던 조지 워싱턴. 1799년 12월 어느 날 새벽부터 열이 났고 호흡이 힘들어졌다. 당시의 고열치료는 피를 뽑는 것(방혈: 放血, phlebotomy)이었다. 당시 세계적인 명문 의과대학이었던 영국의 에든버러 의과대학 출신의 의사들까지 불리어 와서 한 일은 조지 워싱턴의 피를 뽑아 버리는 일이었다. 그렇게 네 번에 걸쳐 뽑아 버린 조지 워싱턴의 피의 양은 2.5리터에 달했다. 호흡곤란은 점점 더 심해졌다. 그날이 가기 전, 조지 워싱턴은 사망했다. 18세기 말의 의료인이 미국 건국(建國)의 아버지의 명(命)을 재촉한 경우이다.

 

콜럼버스가 신대륙을 발견하고 돌아온 15세기말 경부터 1940년대에 페니실린이 나올 때까지, 매독(syphilis)은 유럽 사람들의 끈끈한(?) 삶의 동반자였다. 파리시민 중 적어도 3분의1이 매독환자였다는 주장도 있고, 우리가 알만한 예술가 혹은 작가들은 대부분 매독환자였다. 당시 매독의 치료제는 수은(mercury)이었다. 수은을 끓여서 나오는 증기를 마시거나 증기 위에 올라앉아서 항문으로 증기가 들어가도록 했다는데, 환자들은 매독으로 인한 고통과 함께 수은 중독의 고통을 겪어야 했다.

 

노르웨이 오슬로 대학의 피부과 교수였던 Caesar Boeck은 수은 치료가 해롭다는 확신을 가지고 1891년부터 자신의 환자들에게는 수은 치료를 하지 않고 그냥 관찰을 했다. 1400여 명의 조기 매독(early syphilis) 환자들에 관한 그의 기록은 매독의 자연사 연구에 큰 업적이 되었다. 비록 자신의 매독환자들을 당장 치료하지는 못했지만(치료 받지 않은 조기 매독환자가 후기 매독으로 진행하는 경우는 30% 정도이다. 즉 적어도 70%의 환자는 자연치유가 되었다), 19세기 말의 이 의료인은 적어도 환자들에게 ‘해코지’를 하지는 않았다.

 

헝가리 출신의 이그나츠 필립 젬멜바이스는 1846년부터 오스트리아 빈병원 제1산과병동(obstetrical ward)의 조수로 일하고 있었다. 당시 세계 제일의 규모를 자랑하던 빈의 산과 병동은 의과대학생의 실습을 위한 제1병동과 조산부들의 양성을 위한 제2병동으로 나누어져 있었는데, 산욕열(puerperal fever : 분만 후 감염으로 생기는 패혈증)에 의한 산모의 사망률은 두 병동이 판이하게 달랐다. 조산부들이 환자를 돌보는 제2병동의 임산부 사망률은 3% 정도였는데 비하여, 제1병동은 평균 10%를 기록하고 있었다. 산모들은 어떻게 해서든 의사들이 없는 제2병동에 입원하기 위해 젬멜바이스에게 울며불며 매달리기 일쑤였다. 충격을 받은 젬멜바이스는 그 차이가 어디에서 오는 것인지를 면밀히 검토하였고, 결국 부검실에서 실습을 하다가 바로 산과 병동으로 가서 진찰을 하는 학생들의 깨끗하지 않은 손이 산욕열을 옮기기 때문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젬멜바이스는 산과 환자를 진찰할 때에는 누구든 염화칼슘 용액으로 손을 씻도록 하였다. 그의 노력 덕분에 제1산과병동의 사망률은 1.27%까지 감소하였다. 후대의 한 역사가는 그를 ‘의학의 역사를 장식한 멋진 의사들’ 중의 한 명으로 분류하였다.

 

찰스 2세와 조지 워싱턴을 진료한 의료인들도 당대의 기준으로 진료에 최선을 다했다는 점에서 나쁜 사람들은 아니다. 정확한 사실을 몰랐을 뿐이다. 그 당시에 비하면 우리는 많은 것을 알고 있다. 환자를 대할 때 해야 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들에 대한 원칙들과 증거들도 꽤나 많이 가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손 씻기는 우리 환자들에게 ‘해코지’를 하지 않을 수 있는 꽤나 중요한 의료행위이다. 의학의 역사를 장식한 멋진 의료인은 되지 못하더라도 나쁜 사람은 되지 말아야겠다. 초등학교 다닐 때 배우지 않았는가? 알면서 안 하는 것이 가장 나쁜 것이라고. 그래. 손을 잘 씻자. 착하게 살자."

 

최상호 교수 서울아산병원 감염내과

 

서울아산병원이 홈페이지 메디칼칼럼 코너에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이란 제목으로 게시한 감염내과 최상호(사진 위) 교수의 글이다. '손 씻기' 개인위생수칙 준수의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환자들에게 해가 되는 행위를 하지 말자는 다짐이다.

 

기자가 보기에 이는 비단 의료인에게만 해당하는 권면은 아닌 듯하다. 일반인들도 상당 부분 마찬가지일 것이란 생각이 들어서다. 우리도 일상생활에서 꼭 해야 할 것을 안 하고, 하지 말아야 할 것을 했다가 낭패를 겪은 적이 있지 않은가. 꼭 필요한 것, 해야 할 것, 이루어야 할 것은 포기해선 안 된다. 반면 생활에 아무 필요 없는 것, 방해물 같은 것, 피해만 줄 수 있는 것, 개선하기 위해 정리해야 할 낡은 것, 악의 요소, 이런 것들은 가급적 빨리 미련 없이 버려야 이롭다.

 

건강을 위해 피해야 할 의료행위 8가지를 소개한다.

70세를 바라보는 '신중년' 심영기연세에스의원 대표원장이 정리, 발표한 것이다. 앞서 최 교수가 칼럼에서 지적했듯이 의료기술은 계속 진화하고 있다. 시술 당시엔 최선의 수단인 듯 해도 한참 세월이 지나서 나중에 돌이켜보면 엉뚱한 짓을 자초한 경우도 적지 않다는 지적이다. 물론 감염병 예방을 위한 수시로 손 씻기 수칙과 같이 누구든지 꼭 지켜야 할 불변의 법칙들도 있다.

 

심 원장은 연세의대를 졸업하고 의사 생활 전반기는 성형외과 전문의로, 후반기는 림프부종과 하지정맥류, 만성통증 치료 등 통증의학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다음은 40년 여의 임상의료 현장에서 그가 직접 겪고 정리한 건강을 바란다면 절대 해선 안 될 의료행위 목록이다.

 

 

#건강을 위해 하지 말아야 할 의료행위들 

 

1. 성형수술 하지 마라. 특히 이물질 실리콘을 넣는 코, 유방, 힙 수술을 피해야 한다. 반드시 언젠가는 부작용이 생긴다. 만약 이미 수술을 했다면 수술 시효, 즉 수술목적을 달성한 다음에는 실리콘을 몸 속에서 제거하라. 난치, 불치병인 자가면역질환을 일으킨다는 보고가 있다. 미용성형수술을 굳이 하겠다면 쌍꺼풀 수술 정도는 애교로 봐줄 수 있다.

 

2. 절대로 이물주사를 얼굴이나 유방, 음경 등에 맞지 마라. 불법 시술도 문제지만 심각한 이물반응으로 평생 후회하게 될 수도 있다.

 

3. 보톡스, 함부로 맞지 마라. 얼굴주름을 펴기 위해 자주 맞는 주사이지만, 나중에 장기간 반복해서 주사를 맞을 경우 근육이 퇴축된다. 종아리의 알통을 줄일 목적으로도 보톡스 주사는 안 맞는 것이 낫다. 시술 후 하지정맥 순환에 문제가 생기고 근육통 및 하지 부종이 발생한다.

 

4. 허리 수술도 가급적 하지 마라. 급성 디스크(추간판) 탈출로 인해 운동신경이 마비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수술과 같은 공격적인 치료법 선택은 매우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 대신 가급적 보존적 치료, 비수술요법을 선택하라.

 

5. 하지정맥류 제거 치료도 신중히 선택해야 한다. 다리 피부 겉으로 '라면발' 모양으로 힘줄(정맥류)이 이 도드라져 보일 때까지는 치료를 미뤄도 무방하다. 단 이 경우 1년에 한 번 정도 혈류초음파검사를 받으며 경과를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또 하지정맥류 확진을 받기까지 적어도 3군데 정도 각기 다른 병원에서 초음파 진단을 받아보라. 병원마다 진단 결과가 다르게 나올 수 있다.

 

6. 스테로이드 주사 함부로 맞지 마라. 관절통증이 있다고 일명 '뼈주사'로 불리는 스테로이드 주사를 남용하면 부작용이 일어난다. 효과는 빠르지만 반복 주사 시 되레 피부위축, 세포괴사 등 고질병을 얻게 된다

 

7. 진통제 수면제 등 모든 약은 독이라 생각하자. 약이 필요할 때는 반드시 주치의와 상의하라. 혈압 약 당뇨 약 항응고제 등 꼭 필요한 약만 복용하고, 다른 약은 모두 끊는 것이 좋다.

 

연세에스의원 심영기 대표원장(오른쪽)이 요통을 호소하는 한 중년여성의 요추관절에 일명 호아타 전기자극 치료를 하고 있다. 호아타 전기자극 치료는 허릿병을 수술하지 않고 전기에너지를 재충전해주는 방법으로 치료하는 비수술요법이다.

 

8. 알칼리식품으로 에너지를 항상 보충하라. 우리 몸을 알카리성 체질로 만들어주는 음식을 주로 섭취하는 것이 좋다.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은 미토콘드리아다. 우리가 먹는 음식의 대부분은 전기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호아타 요법을 이용해 세포에 부족한 전기에너지를  충전해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elgis@kukinews.com

 

 

 

 

 

출처:   https://news.v.daum.net/v/20200520105028554

조회 수 :
335
등록일 :
2020.06.08
07:46:21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www.hfire.or.kr/17889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sort
1750 가물가물한 기억력..다시 살리는 방법 5 불씨 228 2019-09-05
가물가물한 기억력..다시 살리는 방법 5 권순일 입력 2019.09.04. 09:06   [사진=michaeljung/shutterstock]     고등학교 3학년 때 담임 선생님 이름이 기억나지 않는가. 아니면 어제 저녁 뭘 먹었는지 가물가물한가. 이는 지극히 자연스런 현상이다. 사람들...  
1749 내 나이에 필요한 영양제는 뭘까? 불씨 181 2019-09-06
내 나이에 필요한 영양제는 뭘까? 입력 2019.09.05. 18:07     내 나이에 필요한 영양제는 뭘까? 연령대별 꼭 필요한 영양분을 채워주는 영양제 챙겨드세요! ◆ 성장기인 청소년기는? 종합영양제 몸의 균형 및 성장이 중요한 시기이므로 비타민A·비타민B·비타민...  
1748 몸에 돌 안 생기려면.. 식습관 '이렇게' 유지해야 불씨 211 2019-09-07
몸에 돌 안 생기려면.. 식습관 '이렇게' 유지해야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9.09.05. 11:18   우리 몸에는 돌이 생길 수 있고, 이로 인해 복통을 겪는 경우가 생각보다 흔하다.   대표적인 체내 돌이 '담석'인데, 담즙을 구성하는 성분이 딱딱하게 굳어진...  
1747 갑자기 발생하는 심장마비..의외의 원인 4 불씨 155 2019-09-08
갑자기 발생하는 심장마비..의외의 원인 4 권순일 입력 2019.09.07. 15:15   [사진=Andery Popov/gettyimagesbank]     심장마비의 대표적 원인으로는 비만, 당뇨, 고혈압 등이 있다. 여기에 흡연과 오래 앉아 있는 습관도 심장마비의 위험 인자로 꼽힌다.   ...  
1746 9월 중에 꼭 맛봐야 할 과일, 채소 5 불씨 138 2019-09-09
9월 중에 꼭 맛봐야 할 과일, 채소 5 권순일 입력 2019.09.09. 09:05   [t사진=Dean Drobot/shutterstock]     가을의 초입인 9월은 몸에 좋은 과일과 채소가 많이 나는 시기다. 이와 관련해 '허프포스트'가 소개한 9월의 슈퍼 푸드 5가지와 잘 먹는 방법을 알...  
1745 고향가는 길-건강 챙기기]연로하신 부모님, 숨은 질병 없나 살펴보세요 불씨 160 2019-09-10
고향가는 길-건강 챙기기]연로하신 부모님, 숨은 질병 없나 살펴보세요 임웅재 기자 입력 2019.09.05. 05:57   계단 내려갈때 무릎 아프면 퇴행성 관절염 가능성 높아 손가락 가운데 마디 통증땐 류머티즘 관절염 의심해야 기억력 등 치매여부 살피고 백내장 ...  
1744 "어르신, 의자에서 일어나 3m만 걸어보세요" 불씨 254 2019-09-11
"어르신, 의자에서 일어나 3m만 걸어보세요" 노진섭 의학전문기자 입력 2019.09.10. 15:39   10초 이내면 정상, 그 이상이면 골절·치매 위험성 증가..하루 30분 꾸준히 걷기 필요   (시사저널=노진섭 의학전문기자)   추석에 어르신의 골절 위험을 간단히 살펴...  
1743 집 청소보다 중요한 혈관 청소..지방 쌓여 혈관 막히면 심혈관질환 위험 증가 불씨 184 2019-09-12
집 청소보다 중요한 혈관 청소..지방 쌓여 혈관 막히면 심혈관질환 위험 증가 입력 2019.09.04. 11:12   -지질 많이 쌓이면 혈관 막아 각종 심혈관질환 원인 돼 -저밀도콜로스테롤은 낮을수록, 고밀도콜레스테롤은 많을수록 좋아 -포화·트랜스지방 섭취 줄이고...  
1742 추석 명절, 부모님 눈 건강 체크하세요 불씨 123 2019-09-13
추석 명절, 부모님 눈 건강 체크하세요 정명진 입력 2019.09.12. 11:40   [파이낸셜뉴스] 추석 명절, 가족들이 한자리에 모이면 부모님의 건강을 걱정하는 자녀들이 많다. 노년의 부모님께서 눈이 침침하다 하시면 대부분 단순 노안으로 생각하고 눈에 좋은 영...  
1741 과식하지 말고..건강하게 장수하는 팁 6 불씨 115 2019-09-14
과식하지 말고..건강하게 장수하는 팁 6 권순일 입력 2019.09.13. 13:15   [사진=dolgachov/gettyimagesbank]     흡연과 과도한 음주, 운동 안하기, 과일과 채소 섭취 부족 등 4가지 나쁜 습관은 노화를 12년 앞당긴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  
1740 암을 예방할 수 있는 좋은 생활습관 7 불씨 111 2019-09-15
암을 예방할 수 있는 좋은 생활습관 7 권순일 입력 2019.09.12. 15:15   [사진=JANG HONGYAN/shutterstock]     의술이 발달했다고 해도 암으로 고통 받는 사람들이 끊이지 않는다. 따라서 사람들은 암을 피할 수 있는 모든 것에 관심을 갖게 마련이다. '호울...  
1739 식물성 단백질 먹어야 오래 산다(연구) 불씨 141 2019-09-16
식물성 단백질 먹어야 오래 산다(연구) 이용재 입력 2019.09.05. 15:40   [사진=bigacis/gettyimagebank]     식물성 단백질을 많이 먹어야 오래 산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일본 국립 암 센터, 아자부 대학교, 나라 여자 대학교 연구진은 붉은 고기 대신 ...  
1738 차를 즐기면 뇌 건강 유지에 도움(연구) 불씨 115 2019-09-17
차를 즐기면 뇌 건강 유지에 도움(연구) 권순일 입력 2019.09.16. 07:05   [사진=SeventyFour/gettyimagesbank]     차를 틈틈이 마시면 뇌 건강에 좋을 뿐만 아니라 노화와 관련된 뇌기능 감소를 막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싱가포르 국립대학교 연구진...  
1737 하루 13분만 운동해도 수명 3년 늘어나 불씨 142 2019-09-18
하루 13분만 운동해도 수명 3년 늘어나 권순일 입력 2019.09.17. 07:01     [사진=JV_PHOTO/gettyimagesbank]     하루에 약 13분만 운동을 해도 기대수명이 3년 더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건강 효과를 얻기 위해 체육관에서 몇 시간씩 보내지 않아도...  
1736 근육 줄면 '병'도 잘 걸려.. 고령자 근육 단련법은? 불씨 153 2019-09-19
근육 줄면 '병'도 잘 걸려.. 고령자 근육 단련법은?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9.09.18. 11:18   노인성 근감소증을 예방하려면 스쿼트, 팔굽혀펴기, 바벨을 이용한 운동을 하는 게 좋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나이 들면 근육이 줄기 쉬운데, 여러 합...  
1735 일교차 큰 환절기, 심장엔 어떤 변화 생길까? 불씨 110 2019-09-20
일교차 큰 환절기, 심장엔 어떤 변화 생길까?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9.09.19. 07:09   일교차가 큰 가을철엔 심근경색을 주의해야 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환절기에 접어들면서 일교차가 10도 가까이 벌어지고 있다. 이때는 겨울철과 더불어 심...  
1734 자주 움직여야 '무병장수'.. 직접 장 봐 요리하기·가벼운 체조 좋아요 불씨 147 2019-09-21
자주 움직여야 '무병장수'.. 직접 장 봐 요리하기·가벼운 체조 좋아요 김수진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9.09.20. 09:13   [노년기 신체활동량 늘리기] 고령자 10명 중 8명 '활동 부족'.. 근육 감소·만성질환·노쇠 악순환 좌식행동, 의식적으로 탈피해야 TV 볼 땐...  
1733 [똑똑한 운동 가이드 ③] 근력운동 이틀에 한 번만 하세요 불씨 205 2019-09-22
[똑똑한 운동 가이드 ③] 근력운동 이틀에 한 번만 하세요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9.09.19. 14:45   근력운동을 매일 하면 오히려 근육이 커지지 않을 수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근력을 키우면 몸의 면역력이 높아지고 체력이 좋아지는 등 여러 ...  
1732 찬 공기에 목 '칼칼' '따끔', 증상 빨리 완화하려면.. 불씨 2018 2019-09-23
찬 공기에 목 '칼칼' '따끔', 증상 빨리 완화하려면..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9.09.18. 14:57   환절기 목 건강 관리법   편도선염 등으로 가래가 많이 낄 때는 수시로 물을 마시는 게 도움이 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아침, 저녁기온이 20도 아래...  
1731 [CEO 건강학 82] 수면제와 수면유도제는 달라요 불씨 176 2019-09-24
[CEO 건강학 82] 수면제와 수면유도제는 달라요 한진규 서울스페셜수면의원 원장 입력 2019.09.23. 19:33   수면제와 수면유도제는 완전히 다른 약물이다. 수면제의 부작용을 보완해서 수면 유도 기능만 선택적으로 작용하게 하는 것이 수면유도제다.     국내...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