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와 호르몬, 그리고 사랑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스트레스와 호르몬, 그리고 사랑
입력 : 2017.07.16 22:00
심봉석의 앤드롤로지
많은 사람들이 ‘스트레스 받는다’는 말을 입에 달고 살 정도로 스트레스는 우리 생활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지만, 정작 ‘스트레스가 뭐냐’고 물으면 정확하게 대답하기 쉽지 않다. 원래 스트레스(stress)라는 용어는 물리학 분야에서 ‘조임 혹은 긴장’이라는 의미의 라틴어 ‘stringer’에서 시작됐다. 의학에서 스트레스의 개념을 처음 도입한 사람은 캐나다의 내분비학자 한스 셀리에(Hans Selye)로, 1936년 일반적응증후군(general adaptation syndrome)에서 스트레스 학설을 발표했다. 그는 어떠한 종류의 스트레스라도 이로 인한 신체반응은 모두 비슷하고 스트레스가 계속되면 질병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의학적으로 스트레스는 ‘어려운 환경에 처했을 때 발생하는 심리적 및 신체적 긴장상태’라고 정의된다. 인체는 스트레스에 적응하기 위하여 시상하부(hypothalamus)에서 부신피질 자극호르몬 유리호르몬(corticotropin releasing hormone)과 노르에피네피린(norepinephrine)이 분비돼 교감신경계는 활성화되고 부교감신경계는 억제된다. 신체적 증상으로는 혈압과 심박동이 상승하고, 호흡이 빨라지며 피부에 소름이 끼치며 땀이 난다. 또한 두통, 성기능장애, 근육경직, 소화불량, 탈모 등이 발생한다. 그리고 흥분감·초조감·우울증·수면장애 등의 정신적 증상들이 나타난다.
쉽지 않은 스트레스 해소
적절한 스트레스 해소법을 이용해 긴장감을 풀 수 있다면 신체적 및 정신적 증상들을 감소시킬 수 있는데, 사실 스트레스를 해소한다는 것이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보통은 술을 마시거나 담배를 피우고, 혹은 수면제나 신경안정제 등의 약물에 의존한다. 이런 방법은 일시적으로 위안이 될 수 있을지 몰라도 근본적인 해결책은 되지 못하고, 오히려 스트레스를 가중시키거나 만성질환으로 진행할 수 있다. 그래서 의사가 환자들에게 하는 가장 무책임한 말이 ‘스트레스를 줄이세요’이다. 뭔지 알아야 줄이든지 말든지 할 것이다. 또 현대사회를 살아가면서 스트레스를 받지 않을 수 없다. 어쩔 수 없이 받는 스트레스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건강에 나쁜 영향을 덜 미치도록 스스로 해소 방법을 강구하는 것이 최선이다.
남성에게서 테스토스테론은 성기능에 작용할 뿐 아니라 기분을 상승시켜주고 의욕을 불러일으킨다. 또한 정력적으로 만들고 운동 능력을 향상시키는 신체 활력호르몬이다. 테스토스테론 분비에 가장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스트레스와 수면 부족이다. 스트레스나 수면 부족에 의해 발생하는 활성산소는 고환의 라이디히세포(Leydig cell)의 기능을 억제해 테스토스테론 생성을 감소시킨다. 또한 뇌하수체(pituitary gland)에서 프로락틴(prolactin)의 분비가 증가돼 남성호르몬 분비를 저하시키고 말초기관에서의 작용을 억제한다.
스트레스는 음경에 직접 작용하여 발기력을 떨어뜨린다. 스트레스에 의한 교감신경의 활성화와 부교감신경의 억제는 대뇌에서 척수신경으로 보내지는 음경혈관을 확장하는 신호를 제대로 전달되지 않게 한다. 30~40대 남성들에게서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성욕부진이나 발기부전은 이러한 스트레스 때문에 생기는 경우가 많고, 이를 계속 방치할 경우 음경의 평활근이 손상돼 발기부전이 고착화될 수 있으므로 초기에 치료하는 것이 좋다.
적절한 스트레스는 테스토스테론 증가시켜
하지만 스트레스가 전혀 없어도 권태감으로 무기력해지고, 테스토스테론 분비에도 나쁜 영향을 준다. ‘홈그라운드 어드밴티지’라는 용어가 있다. 예를 들어 프로야구나 프로축구에서 자신의 홈구장에서는 능력 이상의 실력을 발휘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를 홈팬의 열광적인 응원, 익숙한 경기장, 혹은 심판의 유리한 판정 등으로 해석한다. 실제 FIFA 월드컵의 경우 1930년 우루과이에서 시작된 이래 지금까지 개최국은 모두 16강에 올랐다. 우리나라도 2014년 브라질 월드컵에서는 성적이 나빴지만, 우리나라에서 열린 2002년 월드컵에서는 4강까지 진출했다. 이를 설명하는 요인으로 남성호르몬 테스토스테론의 증가라는 연구결과가 있다. 테스토스테론은 지배력, 자신감, 운동력과 관련이 있는데 격렬한 스트레스를 받는 원정경기보다는 적당한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 홈구장에서 경기할 때 테스토스테론 분비가 증가한다.
테스토스테론 분비량은 사계절이 뚜렷한 온대지방에서는 5~6월에 가장 적고 10~11월에 가장 많다. 테스토스테론 분비에 필요한 적당한 스트레스가, 날씨가 따뜻해지는 봄이 되면 감소하여 테스토스테론 분비도 감소하게 된다. 가을은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에게서 추운 겨울을 대비해야 한다는 압박감을 주는 계절로, 이로 인한 스트레스로 남성호르몬과 여성호르몬의 분비가 저하된다. 그러나 갱년기 이후인 50대 이상에서는 계절에 따른 성호르몬 분비가 계절적으로 거의 차이가 없다.
남자와 여자 모두 사랑에 빠지면 도파민(dopamine), 페닐에틸아민(phenylethylamine), 엔돌핀(endorphine) 등 사랑호르몬의 분비가 증가된다. 도파민은 이성과 지성을 조절하는데, 지적이고 형이상학적인 사랑을 느끼게 해준다. 상대방에 대해 눈이 멀게 되고 분별력이 없어지는 것은 페닐에틸아민 때문인데, 열정적이고 감정적인 사랑을 느끼게 해준다. 사랑의 희열을 극대화하는 것은 엔돌핀이고, 육체적 성욕을 느끼게 해주는 것은 옥시토신이다. 사랑에 관여하는 호르몬들은 대개 수명이 2년 정도이고 남자는 더 짧다고 한다. 이런 호르몬들도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분비가 감소하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해소하지 못하면 사랑에도 빠지기 힘들고, 제대로 된 사랑의 기쁨도 느끼기 어렵고, 더 이상 사랑호르몬이 만들어지지 않아 결국 사랑이 식게 된다.
사랑 에너지 풍부한 초콜릿과 콩
페닐에틸아민은 뇌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각성제인 암페타민(amphetamine)과 비슷하게 중추신경과 교감신경을 흥분시키는 작용을 한다. 기분을 상승시키고 감정을 상승시켜 준다. 초콜릿에 많이 들어 있어 사랑 고백에 많이 쓰이고 고급호텔에서는 저녁에 침대 머리맡에 놓아두기도 한다. 혹시 초콜릿이 정력제나 성적 흥분제가 아닐까 착각할 수 있는데, 실제로 기능적인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고 심리적인 느낌뿐이다. 단백질이 풍부한 육류와 콩에 많이 함유돼 있는 페닐알라닌이란 아미노산은 체내에 흡수되면 페닐에틸아민으로 변환이 되기 때문에, 사랑의 에너지가 필요하면 초콜릿 대신에 고기와 콩을 많이 섭취해도 된다.
사랑의 아름다움과 즐거움을 단지 육체적인 현상이나 화학적 분석으로 설명이 되는 것은 아니겠지만, 스트레스가 단지 신체 기능의 저하뿐만 아니라 정신적으로도 사랑에 나쁜 영향을 준다. 가능하면 일상에서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 것이 좋겠지만, 스스로의 해소법을 가지고 제때 해소하는 것이 건강과 사랑을 위해서 더욱 중요하다.
이화여대 의과대학부속 목동병원 비뇨기과 교수이다. 연세대 의대를 졸업(의학박사)했으며, 미국 샌프란시스코 UCSF에서 연수했다. 이대 동대문병원 기획실장·응급실장·병원장 등을 역임했다. 비뇨기과 건강 서적 《남자는 털고, 여자는 닦고》를 출간하는 등 비뇨기질환에 대해 국민들이 편견 없이 정확한 정보를 알 수 있도록 앞장서고 있다.
-
- 한국인 정신건강 측정 결과…두뇌 '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사람은?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7/13/2017071301240.html
- 한국인 정신건강 측정 결과…두뇌 '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사람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