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건강과생활

"내 몸의 신진대사 내가 다 망쳐"...최악의 식습관은?

지해미입력 2023. 12. 23. 08:31
 

 

 

 

영양 풍부하고 천천히 소화되는 음식이 신진대사에 도움

 

신진대사가 느려지면 피부가 건조해지고, 피로해지며, 체중 감량이나 유지가 어려워지는 등 여러 가지 면에서 건강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신진대사는 우리가 섭취한 음식을 분해하고 합성해 에너지로 전환하는 과정이다. 우리가 휴식을 취하고 잠을 잘 때조차 끊임없이 이뤄지는 이 신진대사 과정이 느려지면 피부가 건조해지고, 피로해지며, 체중 감량이나 유지가 어려워지는 등 여러 가지 면에서 건강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러한 신진대사를 느려지게 하는 나쁜 식습관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고 이를 피하면 전반적인 건강이 개선될 수 있다. 신진대사를 방해하는 최악의 식습관, 미국 건강정보 매체 'Eat This, Not That'에서 소개했다

1. 정제 탄수화물과 첨가당을 너무 많이 먹는다

설탕이 잔뜩 들어간 시리얼, 흰 빵과 같이 정제된 탄수화물을 너무 많이 먹으면 혈당 수치가 급격히 상승한 후 빠르게 떨어지는데, 이러한 급격한 혈당 수치 변동이 신진대사를 방해해 신체가 에너지를 조절하고 지방을 효과적으로 저장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첨가당을 과하게 섭취할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설탕을 많이 먹으면 인슐린저항성(혈당을 낮추는 인슐린의 기능이 떨어져 세포가 포도당을 효과적으로 연소시키지 못하는 현상)이 생길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역시 혈당 수치를 조절하고 효율적으로 지방을 저장하지 못하게 되어 신진대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 건강한 지방을 충분히 먹지 않는다

생선, 아보카도, 견과류와 같이 건강한 지방이 들어있는 음식은 맛도 좋고 포만감도 주지만 대사 건강에도 중요하다. 건강한 지방을 충분히 먹지 않으면 신진대사가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는데, 이유는 지방이 호르몬 조절과 전반적인 대사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아보카도, 견과류, 올리브오일 등에 들어있는 지방은 지용성 비타민(A, D, E, K) 흡수 및 인슐린이나 갑상선호르몬과 같은 중요한 호르몬 생성에 필수다. 따라서 건강한 지방을 충분히 섭취하지 않을 경우, 우리 몸은 호르몬 균형을 유지하고 적절히 영양소를 흡수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어 잠재적으로 대사가 불규칙해지고 에너지 불균형이 생길 수 있다.

3. 칼로리 섭취량을 급격히 줄여 살을 뺀다

빠르게 살을 빼야 한다는 유혹은 너무나 달콤하지만, 식사량을 급격히 줄여 빠른 시간 내에 결과를 보려는 건 건강에 이롭지 못하며 오히려 신진대사를 방해할 수 있다. 극단적으로 칼로리를 제한하면, 우리 몸은 에너지를 보존함으로써 줄어든 칼로리 섭취량에 적응하기 때문에 신진대사가 느려진다. 이렇게 되면 근육이 손실되기 쉬워, 다시 정상적인 식사량으로 돌아갔을 때 건강한 체중을 유지하기가 더 어려워진다. 따라서 급하게 식습관을 바꾸기보다는 시간 여유를 두고 생활습관을 변화시키는 것이 장기적으로 건강을 지키고 체중을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이다.

4. 비타민과 미네랄을 충분히 섭취하지 않는다

가공식품을 주로 섭취하고 과일과 채소를 충분히 먹지 않으면 중요한 비타민과 미네랄을 충분히 얻지 못할 수 있으며, 이는 대사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다. 비타민과 미네랄과 같은 미량영양소가 다양한 대사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가령, 비타민과 미네랄을 에너지 생성, 영양소 대사, 호르몬 조절에 관여하는 효소의 필수 보조인자다. 몸에 이러한 영양소가 부족하면 음식을 에너지로 효율적으로 전환하고, 식욕을 조절하며, 적절한 대사 균형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이 생겨 신진대사가 느려지고 다양한 대사장애가 생길 수 있다.

5. 운동 후 간식을 먹지 않는다

살을 빼려고 운동을 한 후에도 간식을 먹지 않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는 좋은 생각이 아니다. 보통 운동 후에는 배가 더 고프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과식(특히, 탄수화물)을 하기 쉽다. 충분한 영양소를 공급해 몸을 잘 회복할 수 있는 기간만 놓친 게 아니라, 혈당 변동이 심해지는 상황에 놓이게 되어 신진대사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갈 수 있다. 앞서 언급했듯, 혈당이 자주 급등과 급락을 거듭하게 되면 신진대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피하는 것이 좋다.

6. 과음을 한다

술을 많이 마시면 우리 몸은 섭취한 다른 영양소보다 알코올을 먼저 분해한다. 이로 인해 지방이 더 많이 쌓이게 되고 연소되는 지방이 줄어들 수 있다. 게다가, 술을 많이 마시다 보면 식욕이 늘어나고 건강에 좋지 않은 음식을 선택하게 되기도 쉽다.

7. 하루 동안 충분한 단백질을 먹지 않는다

대사 건강 증진에 있어 충분한 단백질 섭취는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영양 및 신진대사' 저널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고단백 식단은 전반적인 신진대사 개선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전문가들은 단백질을 얼마나 먹느냐 뿐만 아니라 언제 섭취하는지도 중요하다고 말한다. 근육 성장과 회복을 극대화하려면 매 식사와 간식에 단백질을 적절히 배분하는 것이 좋다. 하루 동안 단백질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도록 매 끼니마다 구체적인 단백질 섭취 목표를 세우는 게 도움이 된다. 한 끼에 최소 20~25g 가량의 단백질을 섭취하는 게 좋고, 특히 아침에는 단백질을 충분히 섭취하도록 한다.

8. 아침을 거른다

어떤 이유에서든, 아침식사는 거르지 않는 게 좋다. 신진대사를 불이라고 생각해보라. 불이 타기 위해서는 불을 붙여야 한다. 아침식사가 바로 이 역할을 한다. 섬유질, 단백질, 건강한 지방 등 영양이 풍부한 아침식사로 불을 붙이는 것, 즉 신진대사를 활성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9. 하루에 필요한 칼로리를 밤에 몰아서 먹는다

아침식사도 중요하지만, 다른 식사에도 신경 써야 한다. 예를 들어, 저녁이나 늦은 밤에 칼로리를 많이 섭취하는 사람은 신진대사에 방해가 되는 행동을 하고 있다. 우리 몸은 활동량이 많고 적절한 연료 공급이 필요한 낮 시간에 음식을 섭취하길 좋아한다. 해가 지면 소화시스템은 수면을 준비하기 위해 느려진다. 아침식사를 거르고, 낮에 거의 먹지 않고, 저녁에 하루 칼로리의 많은 부분을 섭취하는 사람은 자연스러운 생체리듬에 반하는 행동을 하고 있는 것이다. 자연스러운 생체리듬에 따라 신진대사 균형을 맞추려면 아침식사는 영양이 풍부하게, 점심식사는 푸짐하게, 저녁식사는 적은 양을 먹는 게 좋다.

10. 섬유질을 충분히 먹지 않는다

섬유질도 대사 건강 관리에 중요한 요소다. 영양학 저널 '뉴트리언트'에 따르면, 섬유질은 신진대사를 건강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뿐 아니라 2형당뇨병, 심혈관질환 등을 예방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신진대사에서 섬유질은 소화 과정과 포만감 유지에 도움을 준다. 섬유질을 먹으면 소화 과정에서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에 신진대사를 높일 수 있으며,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은 하루 종일 포만감을 유지하도록 해준다.

11. 충분한 칼로리를 섭취하지 않는다

하루 동안 몸에 필요한 칼로리를 충분히 섭취하지 않아도 신진대사가 느려질 수 있다. 칼로리를 소모하려면 칼로리를 섭취해야 한다. 너무 적은 칼로리를 섭취하면 우리 몸은 음식이 부족하다고 인식해, 이를 보상하기 위해 신진대사 속도를 늦춘다.

12. 초가공식품을 너무 많이 먹는다

얼마나 먹는지, 언제 먹는지도 중요하지만 어떤 음식을 먹는지도 중요하다. 많은 전문가들이 가공식품 섭취를 제한할 것을 권하는 이유다. 대개 가공을 많이 거친 음식은 빠르게 소화되고 섬유질이 부족하다. 때문에 소화시키는 데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지 않다. 빨리 식사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가능하면 통곡물, 견과류, 콩, 과일, 채소와 같이 섬유질이 풍부한 간식을 선택하도록 한다.

지해미 기자 (pcraemi@kormedi.com)

Copyright© 코메디닷컴

 

 

출처: https://v.daum.net/v/20231223083146347

조회 수 :
108
등록일 :
2023.12.26
08:19:34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www.hfire.or.kr/310125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sort
349 사망원인 2위 '심혈관 질환' 예방법 11 불씨 117 2023-07-12
사망원인 2위 '심혈관 질환' 예방법 11 김수현입력 2023. 7. 10. 06:30       식습관의 변화로 인해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심혈관 질환에 의한 사망률은 생활방식의 개선을 통해 예방이 가능하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한국인의 사망 원인 1위 암에 이어, 두...  
348 삼복(三伏), 건강하고 알차게 보내는 ‘보양법’ [건강 나침반] 불씨 114 2023-07-13
삼복(三伏), 건강하고 알차게 보내는 ‘보양법’ [건강 나침반]  이영수입력 2023. 7. 11. 07:43       글‧경희대한방병원 사상체질과 이준희 교수‧한방소아청소년센터 이선행 교   (사진 왼쪽부터) 경희대한방병원 사상체질과 이준희 교수, 한방소아청소년센터 ...  
347 림프액 순환이 중요한 이유…잘 돌게 하려면? 불씨 156 2023-07-14
림프액 순환이 중요한 이유…잘 돌게 하려면? 이요세입력 2023. 7. 11. 16:31       림프액 순환에 제일 중요한 것이 심호흡이다. 림프액은 거의 호흡으로 순환하는 것인데, 얕거나 보통 호흡보다 심호흡을 할 때 더 잘 돌아간다. [사진= 게티이미지뱅크]혈액은...  
346 수분 2%만 부족해도, 우리 몸에 생기는 일 불씨 338 2023-07-15
수분 2%만 부족해도, 우리 몸에 생기는 일 이지형 객원기자입력 2023. 7. 13. 21:30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개인차가 있지만 성인의 경우, 몸의 60~70%가 물이다. 그렇게 많은 게 물이니, 하루에 물 몇 잔 안 먹는다고 무슨 일 생기겠나 싶다. 그런데 ‘물 ...  
345 5분 만에 행복해지는 네 가지 방법 불씨 120 2023-07-16
5분 만에 행복해지는 네 가지 방법 권순일입력 2023. 5. 23. 09:06         음악 듣기, 친절한 행동 등   음악 듣기는 쉽게 행복감을 북돋울 수 있는 방법으로 꼽힌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행복은 슬픔, 기쁨과 같은 감정이다. 누구나 즐겁다가도 화가 날 수...  
344 "입 속 청결해야 암 위험 낮아져…구강세균이 장기에 직접 영향" 불씨 118 2023-07-17
"입 속 청결해야 암 위험 낮아져…구강세균이 장기에 직접 영향" 김수연 기자입력 2023. 7. 13. 13:28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구강 건강 상태가 나쁠 경우, 각종 암 발생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고려...  
343 좋다고 많이 마시면 '독'...여름철 똑똑한 물 섭취법 불씨 178 2023-07-18
좋다고 많이 마시면 '독'...여름철 똑똑한 물 섭취법 정지인입력 2023. 7. 1. 15:01       운동 전과 후에 적당량 섭취 중요   운동 직전에 다량의 물을 한꺼번에 마시지 않고 소량의 물을 나눠 마실 것을 추천한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무더위로 다른 계절...  
342 여름에 걷기 운동, 아무 때나 하지말고 '이 시간' 적합 불씨 279 2023-07-19
여름에 걷기 운동, 아무 때나 하지말고 '이 시간' 적합 정지인입력 2023. 7. 18. 15:00       여름철에는 해가 뜬 낮 시간 보다는 해가 한풀 꺾인 시간대에 움직이는 것을 추천한다. [사진= 게티이미지뱅크]특별한 도구없이, 시간에도 구애받지 않고 누구나 편...  
341 산책...어쩌다 과식했을 때 대처법 4 불씨 133 2023-07-20
산책...어쩌다 과식했을 때 대처법 4 권순일입력 2023. 7. 17. 09:16         움직이고, 물마시고...   과식을 했을 때는 설거지 등의 활동을 하는게 좋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건강한 식생활을 실천하려면 매일 같은 시간에 규칙적으로 식사를 하는 게 우선...  
340 노쇠하고 있다는 신호... '노인증후군'을 아시나요? 불씨 120 2023-07-21
노쇠하고 있다는 신호... '노인증후군'을 아시나요? 이요세입력 2023. 7. 19. 13:30수정 2023. 7. 19. 14:32         주위가 도는 느낌, 가벼운 실신, 낙상, 가벼운 두통 등은 보행을 어렵게 만들고 낙상의 위험을 높인다. [사진= 게티이미지뱅크]오래 사는 것...  
339 손톱 아래 32종 곰팡이가? 귀찮다고 제때 안 깎았다간 ‘이런 위험’ 불씨 124 2023-07-22
손톱 아래 32종 곰팡이가? 귀찮다고 제때 안 깎았다간 ‘이런 위험’ 이해림 기자입력 2023. 7. 18. 05:00       긴 손톱 아래엔 폐렴균, 요도감염균, 효모균, 황색포도상구균 등 다양한 균이 서식할 수 있으므로, 지나치게 길어지기 전에 깎아야 한다./사진=클...  
338 '이런 습관'만 버려도 질병 피한다… 5가지 '악습' 정리 불씨 132 2023-07-24
'이런 습관'만 버려도 질병 피한다… 5가지 '악습' 정리 이지형 객원기자입력 2023. 7. 23. 07:00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사소하지만 반복될 경우 우리 몸을 위험에 노출시키는 생활 습관들이 있다. 그 정도로 병까지? 내 일상을 복기하다 보면, 사소...  
337 모기 물린 곳 침 발랐다간? 최악의 경우 '이렇게'까지… 불씨 108 2023-07-25
모기 물린 곳 침 발랐다간? 최악의 경우 '이렇게'까지… 이해나 기자입력 2023. 7. 23. 16:00       모기 물린 곳에 침을 바르는 행위는 봉와직염을 유발할 수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모기는 여름철 대표 불청객이다. 모기에 물리면 피부가 붓고 가려운데, ...  
336 수명 연장하는 8가지 생활습관…"모두 지키면 24년 장수 효과" 불씨 146 2023-07-26
수명 연장하는 8가지 생활습관…"모두 지키면 24년 장수 효과" 이주영입력 2023. 7. 25. 05:37수정 2023. 7. 25. 06:47       美연구팀, 재향군인 72만명 추적 결과…"늦게 시작해도 효과"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40세 이후부터라...  
335 '영양 3총사' 아몬드, 호두, 피스타치오...내게 맞는 것은? 불씨 120 2023-07-27
'영양 3총사' 아몬드, 호두, 피스타치오...내게 맞는 것은? 김근정입력 2023. 7. 26. 05:30         아몬드, 호두, 피스타치오 건강상 이점 비교...목적 따라 좋은 선택 달라져   아몬드는 비타민E가 많이 들어있는 대표적인 식품이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  
334 폭염에 건강 적신호 ...먼저 "뇌와 심장을 지켜라" 불씨 119 2023-07-28
폭염에 건강 적신호 ...먼저 "뇌와 심장을 지켜라" 김수현입력 2023. 7. 27. 20:30       여름철 위험한 질병과 대처법 6가지   기온과 습도가 높고, 자외선이 강한 여름철에는 건강을 지키는데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폭염이 기...  
333 뜨거운 한여름의 슬기로운 '햇볕 활용법' 불씨 112 2023-07-29
뜨거운 한여름의 슬기로운 '햇볕 활용법' 이지형 객원기자입력 2023. 7. 21. 07:00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사람들은 보이는 것만 본다. 빛도 그중 하나다. 빨주노초파남보, 일곱 빛깔의 가시광선을 파장 길이로 정의하면 400~700nm(나노미터)에 해당...  
332 운동하고 땀 쫙 빼면 개운했는데…몰랐던 사실 [건강!톡] 불씨 117 2023-07-30
운동하고 땀 쫙 빼면 개운했는데…몰랐던 사실 [건강!톡] 김세린입력 2023. 7. 22. 10:49수정 2023. 7. 22. 11:38       흐르는 땀 바로 닦아야…'어루라기' 위험 체내 수분·전해질 소실에 변비 주의해야 흐른 땀에 비해 줄어든 소변량…요로결석   사진=게티이미...  
331 “움직이지 않는 것은 나쁘다”...운동과 노화에 대한 진실 불씨 110 2023-07-31
“움직이지 않는 것은 나쁘다”...운동과 노화에 대한 진실 권순일입력 2023. 7. 21. 08:13       [권순일의 헬스리서치] 운동은 나이가 들어서도 건강과 활동성을 유지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건강 전문가들은 "움직이지 않는 것은 나쁘다...  
330 사레 방치하다 사망까지?...고령층은 ‘이 질환’ 주의해야 불씨 120 2023-08-01
사레 방치하다 사망까지?...고령층은 ‘이 질환’ 주의해야 조수완입력 2023. 7. 21. 21:01       누구나 한 번쯤은 밥을 먹다가 사레가 들릴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사레가 빈번하게 발생한다면 경각심을 가지고 대처해야 한다. 사레가 방치되면 흡인성 폐렴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