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건강과생활

근육 줄면 사망률 4.13배 상승, 노화 늦추는 열쇠는 근력

입력 2020.08.15. 00:21

 

 

이동국·미우라 현역 활약 비결
전성기 연장하려면 근력 강화를
혈당 억제 등 대사 균형 역할
운동·고단백 음식 섭취 중요
감소하면 척추·관절 질환 취약
나이 들수록 관리 관심 가져야

 


생활 속 한방


최근 일본 프로축구 J리그에서 53세 미우라 카즈요시가 선발로 출장해 세계 스포츠 팬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이날 출전으로 미우라는 J리그 최고령 출장 기록을 경신했다. 우리나라 K리그에는 41세 이동국 선수가 전설을 쓰고 있다. 특히 이동국 선수는 아직도 K리그 최고의 스트라이커로서 전성기 못지않은 기량을 뽐내고 있다. 일반적으로 축구선수는 30대가 넘어가면서 기량 저하를 경험하고, 30대 중반에 이르러서는 서서히 은퇴 수순을 밟는 것을 고려한다면 이들의 활약상은 주목받을 만하다.

 

근육량, 선수 생명 인간 수명 좌우

 

이처럼 다른 선수보다 더 오랜 기간 현역 생활을 이어가는 선수들의 공통점은 바로 ‘자기관리’다. 이들은 꾸준한 웨이트 트레이닝으로 근육을 유지하는 등 쉬지 않고 몸을 단련한다. 인생의 전성기를 연장한 비결은 ‘근육’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나이가 들면 근육은 줄어들기 마련이다. 중년 이후 근육량의 감소가 두드러지지만 일부는 30대부터 시작된다. 운동선수는 항상 몸을 단련하지만, 일반인들은 그렇지 않다. 그런데도 근육을 단련하고 유지하려는 노력을 기울인다면 우리 인생의 전성기도 연장할 수 있다.

 
그래픽=박춘환 기자 park.choonhwan@joongang.co.kr
 

근육은 여러 기능을 하지만 크게 두 가지 기능이 중요하다. 하나는 몸의 에너지를 걷고 달리고 들어 올리는 힘으로 바꿔준다. 주로 움직임이 눈에 보이는 근육이 하는 역할이다. 다른 하나는 뼈대에 있어 자세와 균형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그뿐만 아니라 근육은 혈당 상승을 억제하고 신체의 대사 균형을 잡아준다. 근육을 단련하면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을 뿐더러 폐 주변 근력 또한 강화돼 심폐 기능까지 좋아질 수 있다. 따라서 나이가 들수록 근육 관리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근력 운동의 핵심은 꾸준함이다. 근력 운동은 젊을 때부터 미리 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우리나라 성인 중 근력운동을 하는 인구는 그리 많지 않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가 발표하는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의 근력운동 실천율은 2017년 기준 21.6%에 불과했다. 10년 전인 2007년과 크게 다르지 않은 수치다. 근력운동 실천율이란 1주일 동안 팔굽혀펴기나 윗몸 일으키기 등 근력운동을 2회 이상 한 경우를 말한다. 따라서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근력 운동의 중요성을 깨닫고, 실천하는 자세가 필요한 시점이다.

 

평소 운동량이 많지 않은 사람들은 하체 근력 운동을 하면 좋다. 우리 몸 근육의 절반가량은 허벅지에 모여있다. 하체 운동을 통해 허벅지 근육을 단련한다면 건강을 좌우하는 근육량을 늘리는 데 효과적이다. 또 하체가 튼튼해지면서 균형능력 또한 향상돼 중년 이후 발생할 수 있는 낙상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근력 운동이 익숙하지 않다면 수영이나 실내 자전거 타기 등을 하면 관절 건강을 해치지 않는 선에서 근육을 키우거나 유지할 수 있다.

 

평소 고단백질 음식을 자주 챙겨 먹는 것도 중요하다. 단백질은 근육 생성에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일반 성인의 하루 권장 단백질 섭취량은 몸무게를 기준으로 1㎏당 0.8g이다. 근육의 감소가 빠른 노인은 권장 섭취량보다 많은 양이 필요하므로 1㎏당 1.0~1.2g 정도의 단백질 섭취를 권장한다. 식단에 두부와 콩, 생선, 계란, 우유 등을 포함해 꾸준히 섭취하도록 노력하자.

 

이처럼 나이가 들수록 근력 운동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는 사망률과도 관련 있다. 2016년 서울대 의대 연구진이 국내 65세 이상 남녀 560명을 대상으로 근 감소증과 사망률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근 감소증이 있는 남성은 그렇지 않은 남성보다 사망률이 4.1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육이 감소하면서 노년의 건강을 위협하는 낙상과 다양한 질환에 노출되기 때문이다. 동의보감에서도 ‘약보(藥補)보다 식보(食補)가 낫고, 식보보다 행보(行補)가 낫다’고 했다. 즉 좋은 약을 먹는 것보다 좋은 음식을 먹는 게 낫고, 좋은 음식을 먹는 것보다 걷기와 같은 운동을 하는 게 더 좋다는 것이다.

 

사망률을 차치하더라도 근육의 감소는 일상에 악영향을 끼친다. 노화에 따른 근육 감소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해 보행능력이 떨어지면 경제활동이 어려워지는 것은 물론, 척추·관절 질환에도 취약해진다. 근육이 줄면 뼈를 지지하는 축이 무너져 뼈나 관절에 부담을 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근골격계의 퇴행이 가속화돼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인 관절염에도 쉽게 노출된다.

 

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연구소의 연구에 따르면 골관절염 환자는 미충족 의료를 경험할 확률이 일반인의 약 1.7배다. 미충족 의료란 환자가 의료기관을 찾아 진료를 받아야 하는 상황이지만 다양한 이유로 진료를 받지 못하는 것을 일컫는다. 미충족 의료 경험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기본적으로 관절의 통증과 강직, 부종, 기능 저하가 활동제한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근육 줄면 관절·노인성 질환으로 이어져

 

한방에서는 한방 수기요법인 추나요법으로 관절의 불안정성을 바로잡고, 약침 치료로 통증의 원인인 염증을 완화해 통증을 없앤다. 약침 치료는 발목 주변 근육과 인대도 강화할 수 있어 관절염 치료에 효과적이다. 특히 근골격계 질환 치료에 쓰이는 ‘신바로 약침’은 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연구소의 실험연구를 통해 관절염에 대한 항염증 및 연골보호 효과가 입증되기도 했다. 한약 치료도 중요하다. 척추·관절 질환 치료 한약인 ‘청파전’은 항염증 효과가 뛰어나 관절염 치료에 두루 활용된다. 청파전에 함유된 ‘신바로메틴’ 성분은 신경재생에도 효과가 있어 미국 물질특허를 획득한 바 있다.

 

나이 드는 것을 막을 순 없지만, 젊고 건강하게 살고자 하는 욕구는 누구에게나 있다. 노화 시계를 늦추는 방법을 찾고 있다면 오늘부터 근력 운동을 시작하자. 하지만 꾸준함이 관건이다. 20~30대라면 건강을 저축한다는 생각으로 습관을 들이고, 시니어들은 삶의 필수 요소라고 생각하고 꾸준히 실천하자. 꾸준한 근력 운동은 분명 삶을 건강하게 만들어 줄 것이다.

 
 
김동우 분당자생한방병원 병원장
 

 

 

출처:   https://news.v.daum.net/v/20200815002158358

조회 수 :
254
등록일 :
2020.08.15
09:12:09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www.hfire.or.kr/17956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sort
1772 샤워기로 세수하기, 몸 말리고 로션 바르기.. 피부엔 '최악' 불씨 285 2019-08-16
샤워기로 세수하기, 몸 말리고 로션 바르기.. 피부엔 '최악' 한희준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9.08.14. 15:10   샤워 후 수건을 머리에 두른 채 방치하면 세균이 증식해 피부염이 생길 수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샤워하면서 아무 생각 없이 해왔던 습관...  
1771 사람은 25세까지 성장, 최고 수명 125세 가능 불씨 193 2019-08-17
사람은 25세까지 성장, 최고 수명 125세 가능 박용환 입력 2019.08.12. 07:01     [더,오래] 박용환의 동의보감 건강스쿨 (55)   사람의 기는 어릴 때 아래쪽에 있다가 나이가 들면서 위로 올라간다. 오장육부도 나이에 따라서 기운이 차고 쇠약해지는 시기가 ...  
1770 자꾸 '늙었다' 생각했더니.. 나타난 무서운 결과 <연구> 불씨 132 2019-08-18
자꾸 '늙었다' 생각했더니.. 나타난 무서운 결과 <연구> 홍예지 입력 2019.08.17. 08:50     스스로 '늙었다' 생각.. 인지장애·치매 위험 ↑   [사진=픽사베이] /사진=fnDB   "난 이제 늙었어".. "늙어서 안되나봐" 나이가 들수록 습관적으로 자기 자신을 '늙었...  
1769 "허리 질환, 무리한 근육 강화보다 '바른 자세'가 낫다" 불씨 420 2019-08-19
"허리 질환, 무리한 근육 강화보다 '바른 자세'가 낫다" 김상훈 기자 입력 2019.08.17. 03:01   [베스트 닥터의 베스트 건강법] <11> 정선근 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 교수     정선근 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 교수는 허리 질환이 있을 때 운동보다는 자세를 바로...  
1768 [CEO 건강학 78] 발 건강 비결? 신발부터 확인하라 불씨 129 2019-08-20
[CEO 건강학 78] 발 건강 비결? 신발부터 확인하라 김형석 경희대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 교수 입력 2019.08.19. 19:06     족부질환이 발생하면 한의학에서는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침 치료를 시행한다. 하지만 이런 치료로도 증상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평...  
1767 65세 이상, 틈날 때마다 '드느즈스' 발음 불씨 141 2019-08-21
65세 이상, 틈날 때마다 '드느즈스' 발음 김수진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9.08.20. 09:09   삼킴장애 예방 운동법   고령 인구가 많아지면서, 삼킴장애(연하장애) 환자도 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삼킴장애 환자는 2014년 9726명에 불과했...  
1766 행복한 부부로 만드는 좋은 습관 6가지 불씨 163 2019-08-22
행복한 부부로 만드는 좋은 습관 6가지 권순일 입력 2019.08.20. 09:05   [사진=wavebreakmedia/shutterstock]     관계가 오래 지속되려면 상대에 대한 다정함과 너그러운 태도가 바탕이 돼야 한다. 행복한 가정생활을 영위하는 부부들을 보면 이런 상황을 좀...  
1765 뇌는 어떻게 장기 기억을 보존하나? 불씨 188 2019-08-23
뇌는 어떻게 장기 기억을 보존하나? 사이언스타임즈 2019.08.13. 16:36   장기 기억 유지하는 분자 메커니즘 밝혀 뇌는 감미로운 첫 키스로부터 아기의 탄생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소중한 기억들을 안전하게 보존한다. 이러한 신기한 재주는 어떻게 가능하며, ...  
1764 [질환과 음식] 빨리 먹는 식습관 건강에는 어떤 영향 있나 불씨 177 2019-08-24
[질환과 음식] 빨리 먹는 식습관 건강에는 어떤 영향 있나 정명진 입력 2019.08.17. 12:00   하루 종일 소파에 앉아 감자칩을 먹으며 TV만 보는 사람을 일컬어 '카우치 포테이토'라고 한다.   최근에는 하루 종일 일만 하는 사람을 빗대어 '데스크 포테이토'라...  
1763 얼굴부터 오는 노화, 눈 건강… 무엇을 조심해야 할까? 불씨 130 2019-08-25
얼굴부터 오는 노화, 눈 건강… 무엇을 조심해야 할까? 김용 기자 수정 2019년 8월 20일 07:56     [양산을 활용하면 얼굴 노화를 막고 눈 건강도 지키는데 도움이 된다]   요즘 남성도 양산을 쓰고 다니는 사람이 늘고 있다. 건강을 위해선 바람직한 현상이다....  
1762 가을을 대비한 여름 관리법 불씨 130 2019-08-26
가을을 대비한 여름 관리법 윤정원 기자 입력 2019.08.08. 09:00   "소화기능 및 기력 강화에 도움되는 음식 섭취해야"   【베이비뉴스 윤정원 기자】   덥고 습한 날씨가 계속되고 있어 아직 가을이라는 단어가 이른 느낌이지만 절기상으로는 가을의 시작에 ...  
1761 [Health Journal] 이유없이 심장이 펄떡! 부정맥 위험신호입니다 불씨 647 2019-08-27
[Health Journal] 이유없이 심장이 펄떡! 부정맥 위험신호입니다 이병문 입력 2019.08.26. 04:03   건강 기습하는 '부정맥' 환절기 온도변화, 혈류량 바뀌며 맥박수 상승..돌연사 위험까지 분당 100회 넘거나 60회 미만 심장박동 이상 땐 검사받아야 스트레스·...  
1760 [소소한 건강 상식] 근력 키우는 운동 매일 하면 안 좋은 이유 불씨 164 2019-08-28
[소소한 건강 상식] 근력 키우는 운동 매일 하면 안 좋은 이유 김수진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9.08.27. 09:11   운동은 무조건 매일 해야 좋을까? 그렇지 않다. 근육을 키우는 게 목적이라면 '이틀에 한 번'이 좋다.     상계백병원 재활의학과 박용범 교수는 ...  
1759 심장에서 만들어진 '피떡', 노인 腦 막는다 불씨 149 2019-08-29
심장에서 만들어진 '피떡', 노인 腦 막는다 이도경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9.08.28. 08:00   노인 심방세동 주의보   자영업자 이모(80)씨는 얼마전 소스라치는 경험을 했다. 아침에 잠자리에서 일어나 말을 하려는데 말이 입 밖으로 잘 나오지 않고 오른쪽 팔...  
1758 정신 질환도 미리 예방하세요.. 연령대별 마음 관리법 불씨 137 2019-08-30
정신 질환도 미리 예방하세요.. 연령대별 마음 관리법 이도경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9.08.28. 15:52   마음의 병이 안 생기게 하려면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처럼 마음도 꾸준히 관리해야 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건강한 삶을 위해 매일 꾸준히 신체 운...  
1757 사망률 낮추는 단백질 황금비율 '식물성2:동물성1' 불씨 311 2019-08-31
사망률 낮추는 단백질 황금비율 '식물성2:동물성1' 유대형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9.08.30. 09:11   [단백질 올바른 섭취법] 동물성 위주, 癌·질병 위험 높여.. 4%만 대체해도 사망률 34% '뚝' 식물성만으론 필수 9종 보충 안 돼 콩 등 채소는 익혀 소화율 높...  
1756 지금 움직이고 있나요? 불씨 131 2019-09-01
지금 움직이고 있나요? 장래혁 입력 2019.08.30. 13:42   작년 이맘때 여든을 넘긴 졸업생 한 분이 감정코칭 자격을 취득해 한 경로당에서 후배(?)들을 위해 강사로 데뷔했을 때이다. 강의를 마치고 “나이가 들면 움직이는 것부터가 감정의 충돌이다”란 나눔을...  
1755 건강해지고 싶다면.. 일주일에 딱 2시간 이렇게 <연구> 불씨 128 2019-09-02
건강해지고 싶다면.. 일주일에 딱 2시간 이렇게 <연구> 홍예지 입력 2019.08.30. 13:39   한 번에 길게, 짧게 여러 번도 괜찮다 [사진=픽사베이] /사진=fnDB     [파이낸셜뉴스] 일주일에 한 번, 자연 속에서 2시간만 있어도 건강 증진과 웰빙에 크게 도움이 ...  
1754 65세 이상 노인, 약 삼킬 때 질식 사고 주의 불씨 341 2019-09-03
65세 이상 노인, 약 삼킬 때 질식 사고 주의 이도경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9.08.26. 08:20   안전한 약 복용법   노인은 약을 삼킬 때 질식 우려가 있으니 더욱 조심해야 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노인들은 비교적 젊은 사람들보다 약 복용 시 질식 사고...  
1753 [오늘의 건강] 눈 뻑뻑할 때 눈알 씻으면 좋을까? 불씨 225 2019-09-04
[오늘의 건강] 눈 뻑뻑할 때 눈알 씻으면 좋을까? 이지원 입력 2019.09.04. 06:01   사진=shutterstock     우산 쓰고 나서야겠다. 남해안은 오전까지, 중부지방은 아침부터 모레까지 세찬 비 내린다. 아침 최저 19~23도, 낮 최고 24~28도.   ☞공기와 자외선=...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