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건강과생활

[헬스 프리즘] 건강도 자산 관리처럼 하면 된다

권대익 입력 2021. 12. 05. 17:50

 

 

이경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면을 기름에 튀긴 라면 등 가공식품과 술, 담배, 설탕 등이 노화를 촉진한다. 게티이미지뱅크

돈을 모으려면 과소비와 낭비를 줄여야 하는 것처럼 노화를 막으려면 신진대사 낭비를 줄여야 한다.

건강 관리를 돈 낭비와 비교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일까. 몸이 하지 않아도 되는 신진대사를 함으로써 세포 노화를 촉진하는 것이 낭비다. 즉, 과도한 염증 반응이 생겨 이를 해결하려고 세포가 일을 많이 할수록 노화는 촉진된다. 염증 반응과 노화를 촉진하는 독성 물질을 멀리하는 것이 신진대사 낭비를 막는 길이다.

세포에 독으로 작용해 노화를 촉진하는 물질은 4가지가 있다. 우선, 담배다. 담배를 피우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노화가 10~15년 일찍 시작된다. 노화 정도를 나타내는 텔로미어 연구에서 이를 잘 나타내준다.

흡연하면 얼굴 피부가 푸석푸석하고 주름이 많아지는 것 같은 단순한 피부 노화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이보다 더 치명적인 것은 몸속 주요 장기의 노화다. 특히 혈관 노화는 심장 질환ㆍ암ㆍ뇌졸중ㆍ치매와 직결된다.

둘째, 술이다. 술을 마시면 혈관 건강이 좋아진다는 연구도 있다고 여길 것이다. 그러나 이런 연구를 살펴보면 대부분 술을 마시지 않는 사람을 기준으로 적당히 마시는 사람과 많이 마시는 사람의 심장 질환 발생 관계를 알아본 연구이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오류가 있다. 비교 기준이 되는 비음주자 그룹에는 몸이 좋지 않아 금주하는 사람이 포함돼 있다는 점이다.

셋째, 당 독성(glucotoxicity)이다. 혈관이 핏속 설탕(혈당)으로 걸쭉해지면 면역 체계는 비상 사태가 발생한다. 혈관 벽에는 무수한 염증 반응이 생기고 이로 인해 동맥경화가 촉진된다.

당 독성 유발 요인은 무엇일까. 가장 큰 요인은 술이고, 탄산음료ㆍ스포츠 음료ㆍ과일 주스 같은 가당 음료가 뒤를 잇는다. 밀가루ㆍ쌀가루로 만든 가공식품도 해당된다. 짠 음식도 식후 혈당 수치를 높이고 염증을 유발한다. 나도 모르게 짜게 먹는 것은 대부분 국물이다. 맛있는 국물은 뜨거워서 모를 뿐이다.

넷째, 지질 독성(lipotoxicity)이다. 지질 성분 중에서 트랜스 지방이 가장 심하게 독성을 유발한다. 맛있는 가공식품은 대부분 트랜스 지방이 어느 정도 들어 있다. 바삭바삭한 맛은 대부분 트랜스 지방 때문이라고 보면 된다. 영양 성분에는 트랜스 지방이 0g으로 표기될 수 있다. 그런데 트랜스 지방 함량이 0.2g 미만이면 0g으로 표기할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하자.

세계보건기구(WHO)는 2020년 보고서에서 트랜스 지방으로 인한 관상동맥 질환 사망자가 많은 상위 15개국 중에서 한국이 조치가 필요한 11개국에 속하는 것으로 발표했다.

빵ㆍ라면ㆍ치킨ㆍ감자튀김 등이 지질 독성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음식이다. ‘빵ㆍ라면은 밀가루 아닌가?’라고 고개를 갸웃할 수 있지만 맛있는 빵은 마가린ㆍ쇼트닝 같은 트랜스 지방이 포함돼 있다. 라면은 면을 기름에 튀긴 유탕면이다.

노화를 촉진하는 이들 4가지를 진료실에 오는 환자들에게 말하면 이를 4가지를 피하지 못하는 것을 후회한다. 반면 건강한 사람들은 이에 별 관심이 없다.

이솝 우화에 나오는 개미와 베짱이를 생각해보자. 베짱이처럼 여름을 짜릿하게 보내면 겨울은 고통스러울 수밖에 없다. 이솝 우화에서는 아름답게도 추운 겨울날 개미가 베짱이를 자신의 집으로 초대해 따뜻한 식사를 제공한다. 하지만 기억하라. 우리 겨울은 그렇게 짧지도 않고 도와줄 이는 더더욱 없다는 것을.

이경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dkwon@hankookilbo.com

ⓒ한국일보 www.hankookilbo.com

 

출처:   https://news.v.daum.net/v/20211205175003873

조회 수 :
116
등록일 :
2021.12.07
07:24:09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www.hfire.or.kr/309716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sort 날짜
2272 가을철 운동하다 '악!'..근육·관절 부상 주의보 불씨 192 2019-11-07
가을철 운동하다 '악!'..근육·관절 부상 주의보 노진섭 의학전문기자 입력 2019.11.06. 14:01     의사들이 경고하는 무릎·골반·어깨·팔꿈치 부상 예방 포인트   (시사저널=노진섭 의학전문기자)   가을은 운동하기 좋은 계절이다. 그러나 잘못된 자세와 무리...  
2271 "중국이냐 미국이냐" 선택 기로에 선 북한 불씨 192 2018-05-08
"중국이냐 미국이냐" 선택 기로에 선 북한 | Daum 뉴스  ,  동아일보 & donga.com   "중국이냐 미국이냐" 선택 기로에 선 북한 입력 2018.05.06. 14:29 수정 2018.05.06. 20:11댓글 870개SNS 공유하기   [주간동아] 북한이 공개한 장거리미사일. 이 중 미...  
2270 위장에 좋은 먹을거리 8 불씨 192 2018-04-17
위장에 좋은 먹을거리 8 위장에 좋은 먹을거리 8   입력 F 2018.04.04 08:37 수정 2018.04.04 08:37     위장이 튼튼해 음식물 소화를 잘 시켜야 건강하게 살 수 있다. 위와 장을 통해 음식물 흡수가 잘 이뤄져야 인체의 면역 체계와 신경 시스템 등도 원활하...  
2269 [카드뉴스] 소변 줄기 약해진 男 '전립선' 튼튼하게 만드는 방법 불씨 192 2018-03-16
[카드뉴스] 소변 줄기 약해진 男 '전립선' 튼튼하게 만드는 방법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카드뉴스] 소변 줄기 약해진 男 '전립선' 튼튼하게 만드는 방법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PrevNext 입력 : 2018.03.15 09:01   01 50세 이상 남성 대부분 전립...  
2268 눈 건강 지키는 좋은 습관 4 불씨 192 2017-11-10
눈 건강 지키는 좋은 습관 4 눈 건강 지키는 좋은 습관 4   입력 F 2017.11.09 16:40 수정 2017.11.09 16:40     컴퓨터, 스마트폰, TV 등 각종 영상 장치와 많은 시간을 보내는 현대인들은 눈의 피로와 안구건조증 등 각종 안질환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다. 여...  
2267 귤 먹은 뒤 껍데기, 발뒤꿈치에 문지르라고? 불씨 192 2017-05-11
귤 먹은 뒤 껍데기, 발뒤꿈치에 문지르라고?| Daum라이프 귤 먹은 뒤 껍데기, 발뒤꿈치에 문지르라고? 헬스조선 |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 입력 2017.05.10 16:24     발 뒤꿈치 각질을 제거하기 위해 흔히 물에 불려 벗겨내거나 손톱깎이로 조금씩 잘라내는 ...  
2266 밥 먹고 바로 과일 먹지 마세요!”…식후 장 망치는 습관은? 불씨 191 2024-03-06
“밥 먹고 바로 과일 먹지 마세요!”…식후 장 망치는 습관은? 권순일입력 2024. 2. 29. 10:05수정 2024. 2. 29. 10:35         물 벌컥벌컥 마시거나 담배 피우면 소화 건강 해쳐   식사 직후 당분이 많은 과일을 먹으면 혈당 상승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사진=...  
2265 혈액·소변검사로 무엇을 알 수 있을까?...건강검진 결과표 제대로 읽는 법 불씨 191 2023-08-21
혈액·소변검사로 무엇을 알 수 있을까?...건강검진 결과표 제대로 읽는 법 조수완입력 2023. 8. 18. 15:01       국가에서 지원하는 국가건강검진은 일반건강검진, 암검진, 영유아 건강검진으로 구분되는데, 국민 대다수가 보편적으로 받는 검사가 바로 일반건...  
2264 겨울철 샤워 시 주의해야 할 점 4 불씨 191 2023-01-16
겨울철 샤워 시 주의해야 할 점 4 권순일입력 2018. 12. 23. 10:54       [사진=TORWAISTUDIO/shutterstock]보통 하루에 10~20분은 샤워를 하는데 쓴다. 그런데 잘못된 방식으로 샤워하면 자원과 시간을 낭비할 뿐만 아니라 건강에 해가 되기도 한다. 이와 관...  
2263 건강 수명 늘리려면 소금·단백질·건강식품 적절히 먹어야 불씨 191 2022-08-09
건강 수명 늘리려면 소금·단백질·건강식품 적절히 먹어야 권대익 입력 2022. 08. 07. 18:20 댓글 51개     [헬스 프리즘] 김성권 서울대 명예교수(서울K내과 원장) 게티이미지뱅크얼마 전 발표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보건 통계 2022’에 따르면 한국인의 ...  
2262 몸 망치는 '잘못된 자세' 5가지 불씨 191 2022-05-15
몸 망치는 '잘못된 자세' 5가지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2. 05. 13. 14:14 수정 2022. 05. 13. 14:18   다리 꼬기 자세는 골반과 근육을 비뚤어지게 할 수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우리가 자주 하는 자세 중에는 건강에 해로운 것들이 많다. 특정 자...  
2261 불규칙한 심장 박동 유발하는 생활습관 11가지(연구) 불씨 191 2021-07-03
불규칙한 심장 박동 유발하는 생활습관 11가지(연구) 김용 입력 2019. 04. 02. 16:13     [사진=MDGRPHCS/shutterstock]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답답하고, 심하면 어지럽고 숨이 차는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 이는 불규칙한 심장박동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2260 [김용의 헬스앤] 약골이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경우 불씨 191 2021-05-29
[김용의 헬스앤] 약골이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경우 김용 입력 2021. 04. 27. 11:19   [사진=게티이미지뱅크]102세(1920년생) 철학자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는 "어릴 때 몸이 약해 어머니가 늘 걱정하셨다"고 회고했다. 잔병치레도 잦아 장수(長壽)와는 거리가 ...  
2259 손·발·골반의 '작은 근육' 늘려야 건강 수명 ↑ 불씨 191 2019-10-13
손·발·골반의 '작은 근육' 늘려야 건강 수명 ↑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9.10.01. 14:32     몸의 큰 근육뿐 아니라 손, 발, 배뇨 근육 등 작은 근육을 단련해야 삶의 질을 높이고 다양한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근육을 단련할 ...  
2258 독서와 낮잠.. 건강하게 오래 사는 비결 10 불씨 191 2019-05-30
독서와 낮잠.. 건강하게 오래 사는 비결 10 이용재 입력 2019.05.28. 17:25   [독서를 많이 하면 건강수명을 누리는데도 도움이 된다]     의학의 발달로 인간의 수명은 비약적으로 늘었으나, 고통스럽게 오래 사는 건 복이 아니라 저주다. '건강하게' 오래 살...  
2257 고령화 시대 치매 피하는 7가지 방법 불씨 191 2018-09-09
  고령화 시대 치매 피하는 7가지 방법   입력 F 2018.09.04 17:46 수정 2018.09.04 17:46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치매에 대한 두려움도 점점 커지고 있다. 확실한 치료 방법을 찾지 못했기에 더더욱 예방이 중요한 상황. 영국의 ‘가디언’이 치매를 피...  
2256 당신이 무기력한 뜻밖의 이유 5가지 불씨 191 2017-04-15
당신이 무기력한 뜻밖의 이유 5가지| Daum라이프 당신이 무기력한 뜻밖의 이유 5가지 코메디닷컴 | 권순일 | 입력 2017.04.14 11:08       밤에 잠을 충분히 잤고 야근이나 늦게까지 파티를 한 것도 아닌데 몸이 축 처지고 늘 피곤할 때가 있다. 봄이 와서 그...  
2255 최고의 ‘혈관청소부’ OO·OOO…주의할 점은? 불씨 190 2022-10-29
최고의 ‘혈관청소부’ OO·OOO…주의할 점은? 임태균입력 2022. 10. 28. 17:01     이미지투데이우리나라 음식에서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식재료 ‘마늘’과 ‘완두콩’은 건강식품으로 오랫동안 사랑받고 있다. 특히 심혈관질환을 앓고 있는 이들에게 혈액순환에 좋다...  
2254 [위질환①]얼큰한 국물요리 먹고 커피 한잔..위궤양 생길 수밖에 불씨 190 2019-10-27
[위질환①]얼큰한 국물요리 먹고 커피 한잔..위궤양 생길 수밖에 음상준 기자 입력 2019.10.19. 07:00     열나고 속 더부룩한 증상..위염과 증상 비슷해     © News1 김일환 디자이너     (서울=뉴스1) 음상준 기자 = 위벽을 구성하는 위점막이 손상되면 위궤...  
2253 [문지숙 교수의 헬시 에이징] 젊음을 되찾으려면 줄기세포를 깨우자 불씨 190 2019-07-23
[문지숙 교수의 헬시 에이징] 젊음을 되찾으려면 줄기세포를 깨우자 권대익 입력 2019.07.22. 17:20   문지숙 차의과학대 바이오공학과 교수   게티이미지뱅크   젊음을 되찾고 유지하기 위해 성형수술이나 시술을 하는 이가 부쩍 늘었다. 하지만 이런 방법은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