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의성·고흥군 30년 뒤 사라진다 .. 전남 전체도 소멸 위기 | Daum 뉴스
[단독] 의성·고흥군 30년 뒤 사라진다 .. 전남 전체도 소멸 위기
장원석 입력 2017.09.06. 01:04 수정 2017.09.06. 08:30댓글 1319개자동요약
2016년 충북 괴산군에서 태어난 신생아는 120명이다.
소멸위험지수는 고령 인구(65세 이상) 대비 20~39세 여성 인구의 비중을 말한다.
특히 0.2 미만인 곳은 '소멸 고위험' 지역으로 분류한다.
지난해 부산 동구(0.47)와 부산 영도구(0.46)가 소멸 위험 단계에 진입한 데 이어 올해는 경북 안동시(0.48)가 새로 포함됐다.
한국고용정보원 '지방 소멸' 분석
고령자 대비 가임여성 인구 비교
228개 지자체 중 85곳 위험 수준
부산·대구도 주의 단계 들어가
2016년 충북 괴산군에서 태어난 신생아는 120명이다. 사흘에 한 명도 안 된다. 군 단위 평균(355명)에 한참 못 미치고, 전체 인구 대비 출생아 수도 0.308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적다. 괴산군에 분만 시설이 없다. 결국 출산을 하려면 인근 타 지역 병원으로 가야 한다.
이런 지방자치단체가 한둘이 아니다. 전국 228개 지자체 중 3분의 1 이상은 30년 후 없어질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중앙일보가 단독 입수한 한국고용정보원의 ‘한국의 지방 소멸 2’ 연구 결과다. 이에 따르면 올해 7월 기준으로 소멸위험지수가 0.5 미만인 지자체는 85곳에 이른다. 소멸위험지수는 고령 인구(65세 이상) 대비 20~39세 여성 인구의 비중을 말한다. 가임 여성의 90%가 분포하는 20~39세 여성 인구 비중에 주목한 지표다.
이 지수가 ▶1.5 이상이면 ‘소멸 저위험’ ▶1.0 이상~1.5 미만이면 ‘정상’ ▶0.5 이상~1.0 미만이면 ‘소멸 주의’ ▶0.5 미만이면 소멸 위험 지역으로 본다. 특히 0.2 미만인 곳은 ‘소멸 고위험’ 지역으로 분류한다. 고용정보원 이상호 부연구위원은 “소멸위험지수 1.0 밑으로 떨어지면 해당 공동체가 인구학적으로 쇠퇴 단계에 접어들었다는 의미”라며 “소멸위험군에 속하는 지자체는 극적인 전환의 계기가 없다면 30년 내 사라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연구에 따르면 전국 전체 소멸위험지수는 2016년 7월 1.0이 됐다. 고령 인구와 20~39세 여성 인구의 숫자가 같아졌다는 의미다. 1년 새 0.95(2017년 7월)까지 떨어졌다. 고령 인구는 늘고, 20~39세 여성 인구는 줄면서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그래픽=박춘환 기자 park.choonhwan@joongang.co.kr]
전라남도는 전국 16개 광역자치단체 중 처음으로 소멸 위험 단계에 진입했다. 전남은 20~39세 여성 인구가 19만6000명으로 65세 이상 인구 40만5000명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해 소멸위험지수가 0.48까지 떨어졌다. 나머지 광역자치단체도 안심할 수 없다. 비수도권의 모든 ‘도’ 지역이 소멸 주의 단계(1.0 미만)에 진입했다. 광역시 중에서도 부산(0.86)과 대구(0.92)가 1.0 아래로 떨어졌다.
기초 지자체는 더욱 심각하다. 228개 지자체 중 소멸 위험 지역(0.5 미만)은 85개로 나타났다. 이 부연구위원은 “5년 전인 2012년 7월보다 15곳이나 늘어 증가 속도가 빠르다”고 말했다. 이젠 농어촌 낙후 지역뿐만 아니라 지방 대도시도 소멸 위험 지역이 됐다. 지난해 부산 동구(0.47)와 부산 영도구(0.46)가 소멸 위험 단계에 진입한 데 이어 올해는 경북 안동시(0.48)가 새로 포함됐다.
85곳 중 7곳은 소멸위험지수가 0.2 미만인 소멸 고위험 지역으로 나타났다. 경북 의성군(0.158)이 가장 낮았고, 전남 고흥군(0.167), 경북 군위군(0.174), 경남 합천군(0.174) 등이 뒤를 이었다.
이 부연구위원은 청년층이 지방을 떠나는 가장 큰 원인으로 일자리 부족을 꼽았다. 그는 "한국 경제는 정보기술(IT)과 중화학제조업을 중심으로 성장해왔는데 IT는 서울·수도권, 중화학 제조업은 비수도권 일부 지역에 집중됐다”며 “최근 조선·철강·자동차 등 핵심 제조업 기반이 흔들리면서 비수도권의 고용 위기가 심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부연구위원은 “행정수도 이전이나 혁신도시 같은 인프라 중심의 균형 발전만으론 한계가 있다”며 “서비스업 분야 중 가장 가파르게 일자리가 늘고 있는 ‘사회서비스업’ 분야를 육성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세종=장원석 기자 jang.wonseok@joongang.co.kr