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주 카드 1장씩 삼켰습니다"…시한폭탄 된 미세플라스틱[과학을 읽다]
기사입력 2021.07.03. 오전 11:56 최종수정 2021.07.04. 오전 5:3
미세플라스틱. 자료사진.
"당신은 지금 일주일에 신용카드 한 장 만큼의 미세플라스틱을 삼키고 있습니다. 언젠가 인체나 생태계의 시한폭탄이 될 수 있습니다. "
지난해는 '고분자 100년'을 맞는 해였습니다. 1920년 독일의 과학자 슈타우딩거가 처음으로 고분자화(polymerization)라는 개념을 발표한 지 100년이 지났습니다. 플라스틱과 석유화학 제품 등으로 대표되는 고분자 물질은 인간에 천국과 지옥을 동시에 선사해주고 있습니다. 일상 생활 속에 쓰이는 온갖 고분자 물질들은 인류 역사상 최고의 편리함, 청결함, 내구성 등을 안겨줬습니다. 반면 태평양 한가운데 떠다니는 플라스틱섬이 만들어지고 미세플라스틱으로 땅과 물, 생태계가 오염되면서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이 돼 있기도 합니다.
◆미세플라스틱이란?
100 나노미터(nm)에서 5 밀리미터(mm) 사이의 미세플라스틱은 화장품과 치약 등 애초부터 작게 만들어진 1차 미세플라스틱과 타이어ㆍ스티로폼ㆍ페인트ㆍ비닐 등이 부서지면서 생기는 2차 미세플라스틱으로 구분됩니다. 1차 미세플라스틱은 전세계적으로 사용 금지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올해 1월1일부터 화장품 등에 미세플라스틱 사용이 제한됐죠.
2010년 기준 전세계 플라스틱은 약 2억7500만t 가량 발생했는데, 이중 800만t 가량이 육상에서 해상으로 배출돼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한다고 합니다. 세계 전체 바다에서 1년에 인간이 잡아 먹는 참치가 약 650만t 인데, 이보다 더 많은 플라스틱이 바다에 '투하'되는 거죠. 최근 세계에서 가장 깊은 해구인 마리아나해구에서 심해 탐사선이 촬영한 플라스틱 쓰레기가 화제가 되기도 했죠. 우리나라도 지난달 KBS 취재진이 한강 하구를 조사했더니 수십년전 과자제품 포장지 등 육지 플라스틱쓰레기들이 한 번에 수십kg씩 어민들의 그물에 걸려 올라오는 등 바다의 오염이 점점 심해지고 있죠. 종종 거북이나 고래 등이 플라스틱을 잔뜩 먹거나 목에 걸려 숨진 채 발견되기도 합니다.
바다에 버려진 스티로폼 상자 뚜껑 1개에서 1년에 약 3007억개의 초미세ㆍ미세플라스틱이 생성됩니다. 특히 코로나19 사태 이후 최근 1~2년새 지구 전체의 플라스틱 사용이 급증했습니다. 일회용 숫가락의 생산은 2019년에 비해 2020년 25.2%나 늘었고, 일회용 포크도 같은 시기 64.1%가 증가했습니다.
자연에서 마모나 마찰, 빛과 미생물 등에 의해 분해돼 크기가 작아진 미세플라스틱들은 1차적으로 물벼룩 등 미세 생물이 먹이로 착각해 흡수합니다. 이를 송사리, 멸치같은 작은 물고기 등 중간 포식자가 잡아 먹습니다. 먹이사슬을 따라 이동ㆍ누적되면서 상어같은 먹이사슬 최상위권 동물에게는 고농도로 농축됩니다. 미세먼지 중 아주 크기가 작은 것들은 바람에 쓸려 하늘로 올라가기도 합니다.
◆신경 독성, 내부 파괴
미세플라스틱은 지구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최근 미국 해양대기청은 북대서양에서 700여마리의 어류를 잡아 조사한 결과 이중 11%에서 미세플라스틱을 발견했다고 발표한 적이 있습니다. 미세플라스틱이 축적된 작은 생물들은 독성 효과로 신경이 마비되면서 이동 거리ㆍ속도가 현저히 줄어듭니다. 생체 내 점막 자극ㆍ면역체계 손상, 소화기관 찰과상 등의 피해도 확인되고 있습니다.
인간에 대해서도 미세플라스틱은 '잠재적 시한폭탄'입니다. 최근 유럽, 러시아, 일본 국적자 8명으로 대상으로 대변을 검사해보니 10g당 미세플라스틱 20개가 검출됐습니다. 이탈리아에선 산모의 태반에서 12개의 미세플라스틱 조각이 발견됐는데, 태아에서 5개, 모체에서 4개, 양수막에서 3개가 나왔습니다. 세계자연기금(WWF) 연구에 따르면 한 사람이 일주일간 삼키는 미세플라스틱은 약 2000개입니다. 신용카드 한 장 정도인 5g에 달하죠. 주된 섭취 경로는 물(1,769개)이며, 갑각류(182개), 소금(11개), 맥주(10개) 등입니다. 생물체가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하면 소화관에 손상을 입거나 플라스틱의 화학물질이 체내에 흡수, 농축돼 다양한 내분비계 교란이 발생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박준우 안전성평가연구소 환경위해성연구부장은 지난달 28일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주최 간담회에서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연구 중이라 뚜렷한 결론이 내려져 있지 않다"면서 "미세플라스틱의 영향을 받은 물고기들은 움직임이 현저히 떨어져 먹이로 쉽게 잡히기 때문에 먹이사슬에 의한 누적 효과가 더 크다. 신경 독성과 장 손상 등으로 생물체의 내부를 파괴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고 있다. 미국에선 시신에서도 다수 발견됐다고 한다"고 말했습니다.
◆적게 쓰고 안 버리기
대책은 무엇일까요? 지금보다 적게 생산하고 적게 버리는 수밖에 없습니다. 유발 물질을 아무데나 버리지 말고 잘 모아 재활용처리하고, 대체 물질을 생산해 내야 합니다. 심원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은 "물이나 토양에서 미세플라스틱 입자를 거를 수는 있지만 미생물도 죽고 지구상에 광범위하게 분포돼 있기 때문에 도저히 불가능하다"면서 "발생 단계에서 줄여야 한다. 중대형 플라스틱 쓰레기부터 자연계에 방치하지 말고 빨리 치워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기자 프로필
김봉수
bskim@asiae.co.kr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5&oid=277&aid=0004931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