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건강과생활

명퇴 후 거울 보니 '폭삭'… 안 움직이면 금방 노인 된다

이병문 매경헬스 기자(leemoon@mk.co.kr)입력 2024. 3. 19. 16:27

 

 

 

심신 쇠약해지는 노쇠증후군
정년·은퇴 후 무력감이 원인
40·50대에서도 자주 나타나
노화 예방의 핵심은 근육량
근력 운동으로 활동량 늘리고
단백질 위주 규칙적 식사해야

 

게티이미지뱅크

요즘 들어 밥맛이 없고 조금만 움직여도 피로하며 기억이 가물가물해진다는 40·50대 중장년이 적지 않다. 특히 경기 침체로 희망퇴직을 했거나 해고를 당한 사람은 그동안 멀쩡했던 몸이 아프고 우울감이 찾아온다. 퇴직을 했지만 할 일이 사라지고 나면 무력감과 공허함이 밀려온다.

이는 질병이 아니지만 나이가 들면서 심신 기능이 저하된 '노쇠증후군(frailty syndrome)'의 대표 증상이다. 퇴직 후 하는 일 없이 빈둥거리는 옛 동료를 오랜만에 만나면 훌쩍 늙어버린 모습에 깜짝 놀라는데, 이 역시 노쇠증후군의 한 단면이다

노쇠증후군은 원래 60대 후반 이후 나이가 들면서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초고령사회 일본은 이를 '프레일(frail)'이라고 축약해 부른다.

프레일 여부는 체중 감소나 보행 속도, 운동습관·인지기능·피로감 등 몸과 마음, 사회성 등 세 가지 관점에서 판정한다. 프레일은 주변의 도움을 받지 못하면 일상생활이 어려운 단계의 직전 상황을 가리킨다. 최근 들어 일본에서 프레일에 노출된 40·50대가 의외로 많아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우리나라에는 아직 40·50대를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 결과나 통계가 없지만 일본과 상황이 별반 다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일본 와세다대 연구팀이 오사카부 세쓰시와 한난시 주민 약 9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해보니 40대에서 16%(세쓰)와 12%(한난), 50대에서 15%와 12%가 프레일에 노출돼 있었다.

프레일, 즉 노쇠증후군은 최근 코로나19에 따른 재택근무 확산과 운동 부족 영향 때문으로 보인다. 일본 생활습관병예방협회가 의사 33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의사 80%가 프레일에 해당하는 환자가 늘었다고 답했다. 의사 36%는 50대에서, 의사 중 20%는 40대에서도 프레일 환자가 증가했다고 했다. 프레일 환자는 70대 이상에서 가장 많이 늘었다.

요시다 히로시 도쿄 지케이카이 의과대 부속 가시와병원장은 "코로나19와 그에 따른 재택근무로 혈당과 중성지방 수치가 올라간 환자가 많았다. 대사증후군이나 생활습관병 악화와 프레일화가 동시에 진행된 것 같다"고 분석했다.

이어 그는 "재택근무로 출퇴근이 줄어 신체 활동량이 감소하고 근육량이 줄어든 것도 큰 요인이다. 근육이 줄면 당이나 지방 대사에도 악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직장인도 앉아 있는 시간이 많으면 프레일에 노출될 수 있다. 미야치 모토히코 와세다대 스포츠과학 학술원 교수는 "중장년 남성도 비만이 되면 몸이 무거워져서 무릎이나 허리에 통증이 올 수 있다. 보행 속도가 저하되고 운동량이 줄어들기 쉽다"며 "여성은 감량에 따른 체력 저하, 활동량 감소로 프레일이 되는 사례가 많다"고 지적했다

프레일을 예방하는 지름길은 운동과 식사로 근육량을 늘리는 것이다. 시간을 내 스쾃이나 팔굽혀펴기, 까치발 등으로 근력을 키워야 한다. 근력운동은 힘들다고 느낄 때까지 해야 근육이 강화된다. 바쁜 직장인도 화장실을 갈 때 계단으로 다니면서 다른 층을 이용한다.

근육은 태어나면서 급속히 발달해 30대 남성은 체중의 40~45%, 여성은 35~40%를 차지한다. 근육량은 25~30세 때 최고에 달했다가 40세 무렵부터 해마다 1%씩 감소해 80세가 되면 절반으로 줄어든다. 특히 엉덩이, 넓적다리같이 하체의 큰 근육이 눈에 띄게 줄어든다. 통계적으로 보면 70세 미만에서 15~25%, 80세 이후에는 여성 40%, 남성 50%에서 근감소증(sacropenia)이 나타나는 등 나이가 많을수록 발병률이 높다.

근육량이 줄면 신체 기능이 떨어지고 넘어지기도 쉬워지기 때문에 골절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등과 허벅지, 장단지 근육이 약해지면 척추·관절질환에 쉽게 노출된다. 근육량이 많으면 기초대사량이 늘어나 비만과 당뇨병을 예방할 수 있다. 근육이 1㎏ 증가하면 기초대사량은 15~30㎉ 높아져 똑같은 음식량을 먹어도 살이 덜 찐다.

근육은 체온을 만들어 각종 질병의 침입을 막아낸다. 근육은 체온의 40% 이상을 만들어낸다. 근육운동으로 체온을 1도 올리면 면역력은 5~6배나 강해진다. 이와 반대로 체온이 1도만 내려가도 면역력은 30% 이상 떨어진다.

근육량을 늘리려면 식사도 중요하다. 무엇보다 근육의 밑천이 되는 단백질을 충분히 섭취해야 한다. 현재 식사에 단백질을 조금 추가하는 것만으로 근육량이 늘어난다. 아침 식사에 달걀을 추가하고 반찬을 몇 개 더 늘리기만 해도 단백질 섭취량이 증가한다. 단백질 하면 육류를 떠올리는 사람이 많지만 모든 세포에는 단백질이 많이 들어 있다.

단백질이 없으면 인간은 생존할 수 없다. 몸속에 존재하며 일하는 단백질은 10만가지가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체내에서 합성되지만 그것만으로 부족해 단백질을 식품에서 섭취할 필요가 있다. 끼니마다 단백질을 섭취해야 하는 것은 단백질이 체내에 쌓아둘 수 없는 속성 때문이다.

가미즈키 마사히로 도호쿠대 명예교수는 "식품에서 도입한 당질과 지질은 체지방으로 몸에 저장되지만 단백질은 체내에 쌓아둘 수 없고 여분은 소변으로 배출된다. 단백질은 축적할 수 없는 데다 항상 분해·합성돼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저녁 식사 등으로 한꺼번에 섭취하는 것이 아니라 아침·점심·저녁 때마다 제대로 먹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병문 의료전문기자]

Copyright© 매일경제 & mk.co.kr

 

 

출처: https://v.daum.net/v/20240319162710359

조회 수 :
186
등록일 :
2024.03.20
06:57:55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www.hfire.or.kr/310169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sort
2232 건강검진결과지 볼 때 놓치지 말아야할 것 불씨 436 2018-04-09
건강검진결과지 볼 때 놓치지 말아야할 것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건강검진결과지 볼 때 놓치지 말아야할 것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04.04 11:25     올해부터 1차 검진기관에서 검진 후 고혈압 관련한 소견이 나오면 바로 병·의원에서 ...  
2231 혈액이 맑아야 몸이 맑다, 혈액 깨끗이 청소하는 법 불씨 218 2018-04-10
혈액이 맑아야 몸이 맑다, 혈액 깨끗이 청소하는 법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혈액이 맑아야 몸이 맑다, 혈액 깨끗이 청소하는 법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04.04 17:42     혈액을 맑게 하려면 오메가3가 많이 든 생선을 섭취하는 게 도움이...  
2230 자꾸만 속 쓰린 위염, 방치하면 위암 될까? 불씨 264 2018-04-10
자꾸만 속 쓰린 위염, 방치하면 위암 될까?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자꾸만 속 쓰린 위염, 방치하면 위암 될까?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이모인 헬스조선 인턴기자  입력 : 2018.04.04 16:31     위암은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사진=헬스조선 DB   우리...  
2229 테이크아웃 커피 뚜껑서도 환경호르몬… 열고 마셔야 불씨 467 2018-04-10
테이크아웃 커피 뚜껑서도 환경호르몬… 열고 마셔야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테이크아웃 커피 뚜껑서도 환경호르몬… 열고 마셔야   한희준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04.06 09:02 [화학물질에 노출되는 사소한 습관] 스티로폼 재질 컵라면서 유해물질…...  
2228 눈, 마음의 창인 동시에 '건강의 창'… 눈으로 병 확인하는 법 불씨 281 2018-04-11
눈, 마음의 창인 동시에 '건강의 창'… 눈으로 병 확인하는 법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눈, 마음의 창인 동시에 '건강의 창'… 눈으로 병 확인하는 법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04.06 14:43     사진=헬스조선 DB   눈은 마음의 창이라는 말이...  
2227 가려운 귀, 파내야 할까? 그대로 둘까? 불씨 195 2018-04-11
가려운 귀, 파내야 할까? 그대로 둘까?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가려운 귀, 파내야 할까? 그대로 둘까?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04.09 07:00   귀가 가려워도 손이나 면봉을 넣어 귀를 파지 않는 것이 안전하다. 귀지는 턱의 움직임 등에 ...  
2226 공원까지 내려온 '살인진드기'… 안 물리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불씨 187 2018-04-11
공원까지 내려온 '살인진드기'… 안 물리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공원까지 내려온 '살인진드기'… 안 물리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한희준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04.09 11:01     조선일보 DB   진드기를 조심해야 하는 계...  
2225 민망한 딸꾹질 없애는 데 도움 되는, 설탕 한 스푼 불씨 172 2018-04-12
민망한 딸꾹질 없애는 데 도움 되는, 설탕 한 스푼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민망한 딸꾹질 없애는 데 도움 되는, 설탕 한 스푼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04.09 14:47   설탕을 먹으면 단맛이 신경을 자극해 딸꾹질을 멈추는 데 도움을 줄 수...  
2224 미세 먼지 먹는 '천연 공기청정기' 초록잎 식물 키우세요 불씨 317 2018-04-12
미세 먼지 먹는 '천연 공기청정기' 초록잎 식물 키우세요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미세 먼지 먹는 '천연 공기청정기' 초록잎 식물 키우세요   이금숙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04.10 09:08 잎이 먼지 흡수하고 뿌리서 분해… 음이온 뿜어 미세 먼지 가...  
2223 '건강 전문가 100 명이 멀리하는 음식은?' PART1 불씨 272 2018-04-12
'건강 전문가 100 명이 멀리하는 음식은?' PART1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건강 전문가 100 명이 멀리하는 음식은?' PART1   이기상 헬스조선 기자  사진 셔터스톡   입력 : 2017.03.15 08:00 커버 스토리 - SPECIAL 의사·약사·영양학자 대상 설문조사 ...  
2222 65세 이상 남성, 근육 줄면 사망·요양병원 입원 위험 5배 불씨 219 2018-04-13
65세 이상 남성, 근육 줄면 사망·요양병원 입원 위험 5배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65세 이상 남성, 근육 줄면 사망·요양병원 입원 위험 5배   이금숙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04.10 11:10     평창군 노인들이 근감소증 예방과 완화를 위해 근력운동...  
2221 '건강 전문가 100 명이 멀리하는 음식은?' PART2,3 불씨 467 2018-04-13
'건강 전문가 100 명이 멀리하는 음식은?' PART2,3   이기상 헬스조선 기자  사진 셔터스톡 입력 : 2017.03.16 08:00 커버 스토리 - SPECIAL 의사·약사·영양학자 대상 설문조사   PART 2 언급 빈도로 알아본 나쁜 영양소 & 음식 의사·약사·영양학자들은 건...  
2220 나이 들수록 고기 더 챙겨 먹어야 하는 까닭 불씨 245 2018-04-13
나이 들수록 고기 더 챙겨 먹어야 하는 까닭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나이 들수록 고기 더 챙겨 먹어야 하는 까닭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04.10 11:12     노인은 근육량이 줄면 골절까지 이어질 수 있다. 근육을 만드는 단백질이 많이 든...  
2219 온찜질일까, 냉찜질일까? 아직도 헷갈린다면 불씨 166 2018-04-14
온찜질일까, 냉찜질일까? 아직도 헷갈린다면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온찜질일까, 냉찜질일까? 아직도 헷갈린다면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04.12 18:03     다리를 삐끗한 직후에는 1~2일 동안 냉찜질을 해야 한다./사진=헬스조선 DB   운...  
2218 정재훈의 비타민 이야기] 비타민 종류마다 '흡수 잘 되는 때' 달라 불씨 237 2018-04-14
[정재훈의 비타민 이야기] 비타민 종류마다 '흡수 잘 되는 때' 달라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정재훈의 비타민 이야기] 비타민 종류마다 '흡수 잘 되는 때' 달라   정재훈 약사 푸드라이터   입력 : 2018.04.13 09:07   연질캡슐·정제·액상 비타민D 중 어...  
2217 물, 많이 마실수록 좋다?…‘○○○’ 환자는 조금만 마셔야 불씨 153 2018-04-14
물, 많이 마실수록 좋다?…‘○○○’ 환자는 조금만 마셔야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물, 많이 마실수록 좋다?…‘○○○’ 환자는 조금만 마셔야   이모인 헬스조선 인턴기자  입력 : 2018.04.13 14:25     심장이나 신장, 간 기능이 떨어지는 사람, 갑상선 기능이 ...  
2216 봄을 맞이하는 자세 5가지 불씨 112 2018-04-17
봄을 맞이하는 자세 5가지 봄을 맞이하는 자세 5가지   입력 F 2018.04.16 15:27 수정 2018.04.16 15:27     봄이 왔다. 겨우내 TV 앞에 고치를 틀고 앉아 귤이며 과자며 먹어대던 사람들, 기지개를 켜고 밖으로 나가야 할 시간이다. 게으름에 젖은 몸을 일으...  
2215 따뜻한 물 한잔의 건강 효과 8 불씨 248 2018-04-17
따뜻한 물 한잔의 건강 효과 8 따뜻한 물 한잔의 건강 효과 8   입력 F 2018.04.02 09:36 수정 2018.04.02 09:36     물을 충분히 마시면 피부와 근육, 관절 건강에 좋은 효과가 있다. 물은 몸속 세포가 영양소를 흡수하고 감염을 퇴치하는데 도움이 된다. 대...  
2214 위장에 좋은 먹을거리 8 불씨 192 2018-04-17
위장에 좋은 먹을거리 8 위장에 좋은 먹을거리 8   입력 F 2018.04.04 08:37 수정 2018.04.04 08:37     위장이 튼튼해 음식물 소화를 잘 시켜야 건강하게 살 수 있다. 위와 장을 통해 음식물 흡수가 잘 이뤄져야 인체의 면역 체계와 신경 시스템 등도 원활하...  
2213 심장 건강 지키려면 '만성 염증' 줄여야 불씨 149 2018-04-18
심장 건강 지키려면 '만성 염증' 줄여야 심장 건강 지키려면 '만성 염증' 줄여야   입력 F 2018.04.03 14:44 수정 2018.04.03 14:44     바깥에서 몸 안으로 유해 세균이 들어오면 우리 몸은 보호 목적으로 염증 반응을 일으킨다. 일시적인 반응에 그친다면 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