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건강과생활

아래층·옆집 불 났을 때 살아남는 요령… 꼭 기억해야 [살아남기]​

신소영 기자입력 2024. 1. 19. 07:00수정 2024. 1. 19. 11:36

 

 

 

사진=경기도소방재난본부제공, 연합뉴스DB
최근 아파트 화재가 빈번하다. 지난 성탄절 당일 도봉구 아파트 화재부터 27일 수원 아파트 화재, 올해 들어서도 군포시와 세종시 아파트 화재 등이 잇따라 안타까운 인명피해를 남기기도 했다. 지난 5년간 발생한 아파트 화재만 해도 무려 1만4112건. 인명피해는 1781명(사망 174명·부상 1607명)에 달했다(소방청 아파트 화재 통계). 아파트 화재는 생각만 해도 공포감이 몰려온다. 몇 세대를 가로질러 불길과 연기로 검게 그을린 아파트 화재 현장을 보면 다른 집에서 불이 났다고 해도 그저 남의 일만이 아니기 때문이다. 아파트에 불이 나면 가장 안전하게 대피하는 방법은 뭘까
 

◇상황별 대피 방법 달라… 무리한 대피가 위험한 경우도

화재가 발생하면 대피가 상책이라는 것은 다 알고 있다. 하지만 ‘무조건적인 대피’보다는 화재 발생 장소와 불길 및 연기의 영향 여부 등을 판단해 ‘상황에 맞게 대피’해야 한다. 대피 중 예상치 못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 최근 소방청이 배포한 ‘아파트 화재 피난행동요령’을 보면 크게 4가지 상황으로 나눠 대피 방법을 제시했다. 모든 경우에 화재 사실을 집에 있는 사람에게 알리고, 비상벨을 누르고, 119에 신고하는 것이 우선이다.

▶자기 집 화재 시 대피가 가능한 경우=대피

지상층, 옥상 등 안전한 장소로 신속하게 대피한다. 이때는 계단을 이용해 최대한 낮은 자세로 이동해야 한다. 엘리베이터는 연기로 인해 질식하거나 갇힐 위험이 있으므로 타지 않는다. 집에서 나올 땐 출입문을 반드시 닫는다. 화재가 발생한 세대의 현관문이 개방되면 계단 등 수직통로를 통해 다량의 연기(유독가스)가 빠른 속도로 위층으로 퍼질 수 있다.

▶자기 집 화재 시 대피가 어려운 경우=구조요청

집 현관문을 통해 나갈 수 없다면 집의 ▲대피공간 ▲경량 칸막이 ▲하향식 피난기구 등이 설치된 곳으로 이동해 대피해야 한다. 대피공간은 출입문이 방화문이며 화재 발생 시 피난 가능한 공간이다. 2005년 이후 시공된 아파트 등엔 설치돼 있다. 경량 칸막이는 아파트 베란다에 설치된 석고보드 등 얇은 판 구조로, 아래를 부수고 옆 세대로 통과할 수 있다. 하향식 피난기구는 화재 시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있는 피난설비로, 승강 버튼을 이용해 레버를 밟고 내려오면 된다. 

사진=아파트 세대 내부 피난설비./사진=소방청 제공
만약 대피공간 등이 없는 경우 베란다로 이동해 외부에 구조요청을 하거나, 화염·연기로부터 멀리 이동해 문을 닫고 젖은 수건이나 테이프 등으로 문 틈새를 막아야 한다. 화염이 완전히 극대화하지 않은 초기 단계라면 화장실에서 문틈을 막고, 물을 틀어두는 것도 방법이다.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김정훈 교수는 “물이 산소 공급도 하고, 화기를 예방할 수 있다”며 “유독가스를 막아줘 내부 공간을 보호하고, 구조대가 오면 구호를 받아 생존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른 곳(다른 세대·복도·계단실·주차장 등) 화재 시 자기 집으로 화염·연기가 들어오지 않는 경우=대기

이때는 무리하게 밖으로 피난하지 말고, 집 안에서 대기하며 화재 상황을 주시한다. 연기가 들어오지 못하게 창문을 모두 닫은 뒤 안내방송에 따라 행동한다. 만약 향후 화재가 확산해 세대 내로 화염, 연기가 유입된다면 즉시 피난한다. 국가화재정보시스템 통계에 따르면 아파트의 연소확대 특성상 대부분(98.2%)의 화재가 발화층 이내로 국한된다. 이에 반해 대부분(39.1%)의 인명피해가 대피 과정에서 발생한다. 실제 지난해 한 아파트 1층에서 불이 나 계단실로 연기가 확산된 상황에서 10층 세대 내로 화염·연기가 확산하지 않았으나, 계단으로 대피 중 연기흡입으로 사망한 사례가 있다.

▶다른 곳 화재 시 자기 집으로 화염·연기가 들어오는 경우=대피 또는 구조요청

보통 아래층에서 발생한 화재가 위층으로 확대되는 경우 혹은 복도식 아파트에서 옆 세대에서 발생한 화재가 인근 세대로 전파되는 경우다. 이땐 즉각적인 대피가 요구된다. 만약 복도, 계단에 화염·연기가 없어 대피가 가능하다면 계단을 이용해 낮은 자세로 지상층, 옥상 등 안전한 장소로 대피한다. 하지만 복도, 계단에 화염·연기가 퍼져 대피가 어렵다면 외부에 구조요청을 하거나, 집의 피난설비를 활용해 대피한다. 없다면 화염으로부터 멀리 이동해 문을 닫고 젖은 수건 등으로 틈새를 막는다.

◇물수건으로 코 막기 필수·뛰어내리기는 금물

대피할 때 관건은 연기(유독가스) 흡입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화재로 인한 사망 원인의 대부분(71.2%)을 연기에 의한 질식이 차지한다. 아래에서 위로 확산하는 속도가 빠른 연기의 특성 탓이다. 김정훈 교수는 “유독가스를 마시면 바로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대피할 때는 물수건으로 코를 막아야 한다”며 “그래야 산소 공급과 유독가스 정화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또 대피할 때 옷에 물을 뿌려두면 화기를 피할 때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불이 났다고 무작정 아파트에서 뛰어내리는 건 금물이다. 김정훈 교수는 “뛰어내렸다간 바로 추락 사고나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안에 사람이 있다는 신호로 옷가지를 흔드는 등 사인을 먼저 보내고, 안 되면 피난설비를 이용해 대피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파트 화재 사고를 예방하려면 가족 구성원 모두가 동참해 대피 계획을 세우고 소방·피난시설 위치와 사용법을 미리 숙지해둬야 한다. 특히 베란다의 경량칸막이, 하향식피난구 쪽에 적재물을 쌓아두는 사람이 많다. 불이 났을 때 빠른 대피를 위해서 미리 정리해두자. 연 2회 이상 가족이 참여한 대피연습을 하는 것도 권장한다.

사진=아파트 화재 대피요령/사진=소방청 제공​

Copyright© 헬스조선

 

 

출처: https://v.daum.net/v/20240119070018463

조회 수 :
161
등록일 :
2024.01.22
07:54:29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www.hfire.or.kr/310137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sort 날짜
1371 시간'으로 알아보는 우리 몸의 신비 불씨 159 2018-04-03
'시간'으로 알아보는 우리 몸의 신비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시간'으로 알아보는 우리 몸의 신비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이모인 헬스조선 인턴기자  입력 : 2018.03.21 16:11   우리 몸이 반응하고 변화하는 데 필요한 시간은 다양하다. /사진=헬스조...  
1370 부산서 집단발병 A형간염..최고의 예방법은 '백신 접종' 불씨 159 2019-08-05
부산서 집단발병 A형간염..최고의 예방법은 '백신 접종' 임웅재 기자 입력 2019.08.02. 17:29   초기 증상 감기·장염과 비슷 예방접종 못받은 40대 이하 대부분 바이러스 항체 없어 어패류 반드시 익혀 먹어야     [서울경제] 부산에서 한 식당 이용객을 중심...  
1369 "눈이 뻑뻑해".. 안구건조증 방치했다가 <건강> 불씨 159 2019-12-29
"눈이 뻑뻑해".. 안구건조증 방치했다가 <건강> 홍예지 입력 2019.12.03. 10:34     백내장, 녹내장 증상과 일부 비슷.. 주의해야      [사진=픽사베이] /사진=fnDB     [파이낸셜뉴스] 겨울에는 건조한 날씨와 미세먼지로 눈이 뻑뻑해지는 안구건조증 환자가 ...  
1368 행복한 일 없어도..행복 호르몬 늘릴 방법은? 불씨 159 2020-02-28
행복한 일 없어도..행복 호르몬 늘릴 방법은? 이주연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0.02.14. 17:31     행복도 '호르몬'이 결정   차분히 생각을 비우는 명상을 하면 세로토닌 분비에 도움이 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행복하려면 꼭 행복한 일이 일어나야만 하는 ...  
1367 몸을 '쭉~쭉~' 통증 잡는 간단 스트레칭 불씨 159 2020-05-03
몸을 '쭉~쭉~' 통증 잡는 간단 스트레칭 헬스조선  편집팀 입력 2019.04.27 07:38   클립아트코리아   스트레칭을 잘 하는 것만으로도 몸의 통증을 줄일 수 있다. 혈류량을 늘려주고 근육을 이완시켜주기 때문이다. 각 부위별 추천 스트레칭 동작을 소개한다. ...  
1366 치매로 가는 길목 경도인지장애.. 많이 읽고, 씹고, 걷는 '3多' 하세요 불씨 159 2020-05-23
치매로 가는 길목 경도인지장애.. 많이 읽고, 씹고, 걷는 '3多' 하세요 박찬구 입력 2020.05.20. 05:07     건망증·경도인지장애·치매 가이드   [서울신문]툭 하면 비밀번호를 잊어버린다. 비밀번호를 휴대전화 메모지에 적어 놓지만 적어 놨다는 사실조차 깜...  
1365 [건강한 가족] 10대는 손 씻기, 30대는 스트레칭 수시로, 60대는 선글라스, 80대는 책·신문을 벗으로 불씨 159 2021-02-23
[건강한 가족] 10대는 손 씻기, 30대는 스트레칭 수시로, 60대는 선글라스, 80대는 책·신문을 벗으로 입력 2021. 01. 04. 00:04 수정 2021. 01. 04. 09:40 댓글 119개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 연령대별 잘 걸리는 질환 ...  
1364 건강하게 나이 들려면? 하루 '0000' kcal 섭취해야 불씨 159 2021-04-06
건강하게 나이 들려면? 하루 '0000' kcal 섭취해야 신은진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1. 04. 05. 05:00   나이가 들면 식사량은 줄이고 식사의 질은 높여야 한다. /사진설명=게티이미지뱅크나이가 들면 식욕이 줄고 소화기능이 감퇴해 영양 불량이 생기기 쉽다. ...  
1363 코로나 항체, 5개월 지나면 효과 뚝..완치돼도 안심 못한다 불씨 159 2021-04-16
코로나 항체, 5개월 지나면 효과 뚝..완치돼도 안심 못한다 고석현 입력 2021. 04. 16. 01:20 수정 2021. 04. 16. 05:53   코로나19 바이러스. AFP=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완치자에게 형성된 중화항체가 4~5개월만 지나면 확연히 감퇴...  
1362 노화를 촉진하는 음식 10가지 불씨 159 2021-06-16
노화를 촉진하는 음식 10가지 이보현 기자 입력 2021. 06. 10. 06:31   [사진=게티이미지뱅크]나이 드는 것은 누구도 피해갈 수 없다. 그래도 최대한 젊음을 유지하기 위해서 많은 이들은 시간과 노력의 투자를 아끼지 않는다. 노화에 영향을 주는 주된 요소 ...  
1361 "폰이 왜 이렇게 뜨겁지?"..해킹 예방하는 초간단 방법 불씨 159 2021-08-01
"폰이 왜 이렇게 뜨겁지?"..해킹 예방하는 초간단 방법 차현아 기자 입력 2021. 07. 31. 13:00 수정 2021. 07. 31. 14:54     美 NSA "스마트폰 수시 재부팅하고 공공 와이파이 피해야"   임종철 디자이너 /사진=임종철 디자이너 최근 이스라엘 민간보안업체 N...  
1360 운동, 한 번에 많이 vs 조금씩 자주.. 뭐가 더 좋을까? 불씨 159 2022-08-18
운동, 한 번에 많이 vs 조금씩 자주.. 뭐가 더 좋을까? 이원영 헬스조선 인턴기자 입력 2022. 08. 17. 06:30 댓글 12개     운동은 양보다 빈도가 더 중요하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운동을 한 번에 많이 하는 것보다는 조금씩 자주 하는 것이 근육 강도를 높...  
1359 운동에도 때가 있다? 아침·점심·저녁 추천 운동 불씨 159 2022-12-25
운동에도 때가 있다? 아침·점심·저녁 추천 운동 입력 2022. 12. 23. 16:05수정 2022. 12. 24. 19:05       ‘운동해야지!’라고 다짐은 했어도 막상 무슨 운동을 해야 할지 막막해서 선뜻 시작을 못하는 사람들도 많다. 각자 스케줄에 따라 아침에 운동하는 게 ...  
1358 항산화 물질은 왜 건강에 좋을까 불씨 160 2017-02-26
항산화 물질은 왜 건강에 좋을까| Daum라이프 항산화 물질은 왜 건강에 좋을까 코메디닷컴 | 권순일 | 입력 2017.02.26 11:38     산소는 두 얼굴을 가지고 있다. 사람이 살아가는 데 반드시 필요한 생명의 원천이기도 하면서 반대로 너무 과하면 조직 세포를 ...  
1357 당신이 아이에게 배워야 할 4가지 생활 습관 불씨 160 2017-04-18
당신이 아이에게 배워야 할 4가지 생활 습관| Daum라이프 당신이 아이에게 배워야 할 4가지 생활 습관 키즈맘 | 강영주 | 입력 2017.03.08 14:44     [ 강영주 기자 ] 사진/키즈맘 모델 김건우(키즈맘DB) 아이가 갑자기 조용하면 무엇인가 일을 저지르고 있는 ...  
1356 자꾸 나오는 눈물..혹시 눈물흘림증? 불씨 160 2017-05-25
자꾸 나오는 눈물..혹시 눈물흘림증?| Daum라이프 자꾸 나오는 눈물..혹시 눈물흘림증? 코메디닷컴 | 권순일 | 입력 2017.05.24 17:08     가만히 있다가도 눈가를 적시는 눈물에 당황한 적이 있는가. 그렇다면 눈물흘림증을 의심해봐야 한다.   눈물흘림증은 ...  
1355 여름철 피부건강 적신호.. 주근깨, 기미 뭐가 다를까? 불씨 160 2017-06-29
여름철 피부건강 적신호.. 주근깨, 기미 뭐가 다를까?| Daum라이프 여름철 피부건강 적신호.. 주근깨, 기미 뭐가 다를까? 헬스조선 |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 입력 2017.06.27 14:02     여름철 야외활동이 늘어나면서 피부가 햇빛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졌다...  
1354 걸으면 나타나는 건강 효과 6 불씨 160 2017-09-02
걸으면 나타나는 건강 효과 6| Daum라이프 걸으면 나타나는 건강 효과 6 코메디닷컴 | 권순일 | 입력 2017.09.02 10:38       걷기 운동은 가장 안전하면서 효과적인 건강 증진법이다. 규칙적인 30분 걷기가 우리 몸에 불러올 수 있는 변화는 매우 극적이다. ...  
1353 [소소한 건강 상식] 스트레스 받으면 왜 쉽게 체할까 불씨 160 2019-01-10
[소소한 건강 상식] 스트레스 받으면 왜 쉽게 체할까 이금숙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9년 1월 8일  09:00   비에비스 나무병원 민영일 대표원장은 "뇌와 위의 관련성 때문에 뇌-창자 연관질환(Brain-gut syndrome)이라는 개념도 있다"고 말했다.     스트레스 ...  
1352 무더위에 돌연사 왜 늘까? "운동량 조절해야" 불씨 160 2019-07-29
무더위에 돌연사 왜 늘까? "운동량 조절해야" 김용 입력 2019.07.26. 10:59   [사진=Panomphon Damri/shutterstock]     무더위로 땀을 많이 흘리면 체내의 수분량이 부족해 피가 끈끈해져 혈전(피떡)이 발생할 위험이 커진다. 평소 고지방 음식 섭취나 운동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