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건강과생활

운동부터 먹는 것까지..정신건강, 행복감 높이는 방법

권순일 입력 2021. 11. 05. 07:46

 

 

[권순일의 헬스리서치]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정신건강은 우리가 알고 있는 것보다 전반적인 건강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 스트레스를 받거나 화가 나거나 슬플 때 몸 역시 고통을 겪는다. 이로 인해 소화기 문제, 두통, 요통 등 다른 많은 신체적인 증상이 나타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매일 행복감을 높이고 정신건강 상태를 좋게 유지하기를 원하지만 이를 실현하는데 종종 무력감을 느낄 수 있다. 불행하게도 행복감을 얻기 위해 약에 의존하기도 한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미국의 경우 성인 3500여만 명이 항우울제를 복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약물만으로는 사람의 기분이 크게 나아지지 않지만, 이와 함께 심리치료와 생활방식 변화를 병행하면 얻는 효과에 대해 연구가 많이 이뤄지고 있다.

이런 연구 결과에 따르면, 심리치료와 습관 개선을 결합한 약물치료가 우울증 및 기분 개선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약의 도움 없이 기분 전환을 위해 할 수 있는 것들이 있다"고 말한다.

그 첫 번째가 운동이다. 전문가들은 "몸이 강하다고 느낄 때 정신도 강해졌다는 것을 느낀다"고 말한다. 이 말을 뒷받침하는 여러 연구들이 있다. 정기적인 운동이 기분을 개선하고 불안감을 감소시켰다는 것이다.

본질적으로 운동은 뇌 화학물질이 올바르게 작동하도록 돕는다. 이런 화학물질이 제대로 작용하면 건강과 행복에 관한 많은 것들이 향상된다. 이와 관련해 운동은 정신건강에 매우 좋기 때문에 항우울제 만큼 효과가 있다는 여러 연구 결과가 있다.

많은 전문가들은 "적어도 45분간의 운동을 일주일에 5번 정도 하라"고 권장한다. 이렇게 운동을 하면 기분이 좋아지고, 불안감이 줄어들고, 자신감이 올라가고, 부정적인 생각과 걱정이 줄어들고, 수면이 개선된다.

또한 운동은 최고의 노화 방지 비법 중 하나다. 운동을 할 때 몸이 더 효과적으로 산소를 공급받아 노화의 징후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둘째로는 교류를 통해 사회적 지지를 얻는 것이다. 어떤 사람을 둘러싸고 있는 중요한 타인에게서 얻는 여러 가지 형태의 원조를 사회적 지지라고 한다.

사회적 지원의 근본적 체제는 가족, 친구, 이웃 등의 자연발생적으로 존재하는 지원체제, 자원봉사집단 등의 의도적으로 형성된 지원체제, 전문기관에 배치되어 있는 전문가 등의 사회 제도화되어져 있는 지원체제가 포함된다.

전문가들은 "사회적 지지를 얻는 것은 건강과 장수의 가장 좋은 예측 변수 중 하나"라며 "자원봉사는 과도한 걱정에 사로잡혀 있는 머리속 생각에서 벗어나 새로운 친구를 사귀고 사회적 지지를 얻을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고 말한다.

셋째는 자신만의 사고 오류에서 벗어나라는 것이다. 도움이 되지 않는 사고방식이라고도 할 수 있는 사고 오류는 분노, 슬픔, 불안, 좌절, 낮은 자존감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전문가들은 "이런 사고 오류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불안한 생각을 점점 확대해 비극적 결론은 생각하는 사고방식이나, 특정 틀에 맞춰 생각하는 그리고 흑백논리에 기반을 둔 이분법적 사고, 자책하는 습관 등을 버려야 한다"고 지적한다.

넷째로는 잠을 잘 자는 것이다. 뇌는 잠을 필요로 한다. 자는 동안 뇌는 재생되고 행복감을 불러오는 화학물질로 채워지기 때문이다.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하면 정신건강 문제를 일으키거나 기존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다.

다섯째로는 '행복하게 하는' 음식을 먹는 것이다. 기분을 좋게 하거나 기분을 안정시킬 뿐만 아니라 건강에도 도움이 되는 식품들이 있다.

과학적 연구를 통해 밝혀진 이런 음식에는 바나나, 베리류, 퀴노아, 굴, 다크 초콜릿, 연어, 강황, 녹차, 사과, 시금치, 버섯, 커피, 콩류, 호두, 달걀이 있다. 우선 바나나의 경우 칼륨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기분을 조절하는데 도움이 되는 화학물질인 트립토판을 함유하고 있다.

베리류에는 기분을 안정시키는 약물에 들어있는 발프로산과 비슷한 성분이 들어있다. 또 안토시아니딘 플라보노이드가 들어있어 염증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염증은 우울증 발생률을 높이는 것과 연관이 있다.

퀴노아에는 항우울 효과가 있는 케르세틴이라는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들어있다. 요즘 제철을 맞고 있는 굴에는 아연이 풍부하다. 아연은 마음을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어 몸속 아연 수치가 낮으면 불안증 위험이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다크 초콜릿에는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을 감소시키는 각종 항산화제가 풍부하며 연어에는 오메가-3 지방산이 많아 기분을 개선하고, 우울증을 퇴치하는데 좋다. 카레요리에 쓰이는 강황에는 커큐민이 들어있는데 이 성분은 기분을 향상시키고, 우울증을 막는 데 도움이 된다.

녹차를 하루에 5잔 이상 마시는 사람은 정신적 스트레스가 낮으며, 사과를 많이 먹으면 진정 효과가 있고, 에너지가 넘치며 전반적인 행복감이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시금치에는 우울증을 완화하고, 피로감을 줄이는 데 좋은 엽산이 풍부하다.

버섯에는 비타민D가 풍부해 기분 저하와 우울증을 예방하는데 좋으며, 커피를 즐기는 사람은 우울증 수준이 낮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마그네슘이 많이 든 콩류와 각종 항산화제와 비타민, 미네랄을 함유한 호두, 기억력을 증강시키는 콜린 성분이 들어있는 달걀도 행복감을 주는 식품으로 꼽힌다.

권순일 기자 (kstt77@kormedi.com)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출처:   https://news.v.daum.net/v/20211105074636637

조회 수 :
129
등록일 :
2021.11.06
07:33:28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www.hfire.or.kr/309696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sort
2082 건강한 노후 좌우하는 ‘노쇠’…천연 치료제는 ‘비타민D’ 불씨 207 2018-09-24
건강한 노후 좌우하는 ‘노쇠’…천연 치료제는 ‘비타민D’ 김진구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09.18 09:56 비타민D가 노쇠를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사진=헬스조선DB   노쇠는 건강한 노후를 결정하는 데 어지간한 질병보다 큰 영향을 ...  
2081 면역 일깨우고 호르몬 균형 잡는 식단 규칙 10가지 불씨 545 2018-09-25
면역 일깨우고 호르몬 균형 잡는 식단 규칙 10가지 기사입력 2018-09-24 07:01 채식위주의 식단. 식단의 채식 비중을 50~60%로 하고 해초류를 많이 먹어야 한다. 김성룡 기자     [더,오래] 박용환의 동의보감 건강스쿨(32)   혀와 뇌에서 느끼는 맛과 행복이 ...  
2080 폐렴, 호흡 곤란...위산 역류가 유발하는 뜻밖의 증상 6 불씨 854 2018-09-26
폐렴, 호흡 곤란...위산 역류가 유발하는 뜻밖의 증상 6   기사입력 2018-09-20 15:23 위산 역류는 두통이나 복통처럼 누구나 한 번쯤 경험하는 흔한 현상이다. 위산이 목구멍을 타고 올라오면서 가슴이 답답하고 쓰라린 증상이 나타난다. 과식이나 과음 후 나...  
2079 60대 이상이 공공도서관에서 가장 많이 대출한 도서는 무엇? 불씨 245 2018-09-27
60대 이상이 공공도서관에서 가장 많이 대출한 도서는 무엇?   파이낸셜뉴스 입력 : 2018.09.18 11:33 수정 : 2018.09.18 11:33 백년을 살아보니   60대 이상 이용자 대상 인기 대출도서 상위 10권 (2015.1~2018.8)   실버세대, ‘삶과 인생’ 주제의 교양인문학...  
2078 누구나 불안할 수 있지만, 누구든 극복할 수 있습니다 불씨 259 2018-09-28
"누구나 불안할 수 있지만, 누구든 극복할 수 있습니다"   취재 한희준 헬스조선 기자 사진 강남차병원 제공     “ 불안하다”고 호소하는 사람이 많다.  단순히 불안한 기분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을 하기 힘든 ‘불안장애’. 불안장애 명의 강남차병...  
2077 남들은 모르는 장수하는 사람의 특징 7 불씨 169 2018-09-29
남들은 모르는 장수하는 사람의 특징 7   입력 F 2018.09.24 09:03 수정 2018.09.24 09:04                                     장수의 비결은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유전자에 있는 것이 아니라 평소 생활 방식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보스턴 대학교 의...  
2076 항상 아픈사람이 버리지 못하는 생활습관 5 불씨 197 2018-09-30
항상 아픈사람이 버리지 못하는 생활습관 5   권순일기자  수정 2018년 9월 29일     육체뿐만 아니라 정신 건강을 위해서는 식습관을 개선하는 한편 나쁜 습관을 끊어야 한다. 좋지 않은 습관은 정크 푸드나 단 음식을 많이 먹는 것만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  
2075 건강 수명 늘리는 5가지 식습관 불씨 254 2018-10-01
건강 수명 늘리는 5가지 식습관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7.09.01 07:00 | 수정 : 2017.09.05 16:54                     콩을 많이 먹고 음식을 꼭꼭 씹는 식습관이 수명을 늘린다/사진=​헬스조선 DB   건강수명을 늘리려면 평소 식습관을 관리하...  
2074 단백질, 나는 적절히 먹고 있을까? 답은 혈액검사지에 있다 불씨 463 2018-10-02
단백질, 나는 적절히 먹고 있을까? 답은 혈액검사지에 있다 김진구 헬스조선 입력 : 2018.07.20 05:47   간단한 혈액 검사로 측정 가능, 알부민 수치 정상 범위 '3.5~5.2' 4.2 이상으로 넉넉히 먹어야 건강… 간·신장질환자는 측정 불확실   서울 송파구에 사는...  
2073 [김광일 교수의 늙어도 늙지 않는 법] 늘 움직이고, 잘 먹고, 병원과 친해지세요 불씨 462 2018-10-03
[김광일 교수의 늙어도 늙지 않는 법]  늘 움직이고, 잘 먹고, 병원과 친해지세요   김광일 분당서울대병원 노인의료센터장 입력 : 2018.10.02 09:23   모든 노인이 노쇠를 겪는 게 아니다. 아무리 나이가 많아도 노쇠하지 않을 수 있고, 누구든 노년의 삶을 ...  
2072 입안에 염증 자주 생길 때 대처법 5 불씨 405 2018-10-04
입안에 염증 자주 생길 때 대처법 5 권순일 입력 2018.10.03 12:32 수정 2018.10.03 12:38   [사진=George Rudy/shutterstock]     입안 조직에 생기는 염증 즉, 구내염이 생기면 즐겨 먹던 매운 음식을 포기해야 하고 양치질 할 때도 조심해야 한다. 혀나 잇...  
2071 아침밥, 하루 세끼 중 가장 중요한 이유 4 불씨 183 2018-10-05
아침밥, 하루 세끼 중 가장 중요한 이유 4   문세영 기자 수정 2018년 9월 29일     아침 식사를 거르면 건강상 얻을 수 있는 여러 혜택을 놓치게 된다. 하루 식사 중 가장 중요한 끼니이기 때문이다.   질병관리본부의 2015년 자료에 의하면 국내 성인 인구 4...  
2070 겨우내 쓸 비타민D, 10월에 저축하세요 불씨 166 2018-10-06
겨우내 쓸 비타민D, 10월에 저축하세요 김수진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10.05 09:05   비타민D는 면역세포 생산을 도와 암을 예방하고, 칼슘 농도를 조절해 뼈를 튼튼하게 만든다. 부족하면 골다공증·대장암·유방암 위험이 커진다. 비타민D는 사계절 부족하...  
2069 고령사회 '건강한 노년'에 필요한 세 가지는? 불씨 245 2018-10-07
고령사회 '건강한 노년'에 필요한 세 가지는?   전미옥 기자입력 : 2018.10.02 02:00:00 | 수정 : 2018.10.01 21:56:36       바야흐로 백세시대, 요즘 사람들은 예전보다 더 오래 산다. 우리나라는 이미 지난해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14% 이상인 고령사회에 ...  
2068 내 뇌는 몇 살일까? 두뇌 나이 측정하기 불씨 217 2018-10-08
내 뇌는 몇 살일까? 두뇌 나이 측정하기   김수진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10.05 11:02    실제 나이보다 젊어보이는 동안이 있는 것처럼, 두뇌도 젊은 사람이 있다.​/클립아트코리아   실제 나이보다 젊어보이는 동안이 있는 것처럼, 두뇌도 젊은 사람이 ...  
2067 '小食' 하고 운동하는 어르신 '치매 걱정' 잊어버리고 산다 불씨 153 2018-10-09
'小食' 하고 운동하는 어르신 '치매 걱정' 잊어버리고 산다   기사입력 2018-10-02 11:19   10월2일은 ‘노인의 날 ’  65세이상 10%가 치매    비만관리·뇌운동이 최선의 예방책  매년 10월 2일은 ‘노인의 날’이다. 노인이 되면 노화 현상 탓에 신체적ㆍ정신적...  
2066 "우리나라 노인들, 단백질 너무 적게 먹는다“ 불씨 199 2018-10-10
"우리나라 노인들, 단백질 너무 적게 먹는다“ 지나치게 높은 탄수화물 의존도 74%   노진섭 의학전문기자 ㅣ no@sisajournal.com | 승인 2018.10.09(화) 17:00:00     Unslpash     우리나라 노인은 탄수화물 섭취가 지나치게 많은 것으로 지적됐다. 육류 섭취...  
2065 늙어가는 뇌, 총총하게 만드는 방법 6 불씨 180 2018-10-11
늙어가는 뇌, 총총하게 만드는 방법 6 권순일 입력 2018.09.26. 14:58 인간을 다른 동물과 차별화시키는 것이 바로 두뇌다. 연구에 따르면, 지능은 유전적으로만 결정되는 게 아니며, 뇌는 끊임없이 진화하기 때문에 두뇌를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계속 수정되...  
2064 가을, 타지 말고 걷자..10월 걷기여행길 7선 불씨 204 2018-10-12
가을, 타지 말고 걷자..10월 걷기여행길 7선 입력 2018.09.28. 08:48   우울감→행복감 호르몬 대반전 문체부-관광公 은행-단풍 걷기 추천 아산 은행나무, 양평 물소리, 외씨버선 [헤럴드경제=함영훈 기자] ‘가을을 탄다’는 계절성 우울감은 일조량 감소로 인해...  
2063 뒤로 걷기의 놀라운 효능… 性 기능 강화까지? 불씨 594 2018-10-13
뒤로 걷기의 놀라운 효능… 性 기능 강화까지?   한희준 헬스조선 기자/ 정선유헬스조선 인턴기자 입력 : 2018.10.04 08:00  2018.10.04 08:00    뒤로 걷기는 남성 성 기능을 개선하고 퇴행성 관절염 환자의 통증을 완화한다./클립아트코리아    선선한 날씨에...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