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건강과생활

‘생수에서도 검출’ 미세플라스틱 논란, 해결책 있을까?

장자원입력 2023. 6. 4. 18:44수정 2023. 6. 5. 10:56

 

 

 

“건조, 세척 규정 필요하지만 사회적 합의 선행돼야”

 

페트병에 담긴 생수에서 ml당 1억 개가 넘는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지만, 이를 단기간에 해결할 방안이 없다는 전문가의 지적이 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페트병에 담긴 생수에서 미세플라스틱이 다량 검출됐다. 앞서 종이 호일과 일회용 종이컵을 사용하면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된 가운데 일상 속에 침투한 미세플라스틱에 소비자의 관심이 몰리게 됐다.

미세플라스틱(microplastic)은 플라스틱이 분해되며 생기는 작은 플라스틱 입자를 말한다. 2019년 세계보건기구(WHO)는 "미세플라스틱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할 근거가 부족하다"고 발표한 바 있다. 체내 흡수가 어려워 대부분 배출되기 때문이다.

그러던 지난해 5월, 네덜란드 연구팀이 "인간의 혈액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22명의 혈액을 분석했더니 전체 샘플의 약 80%에서 미세플라스틱 입자가 나온 것이다. 이는 미세플라스틱이 혈관 안까지 침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부분 체내로 흡수되지 않는다는 기존의 발표와 엇갈리는 결과에 우려가 커졌다.

부산대 분자생물학과 정의만 교수 연구팀도 최근 미세플라스틱의 잠재적 영향을 다룬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실험용 쥐가 태아 시기부터 꾸준히 미세 플라스틱에 노출되면 신경 발달 관련 유전자가 덜 발현되고 뇌 기능을 조절하는 억제성 신경 물질의 분비도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미세플라스틱으로 인한 불안 및 우울 장애의 가능성이 제시된 것이다.

◆미세플라스틱이 일상에 침투한 이유는?

노르웨이, 중국, 벨기에 국제 연구팀이 노르웨이에서 판매하는 생수 4종을 분석했더니 1ml당 평균 1억 6000만 개가 넘는 나노플라스틱(크기가 100억분의 1m 이하인 플라스틱 입자)이 검출됐다. 성인이 하루 2L의 물을 마신다고 가정하면 연간 120조 개가 넘는 나노플라스틱을 먹게 되는 셈이다.

상명대 화학에너지공학과 강상욱 교수에 따르면 페트병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되는 이유는 공정상의 특징 때문이다. 플라스틱을 병 모양으로 가공하기 위해서는 '사출성형/블로우성형'이라는 성형과정을 거친다. 플라스틱에 열을 가해 유연하게 만든 뒤 고압의 기체를 쏴 모양을 잡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플라스틱 분자 구조가 분해될 수 있다는 것이 강 교수의 설명이다. 강 교수는 "PET플라스틱 분자는 물을 잘 끌어당기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데, 수분 함량이 0.02%만 넘어가도 가공 시 분자 사슬이 끊어질 가능성이 커진다"며 "이 상태에서 페트병에 물을 채우면 끊어진 플라스틱 입자가 그대로 물에 퍼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제도적 해결책 있을까?

페트병에 담아 파는 생수를 마시는 소비자들이 미세플라스틱 위협에 그대로 노출될 수 있음에도 이를 제도적으로 관리할 장치는 없다. 강상욱 교수는 "공정 과정을 바꾸면 의외로 미세플라스틱 검출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면서도 "이렇게 발생하는 비용 부담은 소비자에게 그대로 전가되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해결하는 것은 미지수"라고 말했다.

현재 판매되는 페트병 생수의 미세플라스틱 검출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제조 공정을 근본적으로 바꿔야 한다. 성형가공 전에 충분히 건조해 수분 함량을 줄이면 분자 사슬이 끊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페트병으로 가공한 뒤 고압의 물로 세척해 끊어진 플라스틱 입자를 씻어내는 방법도 있다.

문제는 제작되는 병 하나하나가 이런 과정을 거치면 생수 한 병의 가격이 큰 폭으로 올라간다는 것이다. 페트병에 담아 판매되는 모든 음료나 식품에 이 규정을 적용해야 할 가능성도 생긴다. 이 경우 급격한 물가 상승을 피할 수 없다.

강 교수는 "당장 규정을 손보는 것보다 사회적, 국민적 합의를 거치는 것이 우선"이라며 "이후 정부와 산업종사자, 학계의 협의를 거쳐 신중하게 해결 방안을 찾을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국회에서는 '미세플라스틱 특별법' 제정에 대한 움직임과 논의가 이뤄지기도 했다. 3월 15일 더불어민주당 이수진 의원과 사단법인 소비자기후행동이 공동으로 주관한 미세플라스틱 특별법 제정을 위한 국회토론회가 대표적이다.

해당 토론회에서는 미세플라스틱의 발생과 배출에 대한 관리기준을 마련하고 이를 충족하지 못하는 제품의 제조, 수입, 판매, 사용 등을 원칙적으로 금지하는 형태의 법안을 제시하고 상반기 중 발의할 것을 결의했다.

장자원 기자 (jang@kormedi.com)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출처: https://v.daum.net/v/20230604184430376

조회 수 :
127
등록일 :
2023.06.07
07:38:43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www.hfire.or.kr/310006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sort
2790 올 여름 건강하게 잘 보내는 방법과 음식 불씨 306 2023-06-11
올 여름 건강하게 잘 보내는 방법과 음식 권순일입력 2023. 6. 9. 08:55       [권순일의 헬스리서치] 점점 더워져가는 여름철을 건강하게 잘 보내는데 도움이 되는 방법들이 있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여름의 시작이다. 지금부터 최소한 두 달간은 더위가 ...  
2789 “당신이 먹는 것이 바로 당신”...장 건강 위한 식사법 불씨 117 2023-06-10
“당신이 먹는 것이 바로 당신”...장 건강 위한 식사법 권순일입력 2023. 6. 2. 08:47     [권순일의 헬스리서치]   다양한 색깔의 과일과 채소는 장 건강을 돕는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뱃속이 불편하고 나쁜 느낌이 든다면 주의를 기울이는 게 좋다. 음식물...  
2788 아침에 하는 ‘이 행동’, 수명 단축하는 지름길 불씨 166 2023-06-09
아침에 하는 ‘이 행동’, 수명 단축하는 지름길 최지우 기자입력 2023. 6. 8. 06:01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흡연하는 습관은 고혈압, 두경부암 등 질환 위험을 높인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무심코 아침에 행하는 습관이 건강을 해칠 수 있다. 건강에 해로...  
2787 나는 아프지 않고 죽을 수 있을까? 불씨 119 2023-06-08
나는 아프지 않고 죽을 수 있을까? 김용입력 2023. 6. 6. 12:29       [김용의 헬스앤] 내가 오래 아프면 가족들도 고생한다. 내 몸이 건강해야 가족들이 편안하다. 건강수명(건강하게 장수)이 주목받고 있는 이유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주위 분들이 오랜 ...  
» ‘생수에서도 검출’ 미세플라스틱 논란, 해결책 있을까? 불씨 127 2023-06-07
‘생수에서도 검출’ 미세플라스틱 논란, 해결책 있을까? 장자원입력 2023. 6. 4. 18:44수정 2023. 6. 5. 10:56       “건조, 세척 규정 필요하지만 사회적 합의 선행돼야”   페트병에 담긴 생수에서 ml당 1억 개가 넘는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지만, 이를 단기간...  
2785 곧 초고령사회 온다는데... 불씨 118 2023-06-06
곧 초고령사회 온다는데... 윤성철입력 2023. 6. 4. 08:40       [전기환 부산 온요양병원장] 노쇠와 돌봄   나이 들어 걷는 속도가 느려지고 허리가 굽기 시작하는 것이 72세다. 노쇠가 더 뚜렷해지는 시기는 77세다. 의도하지 않은 체중감소, 탈진, 근력 약...  
2784 비타민 D·칼슘 보충제 함께 먹으면 사망 위험 15% 낮아 불씨 111 2023-06-05
비타민 D·칼슘 보충제 함께 먹으면 사망 위험 15% 낮아 권대익입력 2023. 5. 30. 16:03       게티이미지뱅크칼슘 보충제와 비타민 D를 함께 복용하면 전체 사망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김신곤·김경진 고려대 안암병원 내분비내과 교...  
2783 아이부터 노인까지...연령대별로 주의해야 할 질병 불씨 117 2023-06-04
아이부터 노인까지...연령대별로 주의해야 할 질병 권순일입력 2023. 6. 2. 10:02       바이러스 수막염, 알코올성 간질환, 우울증 등   연령대별로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할 질병들이 있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연령대별로 특히 많이 나타나는 질...  
2782 아침에 먹기 좋고 영양가 높은 음식 6 불씨 108 2023-06-03
아침에 먹기 좋고 영양가 높은 음식 6 김용입력 2023. 5. 26. 11:37       양배추, 삶은 달걀-감자, 사과, 요구르트 등... 아침 공복에 좋은 건강식 아침 공복에는 흰 빵, 베이컨-햄 등 가공 식품 위주의 식단보다는 양배추, 삶은 달걀-감자 등 자연 그대로의 ...  
2781 무리하게 운동하다 ‘골병’든 사람 많아…주의사항? 불씨 113 2023-06-02
무리하게 운동하다 ‘골병’든 사람 많아…주의사항? 김영섭입력 2023. 6. 1. 16:10       운동량, 일주일에 10% 이상 늘리면 안돼…나이들수록 과잉 금물   무리한 운동은 사고를 낳는다. 근육, 힘줄, 뼈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무리한 운동...  
2780 건강에 도움이 되는 22가지 1분 투자 방법(2) 불씨 110 2023-06-01
건강에 도움이 되는 22가지 1분 투자 방법(2) 김상민 입력 2020. 12. 1. 20:01     [사진=studio1901/gettyimagebank]   단 1분만 투자해도 건강에 도움이 되는 방법이 있다고? 믿기 어렵겠지요. 그래도 일상생활을 하면서 1분 정도의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서 ...  
2779 건강에 도움이 되는 22가지 1분 투자 방법(1) 불씨 116 2023-05-31
건강에 도움이 되는 22가지 1분 투자 방법(1) 김상민입력 2020. 11. 30. 18:01       [사진=JV_LJS/gettyimagebank] 단 1분만 투자해도 건강에 도움이 되는 방법이 있다고? 믿기 어렵겠지요. 그래도 일상생활을 하면서 1분 정도의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서 건강...  
2778 "유산소 하세요" 이젠 아니다…고령자 노쇠 막는 3가지 전략 불씨 112 2023-05-30
"유산소 하세요" 이젠 아니다…고령자 노쇠 막는 3가지 전략 황수연입력 2023. 5. 29. 05:02수정 2023. 5. 29. 06:26       실내·외에서 마스크 없이 오랜만에 맞는 가정의 달입니다. 황금 연휴 기간 놓치고 있던 나와 가족의 건강 상태를 챙겨봅시다. 중앙일보...  
2777 중요한 결정은 하루 중 ‘이때’ 내리세요 불씨 111 2023-05-29
중요한 결정은 하루 중 ‘이때’ 내리세요 최지우 기자입력 2023. 5. 17. 06:00       중요한 결정은 가급적 아침에 스트레스 받지 않고 포만감을 느끼는 상황에서 내리는 것이 좋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누구나 한번쯤 중요한 결정을 내리기 전 고민한 경험이 ...  
2776 간의 염증·암 위험 높이는 가장 나쁜 생활 습관은? 불씨 115 2023-05-28
간의 염증·암 위험 높이는 가장 나쁜 생활 습관은? 김용입력 2023. 5. 27. 16:21       ‘간암’ 원인... B형 간염 72%, C형 간염 12%, 술 9%   C형 간염 바이러스는 혈액, 침, 정액 등 체액 내에 존재한다. 감염자의 체액이 상처 난 점막 등을 통해 몸에 들어오...  
2775 식욕이 떨어져서 걱정될 때, 식욕감퇴 이유 6 불씨 407 2023-05-27
식욕이 떨어져서 걱정될 때, 식욕감퇴 이유 6 이보현입력 2023. 5. 22. 15:10       아무 문제가 아닐 수도 있거나 질병의 징후일수도   식욕 감퇴는 감기, 소화기 문제 등 질병과 관계있을 수 있다. 체중이 줄고 식욕이 3~4일 이상 없다면 병원을 찾는 것이 ...  
2774 운동 방법 바꿔라 알려주는 신호 4 불씨 116 2023-05-26
운동 방법 바꿔라 알려주는 신호 4 권순일입력 2023. 5. 22. 09:12       너무 편안하거나 지루해도…   관절통은 운동 방법을 바꾸라는 신호일 수 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운동을 꾸준히 하고 있지만 뱃살이 빠지지 않거나, 근육이 별로 생기지 않을 때는 ...  
2773 '공중 화장실' 위생적으로 사용하는 방법 불씨 120 2023-05-25
'공중 화장실' 위생적으로 사용하는 방법 김서희 기자입력 2023. 5. 24. 11:30       공중화장실을 쓸 때는 첫 번째 칸에 들어가길 추천한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공중 화장실은 불특정 다수가 사용하는 만큼 위생에 특별히 신경 써서 사용해야 한다. 공중 화...  
2772 요즘 85세 건강상태 예전 70세 같아졌다 불씨 399 2023-05-24
요즘 85세 건강상태 예전 70세 같아졌다 이병문 매경헬스 기자(leemoon@mk.co.kr)입력 2023. 5. 23. 16:18       나이 들어도 8가지 생활습관 지키면 100세까지 거뜬   가정의 달 5월에 가장 많이 애용한 단어는 '건강'이고 선물 1순위 역시 '건강검진'이었을 ...  
2771 '이 습관' 안 바꾸면, 빨리 늙는다 불씨 115 2023-05-23
'이 습관' 안 바꾸면, 빨리 늙는다 신소영 기자입력 2023. 5. 22. 15:58수정 2023. 5. 22. 16:02     과식하는 습관은 활성산소를 유발해 노화를 촉진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유해 산소인 활성산소는 노화를 촉진하는 주범이다. 몸속에 활성산소가 많이 쌓...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