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건강과생활

나는 아프지 않고 죽을 수 있을까?

김용입력 2023. 6. 6. 12:29

 

 

 

[김용의 헬스앤]

내가 오래 아프면 가족들도 고생한다. 내 몸이 건강해야 가족들이 편안하다. 건강수명(건강하게 장수)이 주목받고 있는 이유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주위 분들이 오랜 투병 생활로 힘들어 하는 것을 지켜봤다. 본인은 물론 가족들의 고생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극진하게 환자를 돌보던 가족도 간병이 길어지면 지쳐간다. 유난히 가족 사랑이 두터웠던 사람은 애틋했던 감정이 사라질까 두렵다. 할 수 없이 요양병원을 선택해도 마음이 편치 않다. '긴 병에 효자 없다'는 옛말은 현재 진행형이다.

"자다가 편안하게 죽고 싶다"... 나이 든 분들은 곧잘 이런 말을 한다. 지나가는 말이 아니라 진심일 것이다. 이제 중년인 나도 이런 생각을 한다. 무엇보다 가족들에게 부담을 주기 싫다. 나를 돌보느라 힘들어 하는 모습은 상상만 해도 끔찍하다. 그렇다고 병들어 요양병원엔 가기가 꺼려진다. 이는 전적으로 내가 선택할 문제는 아니지만, 인지상정인 것은 어쩔 수 없다.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암 사망의 30%는 흡연, 30%는 음식, 10~25%는 만성감염에서 비롯된다고 했다. 그밖에 직업, 유전, 음주, 호르몬, 방사선, 환경오염 등이 1~5% 정도 관여하고 있다. WHO는 금연, 음식 조절, 운동 등을 통해 암의 ⅓은 예방 가능하고, ⅓은 조기 검진-치료로 완치가 가능하다고 했다.

생활 습관을 조심해도 병이 갑자기 찾아올 수 있다. 발병 원인을 알 수 없는 병들이 적지 않다. 지금도 이유 없는 병으로 고생하는 분들이 많다. 유전(가족력)은 대개 부모, 형제, 자매 등 직계 가족들의 질병 상황을 살핀다. 아버지가 대장암을 앓았다면 아들, 딸의 대장암 위험이 5% 정도 된다. 하지만 할아버지, 할머니의 질병까지 생각하면 더 도움이 된다. 국가암정보센터에 따르면 췌장암의 경우 할아버지-아버지-아들 등 3대에 걸쳐 환자가 나온 경우가 있다.

암, 치매, 뇌졸중(뇌경색-뇌출혈) 등은 투병 기간이 길고 후유증이 큰 대표적인 병이다. 특히 요즘 늘고 있는 뇌졸중은 생명을 위태롭게 하고 몸의 마비, 언어 장애, 시력 장애 등이 남는 무서운 병이다. 몸의 마비가 심하면 주위 사람의 도움이 절실하다. 혼자서 화장실도 못 가면 시중들 사람이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 환자가 짜증을 내면 간병하는 사람이 더 힘들 수 있다.

환자들을 가장 고통스럽게 하는 것은 통증이다. 초기에 암을 발견한 사람이라도 암 자체나 항암 치료를 받는 과정에서 30~50%가 통증을 겪는다. 암을 늦게 발견하면 통증이 더욱 심하다. 꽤 진행한 암 환자의 60~70%, 말기 암 환자의 80~90%가 심한 통증으로 밤잠도 못 이룰 수 있다. 환자는 육체적-정신적인 고통에 신음하고 간병하는 가족의 삶의 질도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다.

몸이 아프면 누구나 정신적 스트레스를 경험한다. 특히 '암 환자'라는 단어가 주는 충격은 상상을 초월한다. 예전보다 죽음의 공포는 덜 느끼지만 암은 여전히 암이다. 암 환자는 진단과 치료, 부작용과 합병증 등 여러 과정을 거치면서 감정이 요동친다. 암 진단 후 치료에 들어갈 때까지 "내가 왜?" "암에 안 걸려본 사람은 나를 이해할 수 없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감정을 억누르다가 때로는 터뜨려 주위 사람을 힘들게 한다.

환자의 감정 기복과 스트레스는 가장 가까운 사람에게 그대로 전달된다. 아프니까 짜증을 내고, 이를 잘 받아주던 가족도 장시간 시달리면 반응을 하게 된다. 육체적으로 시중드는 것도 힘든 데 환자의 잦은 짜증과 화에 정신적 스트레스가 가중되는 것이다. 치매 환자와 매일 마주 하는 가족들은 이런 상황이 더욱 심할 것이다.

중앙치매센터에 따르면 국내 65세 이상 인구의 10%가 넘는 약 89만 명이 치매를 앓고 있다(2021년 기준). 2024년에는 1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치매 환자 중 여성 비율이 약 62%로 남성(38%)의 2배에 육박한다. 젊을 때 뇌 신경세포를 보호하던 여성호르몬(에스트로겐)이 폐경으로 사라지면서 신경세포 이상으로 기억력 등 인지 기능에 문제가 생긴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요즘은 단순히 오래 사는 것보다 건강수명(건강하게 장수)이 주목받고 있다. 100세를 살아도 아파서 누워 지내는 기간이 길면 장수의 의미가 사라진다. 가장 가까운 가족들의 고통이 뒤따를 수밖에 없다. 암 사망의 30%는 흡연, 30%는 음식이라는 WHO의 연구는 뇌졸중 등에도 상당 부분 적용된다. 내 몸이 건강해야 가족들이 편안하다. 다시 한번 생각해 본다. "나는 아프지 않고 편안하게 죽을 수 있을까?"

김용 기자 (ecok@kormedi.com)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출처: https://v.daum.net/v/20230606122959460

조회 수 :
119
등록일 :
2023.06.08
05:59:51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www.hfire.or.kr/310007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sort
789 무심결 하는 행동·습관이 질병을 유발할 수 있는 상황 5가지 불씨 109 2018-02-14
[카드뉴스] 무심결 하는 행동·습관이 질병을 유발할 수 있는 상황 5가지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무심결 하는 행동·습관이 질병을 유발할 수 있는 상황 5가지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br.lee@chsoun.com   사진 헬스조선DB   입력 : 2018.02.10 09:00 ...  
788 몸에 생긴 붉은 반점으로 의심할 수 있는 질환 3가지 불씨 2521 2018-02-13
몸에 생긴 붉은 반점으로 의심할 수 있는 질환 3가지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몸에 생긴 붉은 반점으로 의심할 수 있는 질환 3가지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이모인 헬스조선 인턴기자  입력 : 2018.02.08 14:41   붉은 반점이 대칭적으로 생겼다면 ‘HS...  
787 하루에 소변을 몇 번을 봐야 정상일까? 불씨 550 2018-02-13
하루에 소변을 몇 번을 봐야 정상일까?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하루에 소변을 몇 번을 봐야 정상일까?   헬스조선 편집팀  입력 : 2018.02.12 08:00   소변은 하루에 몇 번을 봐야 정상일까? / 사진-헬스조선DB 소변은 몸의 대사 과정을 실시간으로 보...  
786 ‘제가 먹는 약이 무엇이죠?’ 약 받을 때 꼭 물어보세요 불씨 387 2018-02-13
‘제가 먹는 약이 무엇이죠?’ 약 받을 때 꼭 물어보세요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제가 먹는 약이 무엇이죠?’ 약 받을 때 꼭 물어보세요   황인태 헬스조선 기자  사진 김지아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02.12 08:30 열린 약국 환자마다 복약지도 하는 ...  
785 겨울철 피부 망치는 잘못된 상식 4 불씨 91 2018-02-12
겨울철 피부 망치는 잘못된 상식 4 겨울철 피부 망치는 잘못된 상식 4   입력 F 2018.02.09 13:57 수정 2018.02.09 13:57     수분 부족, 찬바람, 실내 난방, 혈액 순환이 잘 안 되는 것 등 겨울철이면 피부를 건조하게 만드는 주된 요인들이다. 그러나 겨울 ...  
784 폐 질환 막는 식사법 불씨 144 2018-02-12
폐 질환 막는 식사법 폐 질환 막는 식사법   입력 F 2018.02.05 07:40 수정 2018.02.05 07:40   폐렴, 결핵, 만성 폐쇄성 폐질환, 폐암 등의 폐 질환은 다른 어떤 질병보다 심한 고통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폐 질환을 예방하려면 어떻게 해야 ...  
783 사랑할 때 신체에 일어나는 6가지 변화 불씨 241 2018-02-12
사랑할 때 신체에 일어나는 6가지 변화 입력 F 2012.11.04 08:41수정 2012.11.09 16:38   도파민•옥시토신•면역유전자•냄새… “심장이 쿵쿵 뛰고 다리가 후들거리며 머리가 빙빙 돈다”. 사랑에 빠진 사람들을 묘사하는 노래와 시의 표현이다. 사랑은 정말로 우...  
782 치약은 상쾌한 맛이 최고?…구강상태별 '치약 선택' TIP 불씨 129 2018-02-11
치약은 상쾌한 맛이 최고?…구강상태별 '치약 선택' TIP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치약은 상쾌한 맛이 최고?…구강상태별 '치약 선택' TIP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입력 : 2018.02.08 11:30     치약을 고를 때는 무조건 향이나 맛을 보기 보다는 본인...  
781 100세 시대를 넘어 120세 시대로…長壽할 준비 되셨습니까? ③ 불씨 112 2018-02-11
  100세 시대를 넘어 120세 시대로…長壽할 준비 되셨습니까? ③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100세 시대를 넘어 120세 시대로…長壽할 준비 되셨습니까? ③   김진구 헬스조선 기자  / 도움말 박상철(전남대 연구석좌교수), 서울대 노화고령사회연구소   / 참...  
780 100세 시대를 넘어 120세 시대로…長壽할 준비 되셨습니까? ② 불씨 215 2018-02-11
100세 시대를 넘어 120세 시대로…長壽할 준비 되셨습니까? ②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100세 시대를 넘어 120세 시대로…長壽할 준비 되셨습니까? ②   김진구 헬스조선 기자 kjg@chosun.com   / 도움말 박상철(전남대 연구석좌교수), 서울대 노화고령사...  
779 발로 알아보는 건강 상태 5 불씨 221 2018-02-10
발로 알아보는 건강 상태 5 발로 알아보는 건강 상태 5   입력 F 2018.02.09 17:20 수정 2018.02.09 17:20     발은 ‘제2의 심장’이라고도 불린다. 우리 몸의 균형을 잡아주고 내 몸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발이 건강해야 우리 몸도 건강하다. 이...  
778 가족 중 독감 환자 있을 땐 이렇게 하라 불씨 1529 2018-02-10
가족 중 독감 환자 있을 땐 이렇게 하라 가족 중 독감 환자 있을 땐 이렇게 하라   입력 F 2018.02.09 11:30 수정 2018.02.09 11:30     집에 독감 환자가 생기면 어떻게 해야 할까? 미국의 뉴욕 타임스가 이에 대한 전문가들의 조언을 소개한다. 일단 환자가 ...  
777 겨울철 피부 망치는 잘못된 상식 4 불씨 100 2018-02-10
겨울철 피부 망치는 잘못된 상식 4 겨울철 피부 망치는 잘못된 상식 4   입력 F 2018.02.09 13:57 수정 2018.02.09 13:57     수분 부족, 찬바람, 실내 난방, 혈액 순환이 잘 안 되는 것 등 겨울철이면 피부를 건조하게 만드는 주된 요인들이다. 그러나 겨울 ...  
776 실신, 졸도...갑자기 쓰러지는 이유 5 불씨 3275 2018-02-09
실신, 졸도...갑자기 쓰러지는 이유 5 실신, 졸도...갑자기 쓰러지는 이유 5   입력 F 2018.02.04 11:00 수정 2018.02.04 11:00   실신(졸도)은 급작스런 뇌혈류 감소로 인하여 일시적으로 의식을 잃고 자세를 유지하지 못해 쓰러지는 증상이다. 최근에는 이런...  
775 건강을 위해 ‘덜 앉아 있는 요령’ 6가지 불씨 97 2018-02-09
건강을 위해 ‘덜 앉아 있는 요령’ 6가지 건강을 위해 ‘덜 앉아 있는 요령’ 6가지   입력 F 2011.11.02 08:12 수정 2011.11.02 08:27                                               움직이면서 전화 받기, S자로 앉기 등   하루 종일 책상에 앉아 생활하는 사...  
774 과학이 만드는 '호모헌드레드'…인간 평균수명 100세 불씨 206 2018-02-09
MK News - 과학이 만드는 `호모헌드레드`…인간 평균수명 100세   과학이 만드는 '호모헌드레드'…인간 평균수명 100세   원호섭,김윤진 기자 입력 : 2018.02.05 17:46:15   수정 : 2018.02.05 22:02:04     ◆ 과학이 이끄는 호모헌드레드 ① ◆ "장수는 태어나는 ...  
773 소화력 증진시키는 방법 5 불씨 235 2018-02-07
소화력 증진시키는 방법 5 소화력 증진시키는 방법 5   입력 F 2018.02.04 10:39 수정 2018.02.04 10:39   전날 술을 입에 대지 않았는데도 속이 쓰리고, 몇 숟가락 뜨지 않아 벌써 배가 꽉 찬 느낌이 들고, 수시로 구역질이 나고.... 건강 검진을 받으면 별다...  
772 부탁할 일, 오른쪽 귀에 말해야 효과 불씨 179 2018-02-07
부탁할 일, 오른쪽 귀에 말해야 효과 부탁할 일, 오른쪽 귀에 말해야 효과   입력 F 2018.02.02 15:09 수정 2018.02.02 15:09     긴히 부탁할 일이 있으면 상대에게 조용히 다가가 귓속말을 하는 게 보통이다. 그런데 이렇게 귀엣말을 나눌 때도 오른쪽 귀에 ...  
771 새해 결심 재시동 거는 방법 불씨 135 2018-02-07
새해 결심 재시동 거는 방법 새해 결심 재시동 거는 방법   입력 F 2018.02.02 14:58 수정 2018.02.02 14:58     2018년이 시작된 지 이제 한 달. 금연, 금주, 다이어트... 계획대로 잘 실천하고 계신지? 아니면 새해 결심 따위, 벌써 포기하고 막 살고 계신지...  
770 효과 큰 겨울 운동, 제대로 하는 법 불씨 129 2018-02-06
효과 큰 겨울 운동, 제대로 하는 법 효과 큰 겨울 운동, 제대로 하는 법   입력 F 2018.01.31 17:01 수정 2018.01.31 17:01     오랜만에 낮 기온이 영상권으로 올라갔다. 최강 한파 속에 잠시 쉬었던 운동을 다시 시작할 때다. 겨울의 추운 날씨를 잘 극복하...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