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건강과생활

소화불량 오래 되면 위암 될까?

이금숙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2. 07. 08. 23:00 댓글 2

 

 

위암, 식도암, 췌장암, 담낭암, 간암 등 초기에는 소화불량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소화불량이 오래 되어서 암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속이 더부룩하다’ ‘체한 것 같다’며 소화불량을 호소하는 사람이 많다.

소화불량은 건강한 사람이라도 흔하게 경험하는 증상. 소화불량은 왜 생길까? 혹시 암은 아닐까? 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이상길 교수의 도움말로 알아본다.

◇소화불량, 병 없이 증상만 있는 경우가 대부분
위암, 식도암, 췌장암, 담낭암, 간암 등 초기에는 소화불량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소화불량이 오래 되어서 암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실제 소화불량은 특별한 이상 없이 증상만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를 ‘기능성 소화불량’이라고 한다. 

위내시경, 복부 초음파, 복부 CT, 혈액검사 등 각종 검사에서 암도 아니고 다른 이상질환도 없는데, 소화불량증이 왜 생기는 것일까?

우리가 일정량 이상의 음식을 먹은 뒤 포만감과 포만감을 넘어 불편함을 느끼는 것은 생리적인 현상이다. 음식, 그리고 음식을 소화시키기 위한 위산과 소화액들이 위나 소장에 차게 되면 압력이 높아지고, 그 신호가 뇌로 전달되면 포만감과 불편함으로 해석되어 더 이상 음식을 먹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정상인들 가운데 포만감이나 불편함을 느낄 정도의 양을 먹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위의 압박감이나 팽창감을 느끼는 사람들이 있다. 이 경우 위장의 팽창에 대한 과민성이 있다고 하며, 기능성 소화불량의 중요한 원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 외에도 위장의 배출기능이 정상인보다 떨어져 있는 경우도 원인이 될 수 있다. 최근에는 위장, 소장, 대장의 다양한 신호들이 중추에서 해석되는 과정에서 부조화가 일어나 질환이 생긴다고 해서 이를 ‘소화기와 뇌의 상호작용 불균형(disorders of gut-brain interaction)’이라는 질환으로 부르기까지 한다. 그만큼 소화와 뇌는 연관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소화불량을 다스리기 위해서는 소화기 기관의 기능과 과민성뿐만 아니라, 중추와 자율신경계의 측면도 고려해야 한다.

한편, 암 때문에 소화불량 증상이 나타난 것은 어떻게 알아챌 수 있을까? 일반적으로 소화불량 증상이 장기간(최소 6개월)에 걸쳐 비슷한 정도로 반복되는 양상을 보인다면 암일 가능성은 적다. 단지 체중 감소, 구토, 혈변, 삼킴곤란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암이 있을지 확인이 필요하다.

◇원인 따라 다양한 치료제 사용
소화불량이 만성적이고 반복적으로 나타난다면 적절한 치료를 해야 한다. 다만 기능성 소화불량증은 다양한 검사를 해도 명확한 이상이 발견되지 않기 때문에 환자가 암 같은 중대한 질환이 없다는 믿음을 가져야 한다.

치료제의 경우, 소화관의 운동이나 위장의 음식 수용능력이 저하된 경우에는 소화관 운동기능 촉진제를 사용한다. 위산과다와 연관된 속쓰림이나 명치 통증에는 위산분비 억제제, 점막의 염증으로 인한 불편감에는 점막보호제가 사용된다. 뇌와의 상호작용 불균형이나 자율신경계의 부조화 등이 문제되는 것으로 판단될 때는 신경조절제를 투여한다.

이렇게 치료약제가 다양한 이유는 소화불량의 원인이 다양하기 때문이다. 또 대부분은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여러 약제를 같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에는 환자 치료 경험이 많고 소화기 기능질환에 대한 이해가 높은 전문의에게 치료받는 것이 좀 더 도움이 된다.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출처: https://news.v.daum.net/v/20220708230017772

조회 수 :
135
등록일 :
2022.07.10
07:27:35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www.hfire.or.kr/309838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sort
1289 엉덩이 골밀도 높이는 '점프 운동' 아세요? 불씨 237 2020-12-17
엉덩이 골밀도 높이는 '점프 운동' 아세요?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0.12.16. 17:30 수정 2020.12.16. 17:34 댓글 0개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한 발을 들고 나머지 한 발을 이용해 살짝...  
1288 비타민 결핍 시 나타나는 증상 6 불씨 133 2020-12-18
비타민 결핍 시 나타나는 증상 6 권순일 입력 2020.12.17. 07:06 댓글 1개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사진=globalmoments/gettyimagesbank] 혀 궤양이나 두통이 자주 일어나면 심각한 질환의 징...  
1287 탄수화물·지방·단백질을 5:3:2로 먹어야 사망률 가장 낮다 불씨 126 2020-12-19
탄수화물·지방·단백질을 5:3:2로 먹어야 사망률 가장 낮다 권대익 입력 2020.12.18. 11:08 댓글 0개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탄수화물 5, 지방 3, 단백질 2 비율로 영양소를 섭취하는 것이 건...  
1286 매일 밤 우리 뇌 속에서 일어나는 일 불씨 118 2020-12-20
매일 밤 우리 뇌 속에서 일어나는 일 김수현 입력 2020.12.19. 18:12댓글 100개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질 좋은 잠은 건강의 필수 요소다. 인간은 일생의 3분의 1을 잠으로 보낸다. 수많은 연구가 이미 '잠이 보약'이라는 말들을 증명해 냈다. 연구에 따르...  
1285 매일 2분씩 플랭크를 하면 '이런' 변화가.. 불씨 395 2020-12-21
매일 2분씩 플랭크를 하면 '이런' 변화가.. 문세영 입력 2020.12.20. 18:03 댓글 0개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사진=기본 플랭크 자세. Khosrork/gettyimagesbank] 몸의 중심부인 코어를 강화...  
1284 운동과 좋은 음식이 독이 되는 경우 5 불씨 127 2020-12-22
운동과 좋은 음식이 독이 되는 경우 5 김용 입력 2020.12.21. 10:23 댓글 52개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운동과 몸에 좋은 음식은 건강수명의 필수요소다. 하지만 여기에...  
1283 장 면역 높이는 최고의 식사 불씨 192 2020-12-23
장 면역 높이는 최고의 식사 헬스조선 편집팀 입력 2020. 12. 22. 13:15 수정 2020. 12. 22. 13:28 댓글 1개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장 트러블을 가라앉히려면 저포드맵 식품을 먹는 게 도움...  
1282 노화 연구 권위자가 전하는 '장수 비결' 5가지 불씨 130 2020-12-24
노화 연구 권위자가 전하는 '장수 비결' 5가지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0. 12. 22. 17:00 수정 2020. 12. 22. 17:11 댓글 1개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건강히 장수하려면 새로운 트렌드...  
1281 자만심 아닌 자존감 높이는 방법 5 불씨 128 2020-12-25
자만심 아닌 자존감 높이는 방법 5 권순일 입력 2020. 12. 20. 13:06 댓글 50개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사진=fizkes/gettyimagesbank] 자만심은 자신이나 자신과 관련 있는 것을 스스로 자랑...  
1280 집에서 몸 상태 확인하려면.. '둘레'를 재라 불씨 164 2020-12-26
집에서 몸 상태 확인하려면.. '둘레'를 재라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0. 12. 20. 17:30 수정 2020. 12. 21. 09:23 댓글 44개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허벅지, 종아리, 허리 등 신체 둘레...  
1279 '잠들기 전 2분' 행복한 생각, 정신 건강 지킨다 불씨 128 2020-12-27
'잠들기 전 2분' 행복한 생각, 정신 건강 지킨다 김수현 입력 2020. 12. 25. 16:21 수정 2020. 12. 25. 17:34 댓글 0개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전문가들이 말하는 일상 속 정신건강 유지 법   [사진=게티...  
1278 체중부터 피부까지..겨울건강 지키는 과일 10가지 불씨 129 2020-12-28
체중부터 피부까지..겨울건강 지키는 과일 10가지 김수현 입력 2020. 12. 21. 19:01 댓글 4개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찬바람 부는 겨울은 유난히 질병이 많이 생기는 ...  
1277 당장 병원에 가야 할 증상 5 불씨 127 2020-12-29
당장 병원에 가야 할 증상 5 이용재 입력 2020. 12. 28. 16:01 댓글 524개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사진=IM3_014/gettyimagesbank] 몸이 평소와 다르다. 예를 들어 오른팔은 괜찮은데, 왼팔이...  
1276 스트레스에 대해 알아야 할 3가지 불씨 192 2020-12-30
스트레스에 대해 알아야 할 3가지 권순일 입력 2020. 12. 20. 15:06     [사진=kieferpix/gettyimagesbank]     스트레스를 잘 이기려면 개인의 지각이 중요하다. 스트레스를 대처하는 기술이 부족하면 스트레스에 대한 취약성이 높아지지만, 대처 능력이 뛰어...  
1275 척추 튼튼하게 하는 생활 속 자세는? 불씨 146 2020-12-31
척추 튼튼하게 하는 생활 속 자세는? 기사입력 2020.12.29. 오전 11:26              앉아서 독서할 때는 머리는 정면을 본 자세에서 가슴 정도 높이에 책을 두고 보는 것이 좋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건강한 삶을 위해선 척추가 튼튼해야 한다. 특히 나이...  
1274 '홈트' 황금 시간대는 언제? 불씨 254 2021-01-01
'홈트' 황금 시간대는 언제? 이슬비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0. 12. 17. 16:36 수정 2020. 12. 17. 16:40 댓글 1개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목적에 따라 운동 효율성이 높은 시간대가 다르다./...  
1273 추운 겨울, 소화불량이 잘 생기는 이유 불씨 166 2021-01-02
추운 겨울, 소화불량이 잘 생기는 이유 이금숙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1. 01. 01. 05:30 댓글 0개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우리 몸이 과도한 추위에 노출된 경우, 일시적으로 위장 기능이 저하돼 소화불량...  
1272 5가지 건강 습관 지키면, 10년은 더 팔팔하게 산다 불씨 144 2021-01-03
5가지 건강 습관 지키면, 10년은 더 팔팔하게 산다 권선미 입력 2021. 01. 02. 00:22 댓글 624개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습관과 건강 수명 상관관계 현재 생활이 20년 후 건강 좌우 최소 3주 매일 반복해야 습관 돼 '스쿼...  
1271 코로나 극복의 해..2021년 건강하게 지내는 팁 5 불씨 131 2021-01-04
코로나 극복의 해..2021년 건강하게 지내는 팁 5 권순일 입력 2021. 01. 03. 13:02 댓글 0개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사진=ronniechua/gettyimagesbank]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1270 코로나 피하려면 반드시 고쳐야 할 일상 습관 4가지 불씨 125 2021-01-05
코로나 피하려면 반드시 고쳐야 할 일상 습관 4가지 이선영 객원기자 입력 2021. 01. 04. 13:20 댓글 0개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코로나 바이러스 달라붙은 물건 만져도 감염가능성 有 (시사...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