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건강과생활

코 파고, 코털 뽑고…손으로 하면 왜 위험하죠? [Q&A]

신대현입력 2024. 2. 25. 15:02
 

 

 

 

게티이미지뱅크

습관적으로 코를 파거나 코털을 뽑는 사람이 있다. 손에 병균이 많아서 코에 손가락을 넣지 않는 게 좋다는 건 누구나 알지만 어떤 위험이 있는지는 잘 모른다. 자주 코를 만지면 어떤 위험이 있는지, 코딱지는 떼어내는 게 좋은지 등을 심지성 대한이비인후과의사회 공보이사(연세이비인후과 원장)를 통해 알아봤다.

Q. 손으로 코를 파는 습관은 왜 안 좋나요?

A. 손과 손톱에는 상상 이상의 많은 세균이 존재합니다. 깨끗하지 않은 손으로 코를 습관적으로 파게 되면 감염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코털이 자라나는 모낭 쪽으로 감염이 일어날 수 있고, 그렇게 되면 연조직염이나 농양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Q. 코딱지는 떼어내는 게 좋나요?

A. 코딱지는 비강 내 정상 분비물과 먼지 등의 외부물질이 뭉쳐져 생성되는 게 일반적입니다. 너무 커진 코딱지는 코막힘이나 이물감을 야기할 수 있어 제거해 주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문제는 방식입니다. 건조한 상태의 코딱지를 힘으로 제거하면 달라붙은 코털이나 점막이 함께 손상을 입으면서 통증과 감염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미온수 등으로 코 내부를 촉촉하게 적셔낸 뒤 풀어내듯이 제거하면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없앨 수 있습니다.  

Q. 코를 건조하게 하면 감기 등 각종 질병에 걸리기 쉽나요?

A. 먼지나 공해물질, 세균, 바이러스 등이 인체에 들어오는 첫 번째 통로가 바로 ‘코’입니다. 코는 1차 방어 기관인 셈이죠. 코털 등이 물리적으로 방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비강점막의 역할 또한 크게 작용합니다. 코가 건조하다는 것은 비강점막의 방어 기능이 약해졌거나 사라졌다는 뜻으로, 바이러스나 세균 등에 노출될 경우 쉽게 감염될 수 있습니다. 특히 점막이 건조해지기 쉬운 가을과 겨울철에는 실내 습도 관리를 이어가야 건강한 비강점막 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Q. 코털을 잘못 뽑거나 깎으면 어떤 위험이 있나요?

A. 코털은 먼지 등을 걸러냅니다. 지나치게 코털이 없으면 안 좋은 물질들이 그대로 코 안쪽이나 목으로 들어와 감염으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코털은 어느 정도 있어야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미관상 거슬릴 정도로 튀어나온 코털만 정리해 주세요

Q. 습관적으로 코를 만지는 사람이 있는데 개선법이 있을까요?

A. 일단 코가 불편해서 만지는지, 습관인지 구분해야 합니다. 이비인후과에서 문진과 내시경 등을 통해 구조적 문제가 있는지, 비염이나 감염 등이 있는지 확인을 하는 게 우선입니다. 만약 문제가 없는데도 코를 자주 만진다면 무의식적인 행동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런 경우 ‘무의식의 의식화’가 필요합니다. 쉽게 말해 스스로를 모니터링하면서 의식적으로 행동을 조절하는 것이죠. 가족의 피드백을 받는 것도 좋습니다. 그런 뒤에도 교정이 안 된다면 약물적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으니 전문의와 상의하세요. 

Q. 코 건강을 위한 조언이 있다면 전해주세요. 

A. 코는 하나의 장기입니다. 그저 뚫려있는 구멍이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하는 필수적 장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 기능으론 가습과 제습, 냉각, 가열, 항균, 항바이러스 등이 있죠. 히터, 에어컨, 가습기, 제습기, 항균필터를 갖춘 최적화된 ‘공조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만능 장기인 코를 소중히 생각하고 잘 관리해 줄 것을 권합니다.

신대현 기자 sdh3698@kukinews.com

Copyright© 쿠키뉴스

 

 

출처: https://v.daum.net/v/20240225150203590

조회 수 :
118
등록일 :
2024.03.17
07:36:22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www.hfire.or.kr/310168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sort
2431 빨리 늙는 나쁜 습관 6 불씨 233 2018-01-26
빨리 늙는 나쁜 습관 6 빨리 늙는 나쁜 습관 6   입력 F 2018.01.24 08:04 수정 2018.01.24 08:04     마라톤을 하고 직접 운전을 하는 등 젊은 사람들 못지않은 활기찬 생활을 하는 노인들이 있다. 반면 40, 50대부터 신생아처럼 거의 움직이지 않는 생활을 ...  
2430 '존엄사' 결정하는 연명의료결정제도 2월 4일부터 본격 시행 불씨 93 2018-01-28
'존엄사' 결정하는 연명의료결정제도 2월 4일부터 본격 시행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존엄사' 결정하는 연명의료결정제도 2월 4일부터 본격 시행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01.24 14:59     연명의료결정제도가 오는 2월 4일부터 본격적으로...  
2429 혈관 막는 '혈전(피떡)' 분해하려면 '이것' 먹으면 된다? 불씨 156 2018-01-28
혈관 막는 '혈전(피떡)' 분해하려면 '이것' 먹으면 된다?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혈관 막는 '혈전(피떡)' 분해하려면 '이것' 먹으면 된다?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이모인 헬스조선 인턴기자  입력 : 2018.01.24 15:24     혈전으로 인한 질병이 있는 ...  
2428 대장(大腸) 건강을 위해 꼭 지켜야 할 식습관 10가지 불씨 132 2018-01-28
대장(大腸) 건강을 위해 꼭 지켜야 할 식습관 10가지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대장(大腸) 건강을 위해 꼭 지켜야 할 식습관 10가지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01.25 14:10   물 마시는 습관은 대장 건강에 도움을 준다. 사진-헬스조선DB   ...  
2427 칫솔 2개 두고, 번갈아 사용하세요 불씨 84 2018-01-29
칫솔 2개 두고, 번갈아 사용하세요 칫솔 2개 두고, 번갈아 사용하세요   입력 F 2018.01.25 17:03 수정 2018.01.25 17:03     대부분의 직장인은 칫솔을 서랍이나 연필꽂이에 넣어둔다. 이렇게 보관한 칫솔로 양치질을 한다. 양치질은 입 속에 남아있는 음식 ...  
2426 최강 한파 맞서는 생활 운동법 8 불씨 84 2018-01-29
최강 한파 맞서는 생활 운동법 8 최강 한파 맞서는 생활 운동법 8   입력 F 2018.01.26 08:07 수정 2018.01.26 08:07   살을 에는 추위로 인해 문 밖으로 나가기조차 쉽지 않다. 하지만 실내에만 머물면서 이것저것 간식을 먹다보면 뱃살은 늘고, 건강에 이상...  
2425 잡념 버리고 잠드는 법 9 불씨 162 2018-01-29
잡념 버리고 잠드는 법 9 잡념 버리고 잠드는 법 9   입력 F 2018.01.26 17:42 수정 2018.01.26 17:42     피곤해 죽겠는데 잠은 오지 않는다. 잡다한 걱정이 머릿속을 꽉 채우고 있기 때문이다. 도저히 생각을 멈출 수 없는 밤. 어떻게 해야 할까? 미국의 ‘헬...  
2424 갈등 푸는 소통 방법 7 불씨 103 2018-01-30
갈등 푸는 소통 방법 7 갈등 푸는 소통 방법 7   입력 F 2018.01.28 09:41 수정 2018.01.28 09:41   사람들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이런 상태는 갈등이 전혀 없을 때 가능하다기보다 그 갈등을 푸는 방법을 두고 합의해 나가는 과정을 ...  
2423 심장마비 막는 방법 6 불씨 144 2018-01-30
심장마비 막는 방법 6 심장마비 막는 방법 6   입력 F 2018.01.28 09:51 수정 2018.01.28 09:51   미국에서는 2월을 '심장 건강의 달'로 삼을 정도로 심장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이와 관련해 '프리벤션닷컴'이 심장 건강을 지키는 방법 6가지를 소개...  
2422 나이 들면 가늘어지는 팔다리, 막는 법은? 불씨 226 2018-01-30
나이 들면 가늘어지는 팔다리, 막는 법은? 나이 들면 가늘어지는 팔다리, 막는 법은?   입력 F 2018.01.30 07:30 수정 2018.01.30 07:30   나이가 들면 팔다리가 가늘어진다. 근육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노인도 근육이 많아야 삶의 질도 높아지고 사망 ...  
2421 항상 피곤하면 의심해야 할 병 5 불씨 276 2018-01-31
항상 피곤하면 의심해야 할 병 5 항상 피곤하면 의심해야 할 병 5   입력 F 2018.01.31 07:44 수정 2018.01.31 07:44   불면증과 수면 부족으로 고생하는 사람이 증가하는 추세다. 바쁜 일상과 화려한 밤 문화, 스마트 기기의 사용 등이 피로를 가중시키는 원...  
2420 음악, 운동 잘 하는 사람 자신감 북돋워 (연구) 불씨 98 2018-01-31
음악, 운동 잘 하는 사람 자신감 북돋워 (연구) 음악, 운동 잘 하는 사람 자신감 북돋워 (연구)   입력 F 2018.01.30 15:16 수정 2018.01.30 15:16     운동을 할 때 분위기를 띄우고, 자신감을 북돋우기 위해 음악을 듣는 사람들이 많다. 어떤 효과가 있을까?...  
2419 각종 연구로 입증된 '기억력' 향상에 도움되는 습관 3가지 불씨 120 2018-01-31
각종 연구로 입증된 '기억력' 향상에 도움되는 습관 3가지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각종 연구로 입증된 '기억력' 향상에 도움되는 습관 3가지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이모인 헬스조선 인턴기자   입력 : 2018.01.30 14:32     유산소운동과 소리 내서 ...  
2418 찬바람에 약해진 척추·관절, 나이대별 건강하게 지키는 방법 불씨 109 2018-02-01
찬바람에 약해진 척추·관절, 나이대별 건강하게 지키는 방법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찬바람에 약해진 척추·관절, 나이대별 건강하게 지키는 방법   헬스조선 편집팀  입력 : 2018.01.26 10:33     겨울에는 척추과 관절 유연성이 떨어져서 부상 위...  
2417 소금물 가글·사우나…감기 물리친다는 '민간요법' 효능 검증 불씨 1692 2018-02-01
소금물 가글·사우나…감기 물리친다는 '민간요법' 효능 검증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소금물 가글·사우나…감기 물리친다는 '민간요법' 효능 검증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01.25 15:01 감기와 관련된 민간요법 4가지 분석   감기는 워낙 흔...  
2416 국민 10명 중 4명이 먹는 '영양제'…시시콜콜한 궁금증 해결 불씨 180 2018-02-01
국민 10명 중 4명이 먹는 '영양제'…시시콜콜한 궁금증 해결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국민 10명 중 4명이 먹는 '영양제'…시시콜콜한 궁금증 해결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01.26 14:04 바른 보관법부터 구입요령까지     영양제는 캡슐형태가 좋...  
2415 '웰에이징(Well-aging)'시대…액티브시니어 되는 방법 10가지 불씨 137 2018-02-02
'웰에이징(Well-aging)'시대…액티브시니어 되는 방법 10가지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웰에이징(Well-aging)'시대…액티브시니어 되는 방법 10가지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01.30 13:55 옷은 밝은 색으로, 목소리는 약간 높게     건...  
2414 위염·위궤양보다 아픈데, 내시경에선 안 보이는 '위(胃)' 질환 불씨 327 2018-02-02
위염·위궤양보다 아픈데, 내시경에선 안 보이는 '위(胃)' 질환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위염·위궤양보다 아픈데, 내시경에선 안 보이는 '위(胃)' 질환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01.31 13:46 위마비·위경련·기능성위장장애 생활개선법   극심...  
2413 식습관의 힘, 먹는 습관을 잡으면 건강이 보인다 ① 불씨 142 2018-02-02
식습관의 힘, 먹는 습관을 잡으면 건강이 보인다 ①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식습관의 힘, 먹는 습관을 잡으면 건강이 보인다 ①   김수진 헬스조선 기자  사진 김지아 헬스조선 기자, 셔터스톡  도움말 박미정(상계백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한국영양...  
2412 100세 시대를 넘어 120세 시대로…長壽할 준비 되셨습니까? ① 불씨 234 2018-02-03
100세 시대를 넘어 120세 시대로…長壽할 준비 되셨습니까? ①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100세 시대를 넘어 120세 시대로…長壽할 준비 되셨습니까? ①   김진구 헬스조선 기자 kjg@chosun.com   / 도움말 박상철(전남대 연구석좌교수), 서울대 노화고령사...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