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건강과생활

"루테인 10년 먹어야 중기 이상 노인성 황반변성에 24% 효과"

권대익 입력 2020.06.23. 05:00 수정 2020.06.23. 06:43 댓글 0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고형준 세브란스병원 안과 교수 인터뷰

고형준 세브란스병원 안과 교수는 “제약사 등에서 루테인 건강기능식품이 황반변성 예방에 도움을 준다고 광고하지만 생각보다 예방 효과가 그리 크지 않다”고 했다. 세브란스병원 제공

황반변성은 눈에서 카메라 필름 역할을 하는 망막의 중심부인 황반(黃斑)이 변성되는 병이다. 물체가 찌그러져 보이고 사물의 중심이 까맣게 보인다. 노화로 인한 노인성 황반변성이 가장 흔하다. 40세 이상 눈질환 유병률 가운데 노인성 황반변성이 13.4%인 것으로 조사됐다(질병관리본부ㆍ대한안과학회). 하지만 1년에 한 번 정도 안저(眼底)검사를 받는 사람은 20%가 채 되지 않을 정도다.

‘망막질환 치료 전문가’ 고형준(55) 세브란스병원 안과 교수를 만나 3대 실명 질환의 하나인 황반변성에 대해 물었다. 고 교수는 “노인성 황반변성 유병률은 40세 이상에서 6.6%, 70세 이상에서는 18%나 된다”며 “40세가 넘으면 1년에 1회 이상, 고령인은 더 자주 망막 검사를 하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황반변성이란 무엇인가.

“우리 눈에서 카메라의 필름에 해당하는 신경세포층을 망막이라고 한다. 망막의 중앙을 황반이라고 한다. 황반은 정밀한 시력의 90% 이상을 담당하는 곳으로 글씨를 볼 때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황반이 변성되면 글자나 사람 얼굴을 제대로 식별하지 못하다가 점점 병이 진행돼 실명하게 된다. 이처럼 황반에 문제가 생기는 병이 바로 황반변성이다.

황반변성이 생기는 원인은 노인성, 근시성, 특발성으로 나뉜다. 나이가 많아져 발병하는 노인성 황반변성이 압도적으로 많고 우리나라를 비롯한 선진국 실명의 가장 큰 원인의 하나다. 노인성 황반변성의 가장 큰 위험인자는 아이러니하게도 장수다. 즉, 오래 살면 살수록 황반변성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 밖에 흡연도 원인으로 꼽힌다. 황반변성의 두 번째 원인으로는 병적 근시에 의한 황반변성이다. 병적 근시란 진행성 근시로 우리나라처럼 공부 경쟁이 치열한 아시아권 나라에서 많이 나타나는데 노인성보다 비교적 젊은 나이에 황반변성이 생기기도 한다. 세 번째로는 극히 드물지만 특별한 이유 없이 나타나는 특발성 황반변성이다. 건강검진을 하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젊은층에게서 주로 발견되는데 예후가 비교적 양호하다.”

바둑판 모양의 암슬러 격자를 이용한 황반변성 증상 확인법. 황반변성 환자가 볼 때(오른쪽)는 정상인이 볼 때(왼쪽)와 달리 사물이 휘거나 찌그러져 보인다.

-황반변성 증상은 무엇인가.

"황반변성이 생기면 글자가 뭉개져 보이거나 직선이 휘어져 보이는 변시증이 나타난다. 변시증은 황반변성의 주증상이지만 이것만으로 황반변성이라고 확진할 수는 없기에 정확한 검사가 필요하다. 황반변성의 90%를 차지하는 건성 황반변성은 별다른 증상이 없거나 중심 시야가 약간 또렷하지 않은 정도로 약한 증상이 나타난다. 건성(dry) 황반변성이 진행되면 부엌이나 욕실 타일, 건물 등의 선이 굽어 보인다. 상태가 더 나빠지면 글자에 공백이 생기거나 중심 부분이 지워진 것처럼 보이지 않게 된다. 이 밖에 시각장애, 빛이 달려오는 듯한 느낌, 매우 빠르게 시야의 중심 부분이 보이지 않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한쪽 눈에 이상이 생겨도 반대쪽 눈을 통해 정상처럼 보일 수 있으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습성(wet) 황반변성은 망막 밑 맥락막에 신생 혈관이 생겨 망막 출혈과 부종을 유발한다. 건성 황반변성은 서서히 진행해 시력 저하를 일으키는 반면, 습성 황반변성은 시력을 급격히 떨어뜨린다.”

-진단과 치료는 어떻게 하나.

“망막은 눈 속 깊은 곳에 있어서 외부 검사만으로는 이상 여부를 파악하기 어렵다. 망막질환은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특수 장비와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다. 산동 안저 검사가 가장 기본적이다. 산동(散瞳)이란 눈 속을 자세히 살펴볼 수 있도록 약물로 동공을 확대하는 것이다. 산동 안저 검사 후 황반변성이 의심되면 형광안저혈관조영검사, 빛간섭단층촬영, 인도시아닌그린혈관조영술 등 정밀한 망막 검사를 진행한다. 검사는 정확한 진단과 함께 황반변성이 건성인지 습성인지 알기 위해서다. 습성은 신생 혈관이 생겨 망막 출혈과 부종이 나타나는 것을 말하는데, 이때 항체 주사를 맞지 않으면 실명에 이르게 된다. 항체 주사는 안구 내에 하고, 노인성 황반변성이라면 첫 해에 7~8번 정도 항체 주사를 한다. 근시성이나 특발성이라면 주사 횟수는 훨씬 줄어든다.”

-황반변성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없나.

“예방법은 없고 조기에 발견해 빨리 치료받는 것이 실명을 막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한쪽 눈에 발병한 환자의 42%가 5년 이내에 다른 쪽 눈에도 발병한다. 따라서 환자는 정기검진을 소홀히 하지 않아야 하며, 주치의의 지시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전반적으로 신체를 건강하게 잘 유지하는 것도 황반변성을 예방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노인성 건성 황반변성이 중기를 넘기면 시중에 넘쳐나고 있는 루테인 건강기능식품이 조금 도움이 될 수 있다. 이 건강기능식품을 10년 정도 복용해야 노인성 건성 황반변성이 습성으로 악화하는 것을 24%가량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Atch Ophthamol.' 2001년 10월)가 나와 생각보다 효과가  없는 편이다. 따라서 제약사나 식품회사 등에서  광고하는 것을 맹신해 일반인이 루테인 건강기능식품을 굳이 돈을 들여 가면서 사 먹을 필요는 없다. 특히 예방 효과가 노인성 황반변성에만 국한되기 때문에 젊은층에서 루테인 건강기능식품을 구매해 복용하는 것은 별효과가 없다. 망막 전문의에게 노인성 건성 황반변성의 중기 이후인지 확인한 뒤 복용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현명한 자세다. 오히려 달걀이나 시금치, 브로콜리 등을 먹는 것이 황반 건강을 지키는 데 더 도움이 될 수 있다.”

 

 

 

 

 

 

 

 

 

 

 

 

 

 

 

 

 

 

 

 

 

 

 

 

 

 

 

 

 

 

 

 

 

 

 

 

 

 

 

 

 

 

 

 

 

 

 

 

 

 

 

 

 

 

 

 

 

 

 

 

 

 

 

 

 

 

 

 

 

 

 

 

 

 

 

 

 

 

 

 

 

 

 

 

 

 

 

 

 

 

 

 

 

 

 

 

 

 

 

 

 

 

 

 

 

 

 

 

 

 

 

 

 

 

 

 

 

 

 

 

 

 

 

 

 

 

 

 

 

 

 

 

 

 

 

 

 

 

 

 

 

 

 

 

 

 

 

 

 

 

 

 

 

 

 

 

 

 

 

 

 

 

 

 

 

 

 

 

 

 

 

 

 

 

 

 

 

 

 

 

 

 

출처:   https://news.v.daum.net/v/20200623050002547

조회 수 :
253
등록일 :
2020.06.24
09:42:21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www.hfire.or.kr/17905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sort 날짜
512 공복에? 식후에?… 영양제 섭취, 시간대가 중요하다 불씨 252 2023-01-09
공복에? 식후에?… 영양제 섭취, 시간대가 중요하다 강수연 기자입력 2023. 1. 5. 05:30     종합비타민은 아침 식후에 섭취하는 것이 좋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새해 건강관리를 위해 영양제 섭취에 관심을 가지게 된 사람이 많다. 그런데 시간대를 고려하지 ...  
511 성생활의 남녀차이 "나이 들어서도 남성이 더 활발"(연구) 불씨 253 2017-05-20
성생활의 남녀차이 "나이 들어서도 남성이 더 활발"(연구)| Daum라이프 성생활의 남녀차이 "나이 들어서도 남성이 더 활발"(연구) 코메디닷컴 | 권오현 | 입력 2017.05.18 20:12         사회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대체로 여성보다는 남성이 더 많은 파트너와 ...  
510 수면 부족 경고하는 증상 6가지 불씨 253 2017-06-23
수면 부족 경고하는 증상 6가지| Daum라이프 수면 부족 경고하는 증상 6가지 코메디닷컴 | 권순일 | 입력 2017.06.23 09:34       건강을 지키는 데 있어서 음식만큼 중요한 것이 수면이다. 만성적으로 수면이 부족하면 고혈압, 비만, 우울증, 호르몬 생산 이...  
509 한국인에게 부족한 대표 영양소 10 ② 불씨 253 2017-07-07
한국인에게 부족한 대표 영양소 10 ②| Daum라이프 한국인에게 부족한 대표 영양소 10 ② SPECIAL | 커버스토리헬스조선 | 이현정 헬스조선 기자 | 입력 2017.07.07 09:08       [헬스조선]PART 2 한국인에게 부족한 영양소 10   칼슘 국민 70%가 적게 섭취   부...  
508 '안구건조증' 완화해주는 식품·눈 마사지 방법 불씨 253 2018-03-05
'안구건조증' 완화해주는 식품·눈 마사지 방법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안구건조증' 완화해주는 식품·눈 마사지 방법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02.26 17:29     안구건조증 증상을 완화하려면, 안토시아닌이 풍부해서 눈의 예민함을 줄여주...  
507 통증별 의심 질환 4가지 불씨 253 2018-03-10
통증별 의심 질환 4가지 통증별 의심 질환 4가지   입력 F 2018.03.07 16:35 수정 2018.03.07 16:35     주로 실내에서 생활하는 현대인들은 운동 부족과 불안정한 자세, 스트레스 등이 겹쳐 등, 목, 어깨 등 관절 부위는 물론 두통 등 다양한 통증을 겪는 경...  
506 다리 튼튼해야 뇌도 튼튼하다 (연구) 불씨 253 2018-06-13
다리 튼튼해야 뇌도 튼튼하다 (연구) | Daum 뉴스 다리 튼튼해야 뇌도 튼튼하다 (연구)   권순일 입력 2018.06.12. 20:05   다리가 튼튼하면 나이가 들어가면서도 뇌 기능을 건강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사람들은 어떻게 해...  
505 보통 35세 이후 노화 시작..운동 좋지만 욕심 버려야 건강해진다 [양종구 기자의 100세 시대 건강법] 불씨 253 2019-05-02
보통 35세 이후 노화 시작..운동 좋지만 욕심 버려야 건강해진다 [양종구 기자의 100세 시대 건강법] 양종구기자 입력 2019.05.01. 15:42 동아일보 DB   최근 권영후 미국 텍사스여자대학교 교수(57·운동과학)를 만났다. 동아일보 2015년 1월24일자 ‘토요일에 ...  
504 [헬린이 PT 안내서] 좋은 스쿼트를 하는 법 불씨 253 2020-05-09
[헬린이 PT 안내서] 좋은 스쿼트를 하는 법 이슈365팀 입력 2020.03.04. 09:02     <12> 보조운동과 함께 배우는 스쿼트 ※ 예뻐지기 위해, 혹은 멋있어지기 위해 헬스장을 찾은 적은 없나요? 아무리 헬스를 해도 별다른 변화가 없어 포기한 적은 없나요? ‘헬린...  
» "루테인 10년 먹어야 중기 이상 노인성 황반변성에 24% 효과" 불씨 253 2020-06-24
"루테인 10년 먹어야 중기 이상 노인성 황반변성에 24% 효과" 권대익 입력 2020.06.23. 05:00 수정 2020.06.23. 06:43 댓글 0개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고형준 세브란스병원 안과 교수 인터뷰 고형준 세...  
502 [리빙포인트] 모기 물린 자리 가려울 땐 불씨 254 2017-07-21
[리빙포인트] 모기 물린 자리 가려울 땐| Daum라이프 [리빙포인트] 모기 물린 자리 가려울 땐 조선일보 | 입력 2017.07.20 03:10     모기의 침 성분인 포름산은 열에 약하다. 찻숟가락을 끓는 물에 몇 초 담갔다가 모기 물린 자리에 잠시 대면 가려움이 덜해...  
501 건강 수명 늘리는 5가지 식습관 불씨 254 2018-10-01
건강 수명 늘리는 5가지 식습관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7.09.01 07:00 | 수정 : 2017.09.05 16:54                     콩을 많이 먹고 음식을 꼭꼭 씹는 식습관이 수명을 늘린다/사진=​헬스조선 DB   건강수명을 늘리려면 평소 식습관을 관리하...  
500 고령자, 단백질 30% 더 필요.. 많이 먹기보다 '생물가' 높은 식품 드세요 불씨 254 2019-03-27
고령자, 단백질 30% 더 필요..., 많이 먹기보다 '생물가' 높은 식품 드세요 김공필 헬스조선기자   입력 2019년 3월 26일 09:04     [100세 시대, 노쇠는 病이다] [6] '근육 연금술사' 단백질 달걀·우유·쇠고기 順 생물가 높아 덜 먹어도 잘 흡수, 콩팥 부담 ...  
499 "어르신, 의자에서 일어나 3m만 걸어보세요" 불씨 254 2019-09-11
"어르신, 의자에서 일어나 3m만 걸어보세요" 노진섭 의학전문기자 입력 2019.09.10. 15:39   10초 이내면 정상, 그 이상이면 골절·치매 위험성 증가..하루 30분 꾸준히 걷기 필요   (시사저널=노진섭 의학전문기자)   추석에 어르신의 골절 위험을 간단히 살펴...  
498 근육 줄면 사망률 4.13배 상승, 노화 늦추는 열쇠는 근력 불씨 254 2020-08-15
근육 줄면 사망률 4.13배 상승, 노화 늦추는 열쇠는 근력 입력 2020.08.15. 00:21     이동국·미우라 현역 활약 비결 전성기 연장하려면 근력 강화를 혈당 억제 등 대사 균형 역할 운동·고단백 음식 섭취 중요 감소하면 척추·관절 질환 취약 나이 들수록 관리 ...  
497 “급체했을 때 어떻게 해야 하나요?” 급체 증상과 대처법 불씨 254 2023-09-07
“급체했을 때 어떻게 해야 하나요?” 급체 증상과 대처법 서애리입력 2023. 9. 5. 20:01       갑자기 소화가 안 되고 명치 부위가 답답해지는 증상. 흔히 체했을 때 나타나는 증상으로 정도에 따라 두통, 식은땀, 복통, 설사, 근육통 등이 동반되기도 한다. 급...  
496 밥 빨리 먹으면 안 되는 이유 불씨 255 2017-08-28
밥 빨리 먹으면 안 되는 이유| Daum라이프 밥 빨리 먹으면 안 되는 이유 코메디닷컴 | 권순일 | 입력 2017.08.27 12:36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행위에서 속도의 변화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다.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뉴질랜드에서 실...  
495 자외선은 벌써 여름..안구 내부까지 침투하는 '자외선A' 경계령 불씨 255 2018-06-21
자외선은 벌써 여름..안구 내부까지 침투하는 '자외선A' 경계령 | Daum 뉴스 자외선은 벌써 여름..안구 내부까지 침투하는 '자외선A' 경계령 김진구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8.05.31. 08:01   자외선 지수가 닷새째 '매우 높음'을 기록했다. 기상청은 오늘(31일...  
494 나도 모르게 '상처' 덧나게 하는 행위 3 불씨 255 2020-07-15
나도 모르게 '상처' 덧나게 하는 행위 3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0.07.14. 14:37 수정 2020.07.14. 14:40 댓글 0개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과도한 항생연고 도포는 상처 회복을 방해할 ...  
493 활동하기 좋은 시기..운동으로 땀 흘리면 좋은 이유 불씨 255 2022-08-29
활동하기 좋은 시기..운동으로 땀 흘리면 좋은 이유 권순일입력 2022.08.28. 13:06수정 2022.08.28. 15:49   약보기 음성으로 듣기 번역 설정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심장, 피부 건강 등에 좋아   운동으로 땀을 흘리면 건강에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