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건강과생활

나는 아프지 않고 죽을 수 있을까?

김용입력 2023. 6. 6. 12:29

 

 

 

[김용의 헬스앤]

내가 오래 아프면 가족들도 고생한다. 내 몸이 건강해야 가족들이 편안하다. 건강수명(건강하게 장수)이 주목받고 있는 이유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주위 분들이 오랜 투병 생활로 힘들어 하는 것을 지켜봤다. 본인은 물론 가족들의 고생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극진하게 환자를 돌보던 가족도 간병이 길어지면 지쳐간다. 유난히 가족 사랑이 두터웠던 사람은 애틋했던 감정이 사라질까 두렵다. 할 수 없이 요양병원을 선택해도 마음이 편치 않다. '긴 병에 효자 없다'는 옛말은 현재 진행형이다.

"자다가 편안하게 죽고 싶다"... 나이 든 분들은 곧잘 이런 말을 한다. 지나가는 말이 아니라 진심일 것이다. 이제 중년인 나도 이런 생각을 한다. 무엇보다 가족들에게 부담을 주기 싫다. 나를 돌보느라 힘들어 하는 모습은 상상만 해도 끔찍하다. 그렇다고 병들어 요양병원엔 가기가 꺼려진다. 이는 전적으로 내가 선택할 문제는 아니지만, 인지상정인 것은 어쩔 수 없다.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암 사망의 30%는 흡연, 30%는 음식, 10~25%는 만성감염에서 비롯된다고 했다. 그밖에 직업, 유전, 음주, 호르몬, 방사선, 환경오염 등이 1~5% 정도 관여하고 있다. WHO는 금연, 음식 조절, 운동 등을 통해 암의 ⅓은 예방 가능하고, ⅓은 조기 검진-치료로 완치가 가능하다고 했다.

생활 습관을 조심해도 병이 갑자기 찾아올 수 있다. 발병 원인을 알 수 없는 병들이 적지 않다. 지금도 이유 없는 병으로 고생하는 분들이 많다. 유전(가족력)은 대개 부모, 형제, 자매 등 직계 가족들의 질병 상황을 살핀다. 아버지가 대장암을 앓았다면 아들, 딸의 대장암 위험이 5% 정도 된다. 하지만 할아버지, 할머니의 질병까지 생각하면 더 도움이 된다. 국가암정보센터에 따르면 췌장암의 경우 할아버지-아버지-아들 등 3대에 걸쳐 환자가 나온 경우가 있다.

암, 치매, 뇌졸중(뇌경색-뇌출혈) 등은 투병 기간이 길고 후유증이 큰 대표적인 병이다. 특히 요즘 늘고 있는 뇌졸중은 생명을 위태롭게 하고 몸의 마비, 언어 장애, 시력 장애 등이 남는 무서운 병이다. 몸의 마비가 심하면 주위 사람의 도움이 절실하다. 혼자서 화장실도 못 가면 시중들 사람이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 환자가 짜증을 내면 간병하는 사람이 더 힘들 수 있다.

환자들을 가장 고통스럽게 하는 것은 통증이다. 초기에 암을 발견한 사람이라도 암 자체나 항암 치료를 받는 과정에서 30~50%가 통증을 겪는다. 암을 늦게 발견하면 통증이 더욱 심하다. 꽤 진행한 암 환자의 60~70%, 말기 암 환자의 80~90%가 심한 통증으로 밤잠도 못 이룰 수 있다. 환자는 육체적-정신적인 고통에 신음하고 간병하는 가족의 삶의 질도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다.

몸이 아프면 누구나 정신적 스트레스를 경험한다. 특히 '암 환자'라는 단어가 주는 충격은 상상을 초월한다. 예전보다 죽음의 공포는 덜 느끼지만 암은 여전히 암이다. 암 환자는 진단과 치료, 부작용과 합병증 등 여러 과정을 거치면서 감정이 요동친다. 암 진단 후 치료에 들어갈 때까지 "내가 왜?" "암에 안 걸려본 사람은 나를 이해할 수 없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감정을 억누르다가 때로는 터뜨려 주위 사람을 힘들게 한다.

환자의 감정 기복과 스트레스는 가장 가까운 사람에게 그대로 전달된다. 아프니까 짜증을 내고, 이를 잘 받아주던 가족도 장시간 시달리면 반응을 하게 된다. 육체적으로 시중드는 것도 힘든 데 환자의 잦은 짜증과 화에 정신적 스트레스가 가중되는 것이다. 치매 환자와 매일 마주 하는 가족들은 이런 상황이 더욱 심할 것이다.

중앙치매센터에 따르면 국내 65세 이상 인구의 10%가 넘는 약 89만 명이 치매를 앓고 있다(2021년 기준). 2024년에는 1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치매 환자 중 여성 비율이 약 62%로 남성(38%)의 2배에 육박한다. 젊을 때 뇌 신경세포를 보호하던 여성호르몬(에스트로겐)이 폐경으로 사라지면서 신경세포 이상으로 기억력 등 인지 기능에 문제가 생긴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요즘은 단순히 오래 사는 것보다 건강수명(건강하게 장수)이 주목받고 있다. 100세를 살아도 아파서 누워 지내는 기간이 길면 장수의 의미가 사라진다. 가장 가까운 가족들의 고통이 뒤따를 수밖에 없다. 암 사망의 30%는 흡연, 30%는 음식이라는 WHO의 연구는 뇌졸중 등에도 상당 부분 적용된다. 내 몸이 건강해야 가족들이 편안하다. 다시 한번 생각해 본다. "나는 아프지 않고 편안하게 죽을 수 있을까?"

김용 기자 (ecok@kormedi.com)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출처: https://v.daum.net/v/20230606122959460

조회 수 :
119
등록일 :
2023.06.08
05:59:51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www.hfire.or.kr/310007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sort 날짜
786 [날씨와 건강] 평소에 혈전 예방하려면 어떻게? 불씨 120 2021-04-10
[날씨와 건강] 평소에 혈전 예방하려면 어떻게? 문세영 입력 2021. 04. 09. 06:01    [사진=Rost-9D/gettyimagesbank]오전 기온은 4~11도, 오후는 10~20도. 일교차가 큰 하루이니 옷차림에 신경 쓰고, 대기 상태가 건조하니 불씨 관리에도 주의가 필요하겠다. ...  
785 어지럼증 유발하는 대표 질환 5 불씨 120 2021-02-19
어지럼증 유발하는 대표 질환 5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1.01.20 07:00 어지럼증을 유발하는 가장 흔한 질환은 이석증이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머리가 어지러우면 구역감과 구토감이 생길 뿐 아니라, 일상을 지속하기 힘들 정도로 고통이 심하다. 어지...  
784 [분당서울대병원이 알려주는 의료상식] 행복한 노년기를 위한 건강관리법 불씨 120 2021-02-15
[분당서울대병원이 알려주는 의료상식] 행복한 노년기를 위한 건강관리법 이범구 입력 2021. 02. 13. 05:00 댓글 1개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분당서울대병원 노인병내과 김광일(노인의료센터장) 교수 ...  
783 기억 가물한 사람.. '꼭' 운동해야 하는 이유 불씨 120 2020-11-14
기억 가물한 사람.. '꼭' 운동해야 하는 이유 전혜영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0.11.13. 10:49 수정 2020.11.13. 10:52 댓글 34개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경도인지장애 환자가 운동을 규칙적으...  
782 신체 유익균 늘리고, 유해균 줄이는 법 3 불씨 120 2020-08-28
신체 유익균 늘리고, 유해균 줄이는 법 3 이용재 기자 입력 2020년 8월 27일 14:40 811     [사진=vaaseenaa/gettyimagesbank]   우리 몸에는 40조의 박테리아가 산다. 소화뿐 아니라 기분, 체력, 면역 시스템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이 미생물 생태계를 건강하...  
781 "운동에 음식도 조심했는데.." 잇몸 지켜야 건강수명 누린다 불씨 120 2020-08-22
"운동에 음식도 조심했는데.." 잇몸 지켜야 건강수명 누린다 김용 입력 2020.08.21. 11:41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사진=게티이미지뱅크요즘 건강하게 오래 사는 '건강수명'이 주목받고 있다. 90세, 100...  
780 여름철 건강 지켜줄 슈퍼푸드 8가지 불씨 120 2020-06-12
여름철 건강 지켜줄 슈퍼푸드 8가지 권순일 입력 2020.06.09. 07:05     [사진=jv_food01/gettyimagesbank] 장마와 무더위가 이어질 여름이다. 이렇게 덥고 습한 여름을 잘 보내려면 먹는 음식이 중요하다. 땀이 나고, 쉽게 지치기 쉬운 여름철에는 체력 보강...  
779 [건강] 균형 찾아야 건강 지킨다 불씨 120 2019-04-26
[건강] 균형 찾아야 건강 지킨다 강인귀 기자 입력 2019.04.25. 06:41   자고 일어나도 개운하지 않고, 온몸이 뻐근하고 욱신거리는 증상이 반복되면 가볍게 여기지 말고 몸에 이상이 있는 것은 아닌지 살펴보아야 한다. 몸의 어딘가에서 서서히 발생하는 통증...  
778 심장건강 지키는 5가지 법칙 불씨 120 2019-04-02
심장건강 지키는 5가지 법칙 김정은 헬스조선 인턴기자   입력: 2011년 5월 19일 07:51     조선일보 DB   심장병은 우리나라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현대인을 위협하는 질병 중 하나다. 영국은 심장병으로 6분에 한 명씩 죽는다는 결과도 있다. 전문가들은 ...  
777 명상하는 사람 뇌 연령 평균 7.5세 젊다 불씨 120 2018-02-24
명상하는 사람 뇌 연령 평균 7.5세 젊다 명상하는 사람 뇌 연령 평균 7.5세 젊다   입력 F 2016.04.20 17:29 수정 2016.04.20 17:29     뇌를 젊게 유지하고 싶다면 명상을 하는 게 좋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최근 ‘뉴로이미지(NeuroImage)저널’에 실린 논문...  
776 각종 연구로 입증된 '기억력' 향상에 도움되는 습관 3가지 불씨 120 2018-01-31
각종 연구로 입증된 '기억력' 향상에 도움되는 습관 3가지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각종 연구로 입증된 '기억력' 향상에 도움되는 습관 3가지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이모인 헬스조선 인턴기자   입력 : 2018.01.30 14:32     유산소운동과 소리 내서 ...  
775 노년층에서 임플란트 시술 받기 전 '이것' 꼭 체크해야 불씨 120 2017-08-26
노년층에서 임플란트 시술 받기 전 '이것' 꼭 체크해야| Daum라이프 노년층에서 임플란트 시술 받기 전 '이것' 꼭 체크해야 헬스조선 |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 입력 2017.08.25 16:17 | 수정 2017.08.25 22:07       노년층에서 임플란트를 할 때는 전신질환 ...  
774 생각 이상으로 효과 큰 운동 4가지 불씨 120 2017-07-27
No1 건강포털, 코메디닷컴-생각 이상으로 효과 큰 운동 4가지 생각 이상으로 효과 큰 운동 4가지   입력 F 2017.06.04 10:00 수정 2017.06.04 10:00     장거리를 달리거나 무거운 바벨을 들어 올려야 운동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  
773 기상 후 공복에도 부담 없이… 아침 ‘위’에 좋은 음식 8 불씨 119 2024-02-25
기상 후 공복에도 부담 없이… 아침 ‘위’에 좋은 음식 8 김수현입력 2024. 2. 24. 06:31       미지근한 물, 양배추, 오트밀 등은 아침 공복에 먹어도 위에 부담 없는 음식이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출근 시간에 쫓기는 바쁜 직장인이나 학생들은 아침 기상 ...  
772 따끈한 국물 '호로록 호로록'…자칫하다 큰일납니다 불씨 119 2023-11-25
따끈한 국물 '호로록 호로록'…자칫하다 큰일납니다 이지희입력 2023. 11. 24. 15:44       김이 모락모락 나는 따끈한 국물 요리가 절로 생각나는 계절이다. 한 숟가락씩 떠먹다 보면 얼었던 몸이 따스해지면서 속도 든든히 채울 수 있다. 그러나 이때 나트륨...  
771 추위에 건조해진 피부... '집에서부터' 보호하는 방법 불씨 119 2023-11-15
추위에 건조해진 피부... '집에서부터' 보호하는 방법 김근정입력 2023. 11. 12. 17:10수정 2023. 11. 13. 13:44       '적당한 난방, 썬크림 필수'...자극 줄이고 보습 신경 써야   춥고 매서운 날씨, 피부가 추위와 건조함에 손상되지 않으려면 수분을 충분...  
770 뜻밖에 세균 범벅… 집안에서 세균이 가장 잘 번식하는 곳 5 불씨 119 2023-10-18
뜻밖에 세균 범벅… 집안에서 세균이 가장 잘 번식하는 곳 5 김수현입력 2023. 10. 13. 19:30       집안에서 놓치기 쉬운 청소 사각지대가 있는데, 바로 세면대 수도꼭지 손잡이 부분이나 칫솔꽂이, TV 리모컨 등이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주방이나 화장실 ...  
769 사레 방치하다 사망까지?...고령층은 ‘이 질환’ 주의해야 불씨 119 2023-08-01
사레 방치하다 사망까지?...고령층은 ‘이 질환’ 주의해야 조수완입력 2023. 7. 21. 21:01       누구나 한 번쯤은 밥을 먹다가 사레가 들릴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사레가 빈번하게 발생한다면 경각심을 가지고 대처해야 한다. 사레가 방치되면 흡인성 폐렴 ...  
768 폭염에 건강 적신호 ...먼저 "뇌와 심장을 지켜라" 불씨 119 2023-07-28
폭염에 건강 적신호 ...먼저 "뇌와 심장을 지켜라" 김수현입력 2023. 7. 27. 20:30       여름철 위험한 질병과 대처법 6가지   기온과 습도가 높고, 자외선이 강한 여름철에는 건강을 지키는데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폭염이 기...  
767 바이러스가 뇌까지…‘이 모기’를 조심하세요 불씨 119 2023-06-15
바이러스가 뇌까지…‘이 모기’를 조심하세요 이시내입력 2023. 6. 13. 16:53       울산서 일본뇌염 매개 모기 '작은빨간집모기' 올해 첫 발견 3월 제주·부산서 주의보 발령...영유아에 예방 접종 필요   작은빨간집모기여름철에 접어들면서 일본뇌염 매개 모기...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